[아이투자 최도윤 기자]
7월 주가상승률이 높았던 업종은 비철금속, 전기제품, 가구, 게임소프트웨어 등이었다.
2일 가치투자 포털 아이투자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7월 한 달 간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비철금속(14.3%)으로 조사됐다.
업종 내 가장 주가 상승률이 높았던 기업은 조일알미늄으로 7월 한 달간 3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태경비케이(30%), 고려아연(27%), 디씨엠(23%), 삼아알미늄(13%) 등이 뒤를 이었다.
비철금속 분야는 포스트 코로나 기대감과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수혜 기대감으로 관련 기업들의 주가 또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비철금속 다음으로 주가가 많이 상승한 업종은 전기제품(8.0%)이었다. 2차 전지 소재주로 잘 알려진 에코프로비엠,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엘앤에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지난 5월 'IPO 대어'로 시장의 큰 관심을 받았던 데 비해 상장 직후 힘을 받지 못하다가 7월 한 달간 큰 폭의 강세를 보였다.
전기제품 다음으로 주가가 많이 오른 업종은 가구(6.5%)로 조사됐다. 오하임아이엔티의 경우 대주주인 IMM프라이빗에쿼티(PE)의 한샘 경영권 인수 소식으로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7월 한 달 간 39%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샘 역시 17%의 상승률을 기록, 업종 상승률을 견인했다. 가구 업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인테리어 수요가 급증한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게임소프트웨어 업종에서는 카카오게임즈가 단연 눈길을 끄는 한 달이었다. 카카오게임즈는 7월 한 달간 54% 상승하며 시가총액 기준 코스닥 2위를 굳혔다. 썸에이지, 베스파, 액션스퀘어 등의 주가 상승률도 눈에 띌 만한 수준이었다.
아이투자 김경수 연구원은 "7월 한 달간 주가 상승률이 높았던 업종과 종목을 잘 살펴보면 올 하반기 증시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7월 주가상승률이 높았던 업종은 비철금속, 전기제품, 가구, 게임소프트웨어 등이었다.
2일 가치투자 포털 아이투자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7월 한 달 간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비철금속(14.3%)으로 조사됐다.
업종 내 가장 주가 상승률이 높았던 기업은 조일알미늄으로 7월 한 달간 3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태경비케이(30%), 고려아연(27%), 디씨엠(23%), 삼아알미늄(13%) 등이 뒤를 이었다.
비철금속 분야는 포스트 코로나 기대감과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수혜 기대감으로 관련 기업들의 주가 또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비철금속 다음으로 주가가 많이 상승한 업종은 전기제품(8.0%)이었다. 2차 전지 소재주로 잘 알려진 에코프로비엠,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엘앤에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지난 5월 'IPO 대어'로 시장의 큰 관심을 받았던 데 비해 상장 직후 힘을 받지 못하다가 7월 한 달간 큰 폭의 강세를 보였다.
전기제품 다음으로 주가가 많이 오른 업종은 가구(6.5%)로 조사됐다. 오하임아이엔티의 경우 대주주인 IMM프라이빗에쿼티(PE)의 한샘 경영권 인수 소식으로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7월 한 달 간 39%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샘 역시 17%의 상승률을 기록, 업종 상승률을 견인했다. 가구 업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인테리어 수요가 급증한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게임소프트웨어 업종에서는 카카오게임즈가 단연 눈길을 끄는 한 달이었다. 카카오게임즈는 7월 한 달간 54% 상승하며 시가총액 기준 코스닥 2위를 굳혔다. 썸에이지, 베스파, 액션스퀘어 등의 주가 상승률도 눈에 띌 만한 수준이었다.
아이투자 김경수 연구원은 "7월 한 달간 주가 상승률이 높았던 업종과 종목을 잘 살펴보면 올 하반기 증시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조일알미늄] 최신 분석 보고서
조일알미늄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알루미늄판 제조업체 |
---|---|
사업환경 | ▷ 알미늄 압연 산업은 대규모 자본과 두께 균일성 유지를 위한 기술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음 ▷ 국내 알루미늄판 시장은 노벨리스크코리아(점유율 75%)와 조일알미늄(16%)이 과점하고 있음 ▷ 국내 알미늄 판재업계는 건설 경기 부진 등에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전기, 전자, 건설 등 전방산업 업황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알미늄판 99.98% 알미늄판 임가공 0.02%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알루미늄 괴 : 가격추이 (10년 2,679,000원 → 11년 2,852,000원 → 12년 2,496,000원 → 13년 2,354,000원 → 14년 2,348,000원 → 15년 반기 2,483,000원) |
실적변수 | ▷ 건설 경기 호황시 수혜 ▷ 국제 알루미늄 시세 상승시 판가 인상 및 재고자산 평가이익 발생으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04.99% - 유동비율 139.17% - 당좌비율 79.25% - 이자보상배율 15.59% - 금융비용부담률 0.80% - 자본유보율 201.86% |
신규사업 |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
조일알미늄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조일알미늄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373 | 4,984 | 4,658 |
영업이익 | 120 | 201 | 85 |
영업이익률(%) | 8.7% | 4.0% | 1.8% |
순이익(지배지분) | 85 | 110 | -1 |
순이익률(%) | 6.2% | 2.2% | -0.0%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