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data.krx.co.kr)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올해에만 코스피에서 1조5487억원을 순매수했습니다. 이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7089억원, 1조4004억원을 순매도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그렇다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우리 금융 시장 참여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먼저 자본 유입과 시장 활성화를 들 수 있습니다. 외국 자본이 우리 시장에 들어오면 기업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도 순기능을 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기업 거버넌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종종 기업의 지배 구조나 경영 방침에 관심을 가지며, 적극적인 주주 활동을 통해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 경영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표준에 맞는 경영을 하도록 압박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제적인 신뢰도 향상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시장 참여는 국제적인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우리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은 한국 시장의 안정성과 성장 잠재력을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주 스톡봇 칼럼에서는 올해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 매수 비중이 높은 종목들을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단순 지분율 상승 뿐 아니라, 올해 실적 전망치가 지난해 대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들로 범위를 좁혀 투자 관점에서 보다 의미 있는 종목들을 발굴하고자 했습니다.
[선정 기준]
1. 1/2 ~1/10 동안 외국인 순매수 종목 대상
2. 2025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종목
3. 10일 종가 기준 PER 20배 이하, 외국인 순매수 지분율 높은 순 상위 20선

성광벤드는 산업용 관이음쇠(피팅) 제조업체로 조선업이나 석유화학, 발전플랜트업과 관련성이 높습니다. 외국인은 올해 들어 성광벤드의 지분을 1.3% 사모았습니다. 증권가에 따르면, 조선·해양 플랜트 부문의 수요 증가와 북미 지역 LNG프로젝트 재개 등으로 피팅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성광벤드의 올해 매출액은 2722억원, 영업이익은 643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3%와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외국인이 많은 지분율을 사모은 종목은 휴메딕스 입니다. 외국익은 올해 7거래일간 휴메딕스 지분을 1% 순매수 했습니다. 브라질 등지로 필러 수출이 늘어나면서 올해에도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가에서는 휴메딕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 해 대비 각각 15%와 19%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 밖에 비츠로셀과 태광, SK하이닉스가 각각 0.7%, 세경하이테크와 주성엔지니어링이 0.6% 외국인이 지분을 늘린 종목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성광벤드] 최신 분석 보고서
성광벤드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산업용 관이음쇠(피팅) 제조업체 (태광과 함께 세계 시장 점유율 1·2위) |
---|---|
사업환경 | ▷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 개발 수요 증대로 해양플랜트·석유화학 플랜트용 관이음쇠 수요 증가 추세 ▷ '스테인레스', '알로이' 등 고마진 제품 수요 증가로 관이음쇠 업체들의 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진행 중. 유럽 금융위기로 경쟁업체들의 경쟁력 약화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 |
경기변동 | ▷ 건설, 조선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음 |
주요제품 | 관이음쇠 100.00%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PIPE, PLATE (69.4%) ▷ 외주가공 (22.2%)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유가 상승시으로 에너지 개발 확대시 수혜 ▷ 건설업체(삼성중공업, GS건설, SK건설)들의 플랜트, 조선업체(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들의 해양 플랜트 수주 증가시 수혜 ▷ 수출 비중(61.3%, 2015) 커 환율 상승 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1.87% - 유동비율 676.75% - 당좌비율 273.03% - 이자보상배율 56.77% - 금융비용부담률 0.12% - 자본유보율 3,151.54%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성광벤드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성광벤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637 | 2,277 | 2,547 |
영업이익 | 107 | 420 | 448 |
영업이익률(%) | 16.9% | 18.4% | 17.6% |
순이익(지배지분) | 92 | 410 | 392 |
순이익률(%) | 14.4% | 18.0% | 15.4%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