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2분기 흑자전환 전망에 목표가↑”-키움
[아이투자 조양희]키움증권은 7일 SK아이이테크놀로지에 대해 오는 2분기부터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8만1000원에서 10만4000원으로 상향했다. 지난 6일 종가는 7만2100원이다.
올해는 SK온의 미국 조지아 1·2공장, 헝가리 2공장 등 고객사의 신규 공장 램프업(생산 확대)으로 출하량이 기대된다는 판단에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774억원, 영업적자 10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021년 동기 대비 13% 늘었고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폭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권준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캡티브 고객사인 SK온의 미국 조지아 1공장과 유럽 헝가리 2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출하량이 4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폴란드와 중국 공장 가동률 모두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며, 폴란드 공장 평균 가동률이 3분기 40%에서 4분기 70% 수준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말 일회성 비용 발생과 기존 높은 제조원가로 생산된 재고로 인해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면서도 “SK온과의 거래가 대부분 원화로 거래되는 만큼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은 적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는 매출액 1692억원, 영업손실 41억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1분기 계절적 비수기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판매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일회성 비용 제거와 높아진 가동률에 따라 적자폭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올해 SK온의 미국 조지아 1·2공장, 헝가리 2공장 등 고객사의 신규 공장 램프업으로 출하량 증가가 기대됨에 따라 2분기에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현재 폴란드 공장에서 미국향 판매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향후 추가적인 가동률 상승이 예상되고, 기존에 높은 제조원가로 생산된 분리막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데다 폴란드 2단계 공장 가동 시점을 1분기에서 연말로 연기하는 등 고정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동안 캡티브 고객사(매출 기준 80% 추정)를 중심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했으나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 신규 고객 다변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고 주목했다.
권 연구원은 “최근 탈중국, 역내 생산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해당 지역에 생산시설을 보유 및 계획 중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제품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 하반기 일부 물량을 시작으로 2024~2025년 신규 고객사향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는 SK온의 미국 조지아 1·2공장, 헝가리 2공장 등 고객사의 신규 공장 램프업(생산 확대)으로 출하량이 기대된다는 판단에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774억원, 영업적자 10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021년 동기 대비 13% 늘었고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폭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권준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캡티브 고객사인 SK온의 미국 조지아 1공장과 유럽 헝가리 2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출하량이 4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폴란드와 중국 공장 가동률 모두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며, 폴란드 공장 평균 가동률이 3분기 40%에서 4분기 70% 수준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말 일회성 비용 발생과 기존 높은 제조원가로 생산된 재고로 인해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면서도 “SK온과의 거래가 대부분 원화로 거래되는 만큼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은 적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는 매출액 1692억원, 영업손실 41억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1분기 계절적 비수기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판매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일회성 비용 제거와 높아진 가동률에 따라 적자폭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올해 SK온의 미국 조지아 1·2공장, 헝가리 2공장 등 고객사의 신규 공장 램프업으로 출하량 증가가 기대됨에 따라 2분기에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현재 폴란드 공장에서 미국향 판매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향후 추가적인 가동률 상승이 예상되고, 기존에 높은 제조원가로 생산된 분리막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데다 폴란드 2단계 공장 가동 시점을 1분기에서 연말로 연기하는 등 고정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동안 캡티브 고객사(매출 기준 80% 추정)를 중심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했으나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 신규 고객 다변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고 주목했다.
권 연구원은 “최근 탈중국, 역내 생산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해당 지역에 생산시설을 보유 및 계획 중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제품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 하반기 일부 물량을 시작으로 2024~2025년 신규 고객사향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82 | 2,179 | 6,483 |
영업이익 | -696 | -2,910 | 501 |
영업이익률 | -119.6% | -133.6% | 7.7% |
순이익 | -217 | -2,466 | 822 |
순이익률 | -37.2% | -113.2% | 12.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SK이노베이션 계열 2차전지 습식 분리막 등 소재기업
경기변동
▷ 분리막 사업은 배터리 산업과 전기차, IT 기기 산업의 영향을 받음.
▷ 이들 최종 전방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음.
▷ 이들 최종 전방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음.
주요제품
LiBS 99.95%
신규사업 0.05%
* 수치는 매출 비중
신규사업 0.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폴리에틸렌(PE)
▷ 폴리 프로필렌(PP)
▷ 폴리 프로필렌(PP)
실적변수
▷ PE 가격은 원유가격과 약하게 연동
▷ PE 수요는 글로벌 경기와 연동
▷ PE 수요는 글로벌 경기와 연동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46.26%
- 유동비율 211.68%
- 당좌비율 192.02%
- 이자보상배율 -1.50%
- 금융비용부담률 3.80%
- 자본유보율 3,016.59%
- 부채비율 46.26%
- 유동비율 211.68%
- 당좌비율 192.02%
- 이자보상배율 -1.50%
- 금융비용부담률 3.80%
- 자본유보율 3,016.59%
신규사업
▷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소재인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사업을 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