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비엠티, V차트로 살펴보기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비엠티는 산업용 정밀 피팅과 밸브, 전기통신 자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은 국내외 조선, 해양플랜트, 발전(원자력), 반도체 등에 공급된다.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피팅 54%, 밸브 32% 등이다. 또, 국내 시장에서 매출의 56%를, 수출로 44%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비엠티는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79.7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3.5%에 해당하는 점수다. 평가 기준 중 성장성(94점), 수익성(87점), 최근 분기 실적(100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배당매력과 안전성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비엠티의 실적은 장기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0년 3분기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반등해 최근 급증세를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급증으로 수익성도 상승했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6.4%, 14.4%다. 이는 과거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익률 상승 배경 중 하나는 판관비율 하락이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판관비율은 11.4%를 기록했다. 또, 이 비율은 최근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과거 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등락을 거듭했다. 그러다 최근 순이익의 급증으로 과거 최고점이었던 10%를 넘어 18%에 도달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최고 1.48배에서 최저 0.55배 사이를 오르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6일 종가 기준 PBR은 1.39배이며, 5년 평균 PBR 1.09배보다 높은 수준을 보인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살펴보는 듀퐁분석 그래프를 보자. 듀퐁분석은 ROE 상승과 하락의 원인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 비엠티의 ROE 상승은 순이익률과 재무레버리지의 상승이 원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재무레버리지의 상승은 회사의 재무 안전성과 연관되기 때문에, 그 흐름을 주의깊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부채비율을 보면 2020년 2분기부터 급격히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130.7%다. 한편, 같은 기간 유동비율은 162.8%를 기록했다.
[그래프6]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이자발생 부채는 1013억원이며, 차입금 비중은 43%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 이상인 경우 부채 상황을 주의깊게 봐야한다. 또, 차입금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 회사의 재무 안전성을 계속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그래프7]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가는 지난해 8월 30일 최고 1만8950원을 기록한 후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1만5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순이익 지수는 2021년 3분기 저점을 찍은 후 반등해 급격히 상승했다. 이에 주가와의 차이를 많이 좁히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8]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피팅 54%, 밸브 32% 등이다. 또, 국내 시장에서 매출의 56%를, 수출로 44%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비엠티는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79.7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3.5%에 해당하는 점수다. 평가 기준 중 성장성(94점), 수익성(87점), 최근 분기 실적(100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배당매력과 안전성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비엠티의 실적은 장기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0년 3분기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반등해 최근 급증세를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급증으로 수익성도 상승했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6.4%, 14.4%다. 이는 과거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익률 상승 배경 중 하나는 판관비율 하락이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판관비율은 11.4%를 기록했다. 또, 이 비율은 최근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과거 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등락을 거듭했다. 그러다 최근 순이익의 급증으로 과거 최고점이었던 10%를 넘어 18%에 도달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최고 1.48배에서 최저 0.55배 사이를 오르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6일 종가 기준 PBR은 1.39배이며, 5년 평균 PBR 1.09배보다 높은 수준을 보인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살펴보는 듀퐁분석 그래프를 보자. 듀퐁분석은 ROE 상승과 하락의 원인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 비엠티의 ROE 상승은 순이익률과 재무레버리지의 상승이 원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재무레버리지의 상승은 회사의 재무 안전성과 연관되기 때문에, 그 흐름을 주의깊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부채비율을 보면 2020년 2분기부터 급격히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130.7%다. 한편, 같은 기간 유동비율은 162.8%를 기록했다.
[그래프6]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이자발생 부채는 1013억원이며, 차입금 비중은 43%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 이상인 경우 부채 상황을 주의깊게 봐야한다. 또, 차입금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 회사의 재무 안전성을 계속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그래프7]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가는 지난해 8월 30일 최고 1만8950원을 기록한 후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1만5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순이익 지수는 2021년 3분기 저점을 찍은 후 반등해 급격히 상승했다. 이에 주가와의 차이를 많이 좁히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8]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66 | 1,328 | 1,496 |
영업이익 | 28 | 65 | 174 |
영업이익률 | 7.6% | 4.9% | 11.7% |
순이익 | 36 | 41 | 168 |
순이익률 | 9.9% | 3.1% | 11.3%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산업용 관이음쇠·밸브 제조 업체
경기변동
▷ 반도체, 조선, 석유화학용 제품은 경기에 민감함
▷ 원자력 발전소, 해양플랜트 등 플랜트용 제품은 경기보다는 유가변동에 더 민감함
▷ 원자력 발전소, 해양플랜트 등 플랜트용 제품은 경기보다는 유가변동에 더 민감함
주요제품
제품 90.27%
상품 8.35%
기타 1.39%
* 수치는 매출 비중
상품 8.35%
기타 1.39%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ROUND BAR (36%)
▷ HEX BAR (26.2%)
▷ 기타 (37.7%)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HEX BAR (26.2%)
▷ 기타 (37.7%)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반도체, 조선, 플랜트 업황 호조시 수혜
▷ 철강 가격 하락시 원가율 하락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 철강 가격 하락시 원가율 하락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39.70%
- 유동비율 151.57%
- 당좌비율 78.89%
- 이자보상배율 6.69%
- 금융비용부담률 2.43%
- 자본유보율 1,977.45%
- 부채비율 139.70%
- 유동비율 151.57%
- 당좌비율 78.89%
- 이자보상배율 6.69%
- 금융비용부담률 2.43%
- 자본유보율 1,977.45%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