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JW중외제약, 리바로젯·헴리브라 성장에 목표가↑”-하나
[아이투자 조양희]하나증권은 9일 JW중외제약에 대해 고성장하는 이상지질혈증 약 ‘리바로젯’과 올해부터 급여 확대가 예상되는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만원에서 3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전일 종가는 2만2050원이다.
JW중외제약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13억원, 316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매출액 1741억원, 영업이익 127억원)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냈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호실적의 요인은 리바로, 리바로젯의 성장과 정상화된 원가율, 회계로 인한 일회성 매출 발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품목인 리바로는 2021년 동기 대비 4.0% 늘어난 190억원, 리바로젯은 같은 기간 17.4% 증가한 113억원의 매출액을 거뒀다.
박 연구원은 “지난해 2, 3분기 가동이 중단됐던 시화 원료 공장 역시 4분기 정상 가동되며 원가율 하락에 기여했다”며 “일회성 요인으로 반품율의 하락으로 올해 인식한 반품충당부채가 감소하며 매출액으로 인식됐다”고 말했다.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5.6% 증가한 715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1% 줄어든 652억원으로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리바로젯과 헴리브라가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지난해 대비 리바로의 올해 매출액은 6.6% 늘어난 811억원, 리바로젯은 58.3% 성장한 514억원, 헴리브라의 매출액은 40.0% 증가한 82억원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R&D 비용은 증가할 것”이라며 “통풍 치료제 파이프라인 URC-102은 올 상반기 임상 3상진입이 예상되며, 그 외에도 Wnt, STAT3 등 초기 파이프라인은 내년 임상 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 목표가에 연구개발(R&D) 파이프라인은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올해는 아토피 후보물질 JW1601의 임상 2상 결과 발표, 통풍 후보물질 URC-102 임상 3상 진입 등이 예정돼 있어 R&D 모멘텀을 통한 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자료> JW중외제약, 하나증권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만원에서 3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전일 종가는 2만2050원이다.
JW중외제약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13억원, 316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매출액 1741억원, 영업이익 127억원)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냈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호실적의 요인은 리바로, 리바로젯의 성장과 정상화된 원가율, 회계로 인한 일회성 매출 발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품목인 리바로는 2021년 동기 대비 4.0% 늘어난 190억원, 리바로젯은 같은 기간 17.4% 증가한 113억원의 매출액을 거뒀다.
박 연구원은 “지난해 2, 3분기 가동이 중단됐던 시화 원료 공장 역시 4분기 정상 가동되며 원가율 하락에 기여했다”며 “일회성 요인으로 반품율의 하락으로 올해 인식한 반품충당부채가 감소하며 매출액으로 인식됐다”고 말했다.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5.6% 증가한 715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1% 줄어든 652억원으로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리바로젯과 헴리브라가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지난해 대비 리바로의 올해 매출액은 6.6% 늘어난 811억원, 리바로젯은 58.3% 성장한 514억원, 헴리브라의 매출액은 40.0% 증가한 82억원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R&D 비용은 증가할 것”이라며 “통풍 치료제 파이프라인 URC-102은 올 상반기 임상 3상진입이 예상되며, 그 외에도 Wnt, STAT3 등 초기 파이프라인은 내년 임상 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 목표가에 연구개발(R&D) 파이프라인은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올해는 아토피 후보물질 JW1601의 임상 2상 결과 발표, 통풍 후보물질 URC-102 임상 3상 진입 등이 예정돼 있어 R&D 모멘텀을 통한 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자료> JW중외제약, 하나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852 | 7,194 | 7,485 |
영업이익 | 220 | 825 | 1,003 |
영업이익률 | 11.9% | 11.5% | 13.4% |
순이익 | 175 | 650 | 370 |
순이익률 | 9.4% | 9.0% | 4.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수액제 중심의 제약사
경기변동
전문의약품은 경기변동과 계절적 요인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으나, 일반 의약품은 경기변동에 민감
주요제품
기타 48.07%
영양수액 19.36%
리바로 16.40%
일반수액 12.76%
시그마트 2.01%
* 수치는 매출 비중
영양수액 19.36%
리바로 16.40%
일반수액 12.76%
시그마트 2.0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LIVALO (10.5%) : 고콜레스트롤 치료제 원료 (tab당 12년 448원 → 13년 229원 → 14년 189원 → 15년 152원 → 16년 170원 → 17년 171원 → 18년3Q 165원)
▷ LACTULOSE (3.1%) : 변비,간성혼수 치료제 원료
▷ NICORANDIL (3.2%) 협심증 치료제 원료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 LACTULOSE (3.1%) : 변비,간성혼수 치료제 원료
▷ NICORANDIL (3.2%) 협심증 치료제 원료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실적변수
▷ 국내 수액제 및 영양제 시장 확대 시 수혜
▷ 고령화 가속화 시 수혜
▷ 신약 개발 성공 시 수혜
▷ 고령화 가속화 시 수혜
▷ 신약 개발 성공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33.65%
- 유동비율 146.35%
- 당좌비율 102.47%
- 이자보상배율 5.64%
- 금융비용부담률 1.51%
- 자본유보율 264.95%
- 부채비율 233.65%
- 유동비율 146.35%
- 당좌비율 102.47%
- 이자보상배율 5.64%
- 금융비용부담률 1.51%
- 자본유보율 264.95%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