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DSR, V차트로 분석하기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DSR은 합성섬유로프, 스테인리스 와이어, 와이어로프 등을 판매하는 회사다. 3분기 누적 기준 지역별 매출 비중은 한국 68%, 중국 22.6%, 미국 20.4%, 베트남 14.5%다.
회사의 주표 지표를 보면, 주가순이익배수(PER)은 5년 평균 7.9배보다 낮은 4.2배를 기록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은 5년 평균과 비슷한 0.5배로 나타났다.
[그림] 주요 투자지표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는데, 2021년 2분기부터 증가 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이에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급격히 증가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실적의 증가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의 상승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8.8%, 6.8%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83~89% 사이를 안정적으로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한편, 판관비율의 등락 폭은 상대적으로 컸는데, 최근 하락하는 모양새다. 2022년 3분기 연환산 기준 판관비율은 7.3%로, 과거 최저치에 근접한 상황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회사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재고자산 관리는 비교적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8.8%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최근 11.8%까지 급격히 올랐다. 과거 ROE 5년 평균은 6.69%로, 현재 ROE가 크게 올랐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주가순자산배수(PBR)은 2021년 3분기부터 하락해 현재에 이르렀다. ROE가 상승하는 가운데, PBR은 하락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듀퐁분석으로 더 자세히 보면, 최근 순이익률과 재무레버리지가 증가하며 ROE를 크게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최근 번 이익이 유형자산으로 쌓였다는 점이다. 회사는 지난 3월 서울사무소 사옥 활용과 임대 목적으로 465억원 규모의 유형자산을 취득했다고 알렸다.
[그래프7] 이익축적(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86.9%, 132.8%를 기록했다. 최근 부채비율이 높아졌지만 100% 이하를 유지하며, 재무 안전성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다만, 차입금이 크게 증가한 것은 주의해야 한다. 차입금 증가로, 자산 대비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31.3%로 상승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한편, 최근 실적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17.3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DSR의 주가는 지난해 10월 17일 4390원을 기록한 후 반등해 약 한 달만에 6700원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이후 주가는 상승을 이어가지 못하고 박스권 흐름을 보여준다.
한편, 순이익 지수는 2018년 3분기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회사의 주표 지표를 보면, 주가순이익배수(PER)은 5년 평균 7.9배보다 낮은 4.2배를 기록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은 5년 평균과 비슷한 0.5배로 나타났다.
[그림] 주요 투자지표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는데, 2021년 2분기부터 증가 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이에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급격히 증가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실적의 증가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의 상승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8.8%, 6.8%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83~89% 사이를 안정적으로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한편, 판관비율의 등락 폭은 상대적으로 컸는데, 최근 하락하는 모양새다. 2022년 3분기 연환산 기준 판관비율은 7.3%로, 과거 최저치에 근접한 상황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회사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재고자산 관리는 비교적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8.8%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최근 11.8%까지 급격히 올랐다. 과거 ROE 5년 평균은 6.69%로, 현재 ROE가 크게 올랐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주가순자산배수(PBR)은 2021년 3분기부터 하락해 현재에 이르렀다. ROE가 상승하는 가운데, PBR은 하락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듀퐁분석으로 더 자세히 보면, 최근 순이익률과 재무레버리지가 증가하며 ROE를 크게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최근 번 이익이 유형자산으로 쌓였다는 점이다. 회사는 지난 3월 서울사무소 사옥 활용과 임대 목적으로 465억원 규모의 유형자산을 취득했다고 알렸다.
[그래프7] 이익축적(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86.9%, 132.8%를 기록했다. 최근 부채비율이 높아졌지만 100% 이하를 유지하며, 재무 안전성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다만, 차입금이 크게 증가한 것은 주의해야 한다. 차입금 증가로, 자산 대비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31.3%로 상승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한편, 최근 실적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17.3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DSR의 주가는 지난해 10월 17일 4390원을 기록한 후 반등해 약 한 달만에 6700원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이후 주가는 상승을 이어가지 못하고 박스권 흐름을 보여준다.
한편, 순이익 지수는 2018년 3분기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741 | 2,998 | 2,911 |
영업이익 | 57 | 153 | 243 |
영업이익률 | 7.7% | 5.1% | 8.3% |
순이익 | 43 | 145 | 175 |
순이익률 | 5.7% | 4.9% | 6.0%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합성섬유로프, 스테인리스로프 및 경강선 제조사(2013.5 상장)
경기변동
▷ 합성섬유로프는 원양수산, 조선 중공업 등 활용 범위가 넓어 일반적인 경기변동의 영향은 적은 편임
▷ 스테인레스 와이어는 원재료인 니켈, 몰리브덴 등의 비철금속 가격에 민감함
▷ 스테인레스 와이어는 원재료인 니켈, 몰리브덴 등의 비철금속 가격에 민감함
주요제품
한국내 사업 68.04%
중국내 사업 23.41%
미국내 사업 19.98%
베트남 사업 14.14%
내부거래 -25.58%
* 수치는 매출 비중
중국내 사업 23.41%
미국내 사업 19.98%
베트남 사업 14.14%
내부거래 -25.5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STS ROD (25.7%) : 세아창원특수강 등에서 매입
▷ NYLON 외 (11.8%) : DSM 등에서 매입
▷ PE,PP RESIN (3.8%) : SK 종합화학 등에서 매입
▷ HC ROD외 (23.6%) : 중국 사업에 사용
▷ 합성섬유로프 외 (21.3%) : 미국 사업에 사용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NYLON 외 (11.8%) : DSM 등에서 매입
▷ PE,PP RESIN (3.8%) : SK 종합화학 등에서 매입
▷ HC ROD외 (23.6%) : 중국 사업에 사용
▷ 합성섬유로프 외 (21.3%) : 미국 사업에 사용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수출 비중 높아 환율에 민감함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68.17%
- 유동비율 156.02%
- 당좌비율 67.08%
- 이자보상배율 49.19%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148.67%
- 부채비율 68.17%
- 유동비율 156.02%
- 당좌비율 67.08%
- 이자보상배율 49.19%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148.67%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