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SNT모티브, 전기차 수요 증가 수혜주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SNT모티브는 한국형 소화기를 제조하는 방위산업을 모태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축적된 정밀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부품 사업에 진출했다. 자동차부품 주요 고객사로는 GM, 현대기아차가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 매출 비중은 모터 40.5%, 엔진부품 26.3%, 전자전장품 6.7%, 현가장치 5.3%, 에어백 1.6%, SCMC(반도체장비 부품) 8.4%, 기타사업 11.2%다.
SNT모티브는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85.6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0.9%에 해당 하는 점수다.
회사는 밸류스코어 세부 항목 중 △안전성 96점 △수익성 94점 △최근 분기 실적 91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배당매력 점수도 80점으로, 눈여겨 볼 만하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액은 2022년 2분기 8978억원을 저점으로 반등해 2022년 연간 매출액 1조449억원으로 증가했다. 과거 매출액 흐름을 보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영업이익은 매출액 흐름과 함께 등락을 반복했다. 순이익도 큰 틀에서 그 흐름을 같이 했으나, 그 변동폭은 비교적 컸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0.7%, 8.4%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순이익률은 등락 폭이 큰 모습을 보였다. 특히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이 상승한 반면, 순이익은 하락해 아쉬움을 남겼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비용 구조를 알 수 있는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차트를 보자. 매출원가율은 최고 87.9%에서 최소 81.9% 사이를 오르내리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판관비율은 상대적으로 변동 폭이 컸는데, 2021년 2분기 4.6%를 저점으로 상승해 작년 연간 기준 5.7%까지 올랐다. 그러나 현재 판관비율 수준은 과거 최고치였던 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022년 연간 기준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16.1%다. 최근 매출액 증가와 함께 재고자산 비중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96%다. 이는 5년 평균 6.81%에 비해 높다. 또, 최근 ROE는 상승 추세를 보였다가, 지난해 4분기에 조금 꺾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더 자세히 분석해보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이 차트에 따르면, 순이익률과 ROE의 흐름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총자산회전율은 최근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 같은 기간 재무레버리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SNT모티브의 시가배당률은 2020년 3.2% → 2021년 3.4% → 2022년 3.8%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주당 배당금은 같은 금액을 지급했으나, 큰 흐름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특징이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9.4%, 260.6%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안전성이 높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SNT모티브의 재무구조는 탄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회사가 가진 차입금은 약 2억원이다.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0%로,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은 7130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는 데 부담이 없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SNT모티브의 주가는 2021년 6월 7만2000원을 기록한 후 크게 하락해, 같은해 11월 4만1000원 수준까지 내려갔다. 이후 주가는 분명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박스권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순이익 지수는 2020년 4분기 이후 상승세를 타는 모습이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8일 삼성증권 임은영, 강희진 연구원은 SNT모티브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다. 두 연구원은 투자 포인트로 "1)고객사의 파생전기차 배터리 리콜 이슈 이후 생산 재개 및 급증 전망, 2)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판매 증가, 3)글로벌 완성차의 전기차 대량 생산 체제 구축해 밸류체인 다변화 4)꾸준한 방산 및 반도체 장비 매출"을 꼽았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지난해 연간 기준 매출 비중은 모터 40.5%, 엔진부품 26.3%, 전자전장품 6.7%, 현가장치 5.3%, 에어백 1.6%, SCMC(반도체장비 부품) 8.4%, 기타사업 11.2%다.
SNT모티브는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85.6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0.9%에 해당 하는 점수다.
회사는 밸류스코어 세부 항목 중 △안전성 96점 △수익성 94점 △최근 분기 실적 91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배당매력 점수도 80점으로, 눈여겨 볼 만하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액은 2022년 2분기 8978억원을 저점으로 반등해 2022년 연간 매출액 1조449억원으로 증가했다. 과거 매출액 흐름을 보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영업이익은 매출액 흐름과 함께 등락을 반복했다. 순이익도 큰 틀에서 그 흐름을 같이 했으나, 그 변동폭은 비교적 컸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0.7%, 8.4%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순이익률은 등락 폭이 큰 모습을 보였다. 특히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이 상승한 반면, 순이익은 하락해 아쉬움을 남겼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비용 구조를 알 수 있는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차트를 보자. 매출원가율은 최고 87.9%에서 최소 81.9% 사이를 오르내리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판관비율은 상대적으로 변동 폭이 컸는데, 2021년 2분기 4.6%를 저점으로 상승해 작년 연간 기준 5.7%까지 올랐다. 그러나 현재 판관비율 수준은 과거 최고치였던 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022년 연간 기준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16.1%다. 최근 매출액 증가와 함께 재고자산 비중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96%다. 이는 5년 평균 6.81%에 비해 높다. 또, 최근 ROE는 상승 추세를 보였다가, 지난해 4분기에 조금 꺾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더 자세히 분석해보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이 차트에 따르면, 순이익률과 ROE의 흐름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총자산회전율은 최근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 같은 기간 재무레버리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SNT모티브의 시가배당률은 2020년 3.2% → 2021년 3.4% → 2022년 3.8%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주당 배당금은 같은 금액을 지급했으나, 큰 흐름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특징이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9.4%, 260.6%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안전성이 높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SNT모티브의 재무구조는 탄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회사가 가진 차입금은 약 2억원이다.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0%로,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은 7130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는 데 부담이 없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SNT모티브의 주가는 2021년 6월 7만2000원을 기록한 후 크게 하락해, 같은해 11월 4만1000원 수준까지 내려갔다. 이후 주가는 분명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박스권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순이익 지수는 2020년 4분기 이후 상승세를 타는 모습이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8일 삼성증권 임은영, 강희진 연구원은 SNT모티브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다. 두 연구원은 투자 포인트로 "1)고객사의 파생전기차 배터리 리콜 이슈 이후 생산 재개 및 급증 전망, 2)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판매 증가, 3)글로벌 완성차의 전기차 대량 생산 체제 구축해 밸류체인 다변화 4)꾸준한 방산 및 반도체 장비 매출"을 꼽았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262 | 9,689 | 11,363 |
영업이익 | 230 | 981 | 1,166 |
영업이익률 | 10.2% | 10.1% | 10.3% |
순이익 | 213 | 1,043 | 870 |
순이익률 | 9.4% | 10.8% | 7.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S&T홀딩스 계열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 한국GM이 주 매출처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한국GM 자동차 판매대수의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차량부품 84.24%
기타 15.76%
* 수치는 매출 비중
기타 15.76%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Magnetic, Airbag Inflato
▷ Steel Tube, Steel Coil, Aluminum Coil, Steel Plate & Sheet 등
▷ Steel Tube, Steel Coil, Aluminum Coil, Steel Plate & Sheet 등
실적변수
▷ 한국GM 자동차 생산량 증가시 수혜
▷ 원/달러, 원/유로 환율 상승시 수혜
▷ 원/달러, 원/유로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4.64%
- 유동비율 274.70%
- 당좌비율 210.12%
- 이자보상배율 4,491.48%
- 자본유보율 1,065.98%
- 부채비율 34.64%
- 유동비율 274.70%
- 당좌비율 210.12%
- 이자보상배율 4,491.48%
- 자본유보율 1,065.98%
신규사업
▷ 자동차 부품 공급 예정
- 유럽GM에 차세대 디젤엔진용 오일펌프 공급 예정
- GM 9BUx 계기판, 현가장치 공급예정
- BW TTS를 통한 Ford 와 FCA Transfer Case Motor 공급 예정
▷ 발전설비
- 강릉 안인 화력발전 2018년 내 진행
- 유럽GM에 차세대 디젤엔진용 오일펌프 공급 예정
- GM 9BUx 계기판, 현가장치 공급예정
- BW TTS를 통한 Ford 와 FCA Transfer Case Motor 공급 예정
▷ 발전설비
- 강릉 안인 화력발전 2018년 내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