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매출 순항에 목표가↑”-하이
[아이투자 조양희]하이투자증권은 2일 나노신소재에 대해 성장 동력인 이차전지용 탄소나노튜브(CNT) 도전재 매출이 올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가를 기존 13만5000원에서 16만5000원으로 올렸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CNT 도전재 매출이 분기별 점진적으로 늘어나면서 연간으로는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54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1분기부터 주력 고객사들의 양극재용 CNT 도전재 적용이 확대될 예정”이라며 “주요완성차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의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2024년형 신차모델부터 본격화하면서 배터리 셀 생산은 오는 4분기부터 늘어날 것”으로 봤다.
올해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62억원, 226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45%, 34%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더욱 확대되는 내년과 2025년 영업이익은 각각 458억원, 83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3%, 82% 성장하며 이차전지 소재 업종 내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향후 테슬라는 소재, 생산 공정의 최적화를 통해 4680 배터리 성능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건식공정 기반 음극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SWCNT 도전재를 적용할 경우 높은 CNT 분산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나노신소재와의 협업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편 나노신소재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87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동기 대비 각각 21%, 134%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치(매출액 230억원, 영업이익 50억원) 대비 하회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CNT 도전재 매출이 분기별 점진적으로 늘어나면서 연간으로는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54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1분기부터 주력 고객사들의 양극재용 CNT 도전재 적용이 확대될 예정”이라며 “주요완성차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의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2024년형 신차모델부터 본격화하면서 배터리 셀 생산은 오는 4분기부터 늘어날 것”으로 봤다.
올해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62억원, 226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45%, 34%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더욱 확대되는 내년과 2025년 영업이익은 각각 458억원, 83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3%, 82% 성장하며 이차전지 소재 업종 내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향후 테슬라는 소재, 생산 공정의 최적화를 통해 4680 배터리 성능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건식공정 기반 음극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SWCNT 도전재를 적용할 경우 높은 CNT 분산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나노신소재와의 협업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편 나노신소재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87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동기 대비 각각 21%, 134%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치(매출액 230억원, 영업이익 50억원) 대비 하회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23 | 878 | 832 |
영업이익 | 3 | 30 | 119 |
영업이익률 | 1.3% | 3.4% | 14.3% |
순이익 | 8 | -19 | 168 |
순이익률 | 3.4% | -2.1% | 20.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전지 소재 제조 기업
경기변동
▷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
주요제품
기타기능성소재 30.79%
이차전지소재 27.84%
디스플레이소재 17.91%
반도체소재 13.05%
태양전지소재 10.40%
* 수치는 매출 비중
이차전지소재 27.84%
디스플레이소재 17.91%
반도체소재 13.05%
태양전지소재 10.40%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인듐 : 디스플레이용 투명 전극 원재료
▷ Tin oxide
▷ Tin oxide
실적변수
▷ 디스플레이/반도체/태양전지 등 전방산업 호황시 수혜
▷ 수출비중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 수출비중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3.84%
- 유동비율 458.82%
- 당좌비율 274.20%
- 이자보상배율 45.19%
- 금융비용부담률 0.43%
- 자본유보율 1,826.04%
- 부채비율 23.84%
- 유동비율 458.82%
- 당좌비율 274.20%
- 이자보상배율 45.19%
- 금융비용부담률 0.43%
- 자본유보율 1,826.04%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