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흥국, 재무구조 튼튼한 건설기계 관련주

03/17 15:51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흥국은 건설기계의 하부 구동 부품인 트랙 롤러(Track Roller)와 캐리어 롤러(Carrier Rollar), 아이들러(Idler), 텐션 실린더(Tension Cylinder) 등의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이다. 작년 연간 기준 매출 비중은 건설기계부품 외 88%, 부자재 외 12%다.

흥국의 연환산 매출액은 2018년 4분기 902억원을 기록한 후 감소해 2020년 9월 675억원을 올렸다. 이후 반등 후 증가해 2022년 3분기 996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순이익의 증가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0%, 13%다. 두 지표 모두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순이익률의 상승폭이 특별히 컸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그 수준은 조금씩 낮아졌다. 이 비율은 과거 최고 90%, 최저 81%를 기록했다. 작년 3분기 기준으로는 83.5%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의 비용이 매출원가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판관비율은 2019년 4분기 9.7%로 고점을 찍은 후, 하락해 2022년 3분기 6.3%까지 낮아졌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액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 비중은 작년 3분기에 조정을 받는 모양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5%로, 5년 평균 13.1%보다 낮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4분기 21.5%를 고점으로, 2022년 1분기 20.5% → 2분기 20.9% → 3분기 16.5%로 하락세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021년 2분기 2.59배를 기록한 후 하락해 16일 시총과 작년 3분기 연환산 기준 0.8배를 기록했다. 또, 5년 평균 1.03배보다 낮은 수준을 보인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최근 급격히 상승 후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총자산회전율은 1~1.1배 수준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재무레버리지는 계속해서 하락하는 모양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주당 배당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인상적이다. 배당금의 증가 흐름은 2018년 125원 → 2019년 150원 → 2020년 180원 → 2021년 200원 → 2022년 220원으로, 4년 연속 증가했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23.2%, 400%다. 보통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흥국의 재무 안전성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차입금이 꾸준히 감소하며, 차입금 비중이 하락한 것도 재무 안전성이 매력이 높은 이유다. 작년 3분기 기준 차입금 비중은 6.8%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10% 이하일 때 재무 안전성이 매력적이라 말한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022년 3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68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가와 순이익 지수가 전반적으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순이익 지수는 2022년 2분기 고점을 찍은 후 하락 전환한 모습이다. 주가는 2021년 6월 1만2750원을 기록한 후 하락해 2022년 9월 4970원까지 떨어졌다. 그러다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흥국은 지난 15일 2022년 사업보고서를 공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작년 연간 매출로 134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5.1% 감소한 실적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지배)도 각각 19%, 28% 감소한 112억원, 85억원을 올렸다.

16일 기준 흥국의 시가총액은 755억원으로, 소형주에 해당한다. 주가는 연초 대비 약 11% 정도 올랐다. 최근 한 달간 기관과 외국인은 흥국 주식을 각각 약 10억원, 4억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2025.3 2024.12 2023.12
매출액 333 1,287 1,494
영업이익 36 88 158
영업이익률 10.9% 6.8% 10.6%
순이익 32 106 132
순이익률 9.5% 8.2% 8.8%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굴삭기 롤러,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국내외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건설기계부품 88.56%
부자재 외 11.44%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환봉 외 (93.5%) : 건설기계부품 및 단조품 제조용
▷ 윤활유 외 (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국내외 철강가격 하락시 원가율 향상
▷ 매출처(볼보,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의 생산성 증대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41.76%
- 유동비율 288.79%
- 당좌비율 148.30%
- 이자보상배율 50.91%
- 금융비용부담률 0.17%
- 자본유보율 1,322.69%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 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