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삼성엔지니어링, 순이익 추정치 상향에 목표가↑”-메리츠
[아이투자 조양희]메리츠증권은 4일 삼성엔지니어링에 대해 순이익 추정치를 상향하고 예상 COE 하락(금리 하락)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3만50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만1100원이다,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소폭 밑돌 전망이지만 화공 수주가 본격화되는 2분기 이후 수주 상황을 지켜보고 추가 매수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삼성엔지니어링의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 줄어든 1709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1805억원)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봤다.
문경원 연구원은 “전분기 비화공 부문의 마진 개선을 이끌었던 일부 프로젝트의 매출 인식액이 감소하지만, 화공 부문의 마진 회복이 수익성을 방어할 것”이라며 “화공 부문의 두 자릿수 매출총이익률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데 매출 믹스(mix)가 크게 변화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분기에는 눈에 띄는 수주 공시가 없었는데, 2분기 화공 수주에 주목했다. 그는 “4월 말 라마단 기간이 끝난 이후 5~6월 사우디 자푸라 2 가스전(20억 달러) 수주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현대건설 등과 경쟁 입찰 중으로, 발주처에서 발주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적극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프로젝트 수주 성공 시 연간 수주 가이던스 12조원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며 “UAE 해일앤가샤, 텍사스 LNG 프로젝트 등 입찰 경쟁 리스크가 없는 프로젝트들의 발주가 하반기 이어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소폭 밑돌 전망이지만 화공 수주가 본격화되는 2분기 이후 수주 상황을 지켜보고 추가 매수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삼성엔지니어링의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 줄어든 1709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1805억원)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봤다.
문경원 연구원은 “전분기 비화공 부문의 마진 개선을 이끌었던 일부 프로젝트의 매출 인식액이 감소하지만, 화공 부문의 마진 회복이 수익성을 방어할 것”이라며 “화공 부문의 두 자릿수 매출총이익률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데 매출 믹스(mix)가 크게 변화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분기에는 눈에 띄는 수주 공시가 없었는데, 2분기 화공 수주에 주목했다. 그는 “4월 말 라마단 기간이 끝난 이후 5~6월 사우디 자푸라 2 가스전(20억 달러) 수주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현대건설 등과 경쟁 입찰 중으로, 발주처에서 발주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적극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프로젝트 수주 성공 시 연간 수주 가이던스 12조원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며 “UAE 해일앤가샤, 텍사스 LNG 프로젝트 등 입찰 경쟁 리스크가 없는 프로젝트들의 발주가 하반기 이어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0,980 | 99,666 | 106,249 |
영업이익 | 1,573 | 9,716 | 9,931 |
영업이익률 | 7.5% | 9.7% | 9.3% |
순이익 | 1,506 | 7,569 | 7,538 |
순이익률 | 7.2% | 7.6% | 7.1%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폴랜트가 주력인 종합 엔지니어링 회사
경기변동
국가의 경제 성장 정책이나 투자 계획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산업 특성상 별도 설비가 없으며, 설계를 바탕으로 주문생산 제작하고 있어 주요원재료 산출불가
실적변수
▷ 유가 상승시 플랜트 발주량 증가
▷ 계열사 설비투자 증가시 수주 증가
▷ 계열사 설비투자 증가시 수주 증가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95.91%
- 유동비율 119.07%
- 당좌비율 88.84%
- 이자보상배율 303.34%
- 금융비용부담률 0.03%
- 자본유보율 112.68%
- 부채비율 195.91%
- 유동비율 119.07%
- 당좌비율 88.84%
- 이자보상배율 303.34%
- 금융비용부담률 0.03%
- 자본유보율 112.68%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