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노바텍, 제품군 사용처 확대 기대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노바텍은 네오디뮴 자석(NdFeB, 희토류 금속계 자석)을 이용해 응용자석 사업을 하고 있다. 회사의 제품은 태블릿PC,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신재생에너지와 자동차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작년 연간기준 매출 비중은 자석(Magnet) 59.2%, 심재 39.2%, 기타 1.6%다.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96%, 4%다.
노바텍의 매출액은 2021년 905억원에서 2022년 1105억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분기별로 보면 지난 3분기 매출액 최대치를 기록한 후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2분기 398억원을 기록한 후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순이익은 2021년 4분기 406억원을 기록한 후 감소해 2022년 4분기 166억원를 기록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4%, 15%를 기록했다. 과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의 최고치는 각각 44.8%, 46.4%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상승세다. 이 비율은 2021년 2분기 38.3%를 기점으로 올라 2022년 4분기 59.3%까지 상승했다. 한편, 판관비율은 2021년 2분기 20.6%를 기록한 후 하락해 2022년 3분기 11.6%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작년 4분기 다시 상승해 16.8%를 기록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4.9%다. 이 비중은 2021년 4분기 14.2%를 기록한 후 현재까지 하락세를 이어온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2.9%를 기록했다. 이는 5년 평균 ROE 29.8%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 ROE는 2021년 2분기 35.9%를 기록한 후 현재까지 내림세를 보인다.
5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12배로, 5년 평균 2.99배보다 낮다. PBR도 2021년 1분기 4.47배를 기록한 후 계속 하락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해보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2021년 3분기 이후 현재까지 하락세를 이어온다.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9년부터 배당을 실시했다. 주당 배당금 변화는 2019년 115원 → 2020년 143원 → 2021년 143원 → 2022년 200원이다. 작년 연간 기준 시가배당률은 1%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9.6%, 1167.3%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노바텍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022년 연간 기준 회사의 차입금은 3억원이며, 차입금 비중은 0.2%다. 이를 통해 회사는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이 2212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주가와 순이익 지수는 같은 방향으로 웁직이는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순이익 지수는 아직 반등하지 못한 가운데, 주가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연구원은 세 가지 체크포인트를 제시했다. 정 연구원은 "첫째, 자동차용 조향장치(MPS)&브레이크 시스템 등의 신규 제품 군으로 영역확대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차량 내 전장부품 증가 수혜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둘째, 노바텍의 제품이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셋째 로봇 시장이 확대될 경우 관절용 차폐자석에 사용되는 응용자석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관심 기업의 V차트도 검색해보세요(로그인 후 검색 가능)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작년 연간기준 매출 비중은 자석(Magnet) 59.2%, 심재 39.2%, 기타 1.6%다.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96%, 4%다.
노바텍의 매출액은 2021년 905억원에서 2022년 1105억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분기별로 보면 지난 3분기 매출액 최대치를 기록한 후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2분기 398억원을 기록한 후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순이익은 2021년 4분기 406억원을 기록한 후 감소해 2022년 4분기 166억원를 기록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4%, 15%를 기록했다. 과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의 최고치는 각각 44.8%, 46.4%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상승세다. 이 비율은 2021년 2분기 38.3%를 기점으로 올라 2022년 4분기 59.3%까지 상승했다. 한편, 판관비율은 2021년 2분기 20.6%를 기록한 후 하락해 2022년 3분기 11.6%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작년 4분기 다시 상승해 16.8%를 기록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 기준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4.9%다. 이 비중은 2021년 4분기 14.2%를 기록한 후 현재까지 하락세를 이어온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2.9%를 기록했다. 이는 5년 평균 ROE 29.8%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 ROE는 2021년 2분기 35.9%를 기록한 후 현재까지 내림세를 보인다.
5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12배로, 5년 평균 2.99배보다 낮다. PBR도 2021년 1분기 4.47배를 기록한 후 계속 하락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해보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2021년 3분기 이후 현재까지 하락세를 이어온다.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9년부터 배당을 실시했다. 주당 배당금 변화는 2019년 115원 → 2020년 143원 → 2021년 143원 → 2022년 200원이다. 작년 연간 기준 시가배당률은 1%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9.6%, 1167.3%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노바텍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022년 연간 기준 회사의 차입금은 3억원이며, 차입금 비중은 0.2%다. 이를 통해 회사는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이 2212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주가와 순이익 지수는 같은 방향으로 웁직이는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순이익 지수는 아직 반등하지 못한 가운데, 주가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연구원은 세 가지 체크포인트를 제시했다. 정 연구원은 "첫째, 자동차용 조향장치(MPS)&브레이크 시스템 등의 신규 제품 군으로 영역확대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차량 내 전장부품 증가 수혜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둘째, 노바텍의 제품이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셋째 로봇 시장이 확대될 경우 관절용 차폐자석에 사용되는 응용자석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관심 기업의 V차트도 검색해보세요(로그인 후 검색 가능)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71 | 658 | 924 |
영업이익 | 35 | 126 | 256 |
영업이익률 | 20.2% | 19.2% | 27.7% |
순이익 | 38 | 173 | 297 |
순이익률 | 22.1% | 26.3% | 32.1%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스마트 기기 관련 응용자석 및 모듈 제조업체
경기변동
▷ 주요 고객사의 스마트 기기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스마트 기기 출시 시기를 다소 선행하여 매출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음
▷ 스마트 기기 출시 시기를 다소 선행하여 매출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자석
▷ 쉴드(CAP)
▷ 에폭시
▷ 프리프레그
▷ 쉴드(CAP)
▷ 에폭시
▷ 프리프레그
실적변수
▷ 스마트 기기 내 자석의 채용 수 증가
▷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각종 제품에 응용
▷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각종 제품에 응용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5.01%
- 유동비율 798.35%
- 당좌비율 445.13%
- 이자보상배율 5,884.30%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2,316.75%
- 부채비율 15.01%
- 유동비율 798.35%
- 당좌비율 445.13%
- 이자보상배율 5,884.30%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2,316.75%
신규사업
▷ 차폐자석 기술을 활용한 무선 충전기기 사업
▷ 스마트 기기 외에 모터,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
▷ 스마트 기기 외에 모터,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