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LG이노텍, 2분기 흑자 유지 전망…목표가 상향”-키움
[아이투자 조양희]키움증권은 2일 LG이노텍이 2분기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36만원에서 38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0만4000원이다.
2분기는 22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우호적인 환율 효과와 원가 절감 노력이 뒷받침되고 있고, 아이폰 판매량도 우려보다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4월까지 아이폰의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6% 감소한 수준이다.
이어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확실한 모멘텀은 신형 아이폰 출시 효과”라며 “광학솔루션의 판가(P)와 출하량(Q) 모두 전작보다 의미있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3분기 영업이익은 34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할 전망이며, 4분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89% 증가한 4912억원으로 추정된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최상위 모델의 폴디드줌 카메라 채용, 4800만 화소 카메라 전 모델 확대, 전면 3D 모듈 구조 변화 등에 따라 판가가 의미 있게 상승할 전망이다. 액추에이터 내재화 효과도 긍정적이다.
출하량 측면에서는 연말까지 전작보다 10% 증가한 9000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생산 차질에 따른 기저효과가 더해지며, 프로 시리즈의 판매량 우위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신기술 도입에 따라 초기 수율 이슈가 상종하고 있지만, LG이노텍는 늘 선제 대응을 통해 점유율 상승의 기회로 활용했다”며 “내년에는 광학솔루션의 경쟁 도구가 우호적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으며 폴디드줌 카메라의 채용 모델 수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분기는 22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우호적인 환율 효과와 원가 절감 노력이 뒷받침되고 있고, 아이폰 판매량도 우려보다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4월까지 아이폰의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6% 감소한 수준이다.
이어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확실한 모멘텀은 신형 아이폰 출시 효과”라며 “광학솔루션의 판가(P)와 출하량(Q) 모두 전작보다 의미있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3분기 영업이익은 34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할 전망이며, 4분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89% 증가한 4912억원으로 추정된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최상위 모델의 폴디드줌 카메라 채용, 4800만 화소 카메라 전 모델 확대, 전면 3D 모듈 구조 변화 등에 따라 판가가 의미 있게 상승할 전망이다. 액추에이터 내재화 효과도 긍정적이다.
출하량 측면에서는 연말까지 전작보다 10% 증가한 9000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생산 차질에 따른 기저효과가 더해지며, 프로 시리즈의 판매량 우위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신기술 도입에 따라 초기 수율 이슈가 상종하고 있지만, LG이노텍는 늘 선제 대응을 통해 점유율 상승의 기회로 활용했다”며 “내년에는 광학솔루션의 경쟁 도구가 우호적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으며 폴디드줌 카메라의 채용 모델 수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49,828 | 212,008 | 206,053 |
영업이익 | 1,251 | 7,060 | 8,308 |
영업이익률 | 2.5% | 3.3% | 4.0% |
순이익 | 856 | 4,493 | 5,652 |
순이익률 | 1.7% | 2.1% | 2.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LG계열의 전기전자부품 제조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고객사 IT 기기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광학솔루션부문 : 이미지센서 (33%), 렌즈 (23%), VCM (15%) 등
▷ 기판소재부문 : FCCL (16%), Chemical (16%), CCL/PP (15%)등
▷ 전장부품부문 : IC (35%), 차량 Assy (17%), PCB (6%) 등
▷ LED부문 : PCB (21%), Lead Frame (9%), Wafer (9%) 등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기판소재부문 : FCCL (16%), Chemical (16%), CCL/PP (15%)등
▷ 전장부품부문 : IC (35%), 차량 Assy (17%), PCB (6%) 등
▷ LED부문 : PCB (21%), Lead Frame (9%), Wafer (9%) 등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LG전자, 애플 등 고객사 IT기기 완제품 판매 증가시 수혜
▷ 수출 비중 높안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 수출 비중 높안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29.87%
- 유동비율 139.65%
- 당좌비율 87.61%
- 이자보상배율 39.73%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878.43%
- 부채비율 129.87%
- 유동비율 139.65%
- 당좌비율 87.61%
- 이자보상배율 39.73%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878.43%
신규사업
▷ Automotive, Energy, Living & Eco분야 및 미래 유망 분야의 핵심 소재/부품 사업 지속적인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