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한화솔루션, 신재생 사업에 대한 우려 과도해"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한화솔루션은 석유화학사업과 태양광사업, 플라스틱제품 제조, 소매업, 부동산업을 한다. 회사는 원료부문에서 PE, PVC, CA, TDI 제품 등을 생산하며, 태양광 제품은 셀과 모듈도 만든다.
한화솔루션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최근 그 증가폭이 커졌다. 영업이익은 2019년 3분기부터 반등해 최근까지 증가세를 이어왔다. 그러나 순이익은 최근 감소 후 조정을 거치는 모습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8%, 2.7%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재차 반등 후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순이익률은 하향 조정됐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판관비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9%, 13.1%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022년 3분기 27.4%까지 올랐다가 하락해 2023년 1분기 23.3%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4%다. 이는 5년 평균 3.2%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2분기 8.7%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1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1배로, 5년 평균 0.86배에 비해 높다. PBR은 2022년 2분기 0.82배를 저점으로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 후 2~3%대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은 2분기 연속 상승했다.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9년까지 배당을 지급한 후 지난 3년동안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36.4%, 130.7%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한화솔루션의 재무 안전성은 아쉬운 모습이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2022년 3분기 8조1809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한 후 2개 분기 연속 감소해 2023년 1분기 7조2159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2.6%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1배다. 이는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4배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순이익지수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주가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현대차증권 강동진 연구원은 "신재생 사업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며, "하반기 대폭 개선될 것이다"고 말했다. 또, "모듈-Wafer 스프레드는 최소 유지 또는 확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화학사업에 대해서는 "PVC/가성소다/EVA 모두 상대적으로 견조하며, 첨단소재 사업도 이익이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교보증권 박건영 연구원은 "글로벌 태양광 시장 내 중국업체들의 공급과잉에 따른 폴리실리콘, 태양광 셀/모듈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은 미국 주택용 태양광 시장에서 중장기적 성장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화솔루션의 미국 태양광전지 모듈 총 캐파(CAPA)는 2022년 1.7GW 수준에서 2024년 8.4GW 수준으로 확장될 예정이다"고 전했다. 이에 "웨이퍼 가격 하락에도 모듈 스프레드가 급격하게 하락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발전사업 매각이익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향후 단순한 셀/모듈 제조 및 판매를 넘어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 직접 생산과 판매까지 '태양광 밸류 체인(Value Cahin)'내 사업 영역 확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한화솔루션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최근 그 증가폭이 커졌다. 영업이익은 2019년 3분기부터 반등해 최근까지 증가세를 이어왔다. 그러나 순이익은 최근 감소 후 조정을 거치는 모습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8%, 2.7%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재차 반등 후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순이익률은 하향 조정됐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판관비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9%, 13.1%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022년 3분기 27.4%까지 올랐다가 하락해 2023년 1분기 23.3%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4%다. 이는 5년 평균 3.2%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2분기 8.7%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1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1배로, 5년 평균 0.86배에 비해 높다. PBR은 2022년 2분기 0.82배를 저점으로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 후 2~3%대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은 2분기 연속 상승했다.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9년까지 배당을 지급한 후 지난 3년동안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36.4%, 130.7%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한화솔루션의 재무 안전성은 아쉬운 모습이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2022년 3분기 8조1809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한 후 2개 분기 연속 감소해 2023년 1분기 7조2159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2.6%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1배다. 이는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4배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순이익지수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주가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현대차증권 강동진 연구원은 "신재생 사업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며, "하반기 대폭 개선될 것이다"고 말했다. 또, "모듈-Wafer 스프레드는 최소 유지 또는 확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화학사업에 대해서는 "PVC/가성소다/EVA 모두 상대적으로 견조하며, 첨단소재 사업도 이익이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교보증권 박건영 연구원은 "글로벌 태양광 시장 내 중국업체들의 공급과잉에 따른 폴리실리콘, 태양광 셀/모듈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은 미국 주택용 태양광 시장에서 중장기적 성장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화솔루션의 미국 태양광전지 모듈 총 캐파(CAPA)는 2022년 1.7GW 수준에서 2024년 8.4GW 수준으로 확장될 예정이다"고 전했다. 이에 "웨이퍼 가격 하락에도 모듈 스프레드가 급격하게 하락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발전사업 매각이익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향후 단순한 셀/모듈 제조 및 판매를 넘어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 직접 생산과 판매까지 '태양광 밸류 체인(Value Cahin)'내 사업 영역 확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0,945 | 123,940 | 130,785 |
영업이익 | 303 | -3,002 | 5,792 |
영업이익률 | 1.0% | -2.4% | 4.4% |
순이익 | -445 | -14,044 | -1,410 |
순이익률 | -1.4% | -11.3% | -1.1%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LDPE, PVC를 주력으로 하는 한화 계열의 종합 화학업체
경기변동
▷ 세계 경기 및 수급상황에 따라 호황과 불황기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순환형 산업
주요제품
태양광 71.16%
원료 52.56%
가공 9.77%
유통 4.30%
기타 3.7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료 52.56%
가공 9.77%
유통 4.30%
기타 3.7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에틸렌 (15년 1099USD → 16년 1096USD → 17년 1187USD → 18년1Q~2Q 1315USD → 18년3Q 1337USD)
▷ 프로필렌 (15년 788USD → 16년 716USDD → 17년 879USD → 18년1Q 998USD → 18년2Q 1027USD → 18년3Q 1084USD)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 프로필렌 (15년 788USD → 16년 716USDD → 17년 879USD → 18년1Q 998USD → 18년2Q 1027USD → 18년3Q 1084USD)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실적변수
▷ 제조원가의 60~80%가 원료비로, 유가변동에 따라 수익성 영향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53.33%
- 유동비율 104.79%
- 당좌비율 65.20%
- 이자보상배율 3.78%
- 금융비용부담률 1.41%
- 자본유보율 731.03%
- 부채비율 153.33%
- 유동비율 104.79%
- 당좌비율 65.20%
- 이자보상배율 3.78%
- 금융비용부담률 1.41%
- 자본유보율 731.03%
신규사업
▷ 수첨석유수지사업
- 여수 산업단지내 신규 수첨석유수지 5만톤 건설 사업(2019년까지)
- 여수 산업단지내 신규 수첨석유수지 5만톤 건설 사업(2019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