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리스트] 전력·설비 투자 증가..관심주는?
[아이투자 아이투자]지난주 반도체 업종에 이어 금주 아이투자(www.itooza.com) 스톡봇 레터는 전력 및 설비투자 관련 업종 내 관심주를 살펴보려 합니다.
신재생에너지 투자, 전기차 보급, AI(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데이터센터 투자, 폭염에 따른 냉방기기 사용 등 전력수요 증가 요인으로 관련 인프라 투자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중 패권다툼에 따른 공급망 재편, 즉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생산시설의 탈중국화는 설비투자를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반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가 소위 ‘FANG’으로 대표되는 ‘신경제’에 치우친 성장을 한 탓에, 인프라 등 ‘구산업’에 대한 투자가 소홀했습니다.
이런 환경 변화의 영향인지 올해 들어 2차전지, 로봇, AI 등 ‘핫한’ 테마가 돌아가며 강세를 나타내는 와중에 전력 및 설비투자 관련주의 주가는 견조한 흐름을 꾸준히 나타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이번 스톡봇 레터는 전력 인프라 및 설비투자 관련주 중 투자자가 관심을 둘 만한 종목을 선별해 봤습니다. 해당 주제와 연관성이 높은 종목을 선별하기 위해 전기장비, 기계 업종 종목을 추렸고, 스톡봇 수급점수가 높은 순으로 15개 종목을 정리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코윈테크와 SNT에너지, 효성중공업, 제룡전기, 디와이파워 등이 리스트에 포함됐습니다.
참고로 스톡봇 수급점수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단기 및 중장기 매수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산출합니다.
한편, 한국투자교육연구소(아이투자)의 종목분석 노하우가 집약된 '스톡봇'은 합리적 데이터에 근거해 선별한 유망종목을 소개하고,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키움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SK증권 등 10개 증권사 및 채널에서 스톡봇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키움증권 스톡봇 바로가기
(키움증권 MTS를 설치한 분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투자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행해진 거래에 대해 아이투자(www.itooza.com)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신재생에너지 투자, 전기차 보급, AI(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데이터센터 투자, 폭염에 따른 냉방기기 사용 등 전력수요 증가 요인으로 관련 인프라 투자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중 패권다툼에 따른 공급망 재편, 즉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생산시설의 탈중국화는 설비투자를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반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가 소위 ‘FANG’으로 대표되는 ‘신경제’에 치우친 성장을 한 탓에, 인프라 등 ‘구산업’에 대한 투자가 소홀했습니다.
이런 환경 변화의 영향인지 올해 들어 2차전지, 로봇, AI 등 ‘핫한’ 테마가 돌아가며 강세를 나타내는 와중에 전력 및 설비투자 관련주의 주가는 견조한 흐름을 꾸준히 나타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이번 스톡봇 레터는 전력 인프라 및 설비투자 관련주 중 투자자가 관심을 둘 만한 종목을 선별해 봤습니다. 해당 주제와 연관성이 높은 종목을 선별하기 위해 전기장비, 기계 업종 종목을 추렸고, 스톡봇 수급점수가 높은 순으로 15개 종목을 정리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코윈테크와 SNT에너지, 효성중공업, 제룡전기, 디와이파워 등이 리스트에 포함됐습니다.
참고로 스톡봇 수급점수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단기 및 중장기 매수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산출합니다.

한편, 한국투자교육연구소(아이투자)의 종목분석 노하우가 집약된 '스톡봇'은 합리적 데이터에 근거해 선별한 유망종목을 소개하고,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키움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SK증권 등 10개 증권사 및 채널에서 스톡봇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키움증권 스톡봇 바로가기
(키움증권 MTS를 설치한 분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투자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행해진 거래에 대해 아이투자(www.itooza.com)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64 | 2,444 | 3,360 |
영업이익 | -25 | 36 | 228 |
영업이익률 | -9.6% | 1.5% | 6.8% |
순이익 | 9 | 162 | 118 |
순이익률 | 3.3% | 6.6% | 3.5%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스마트팩토리 공정자동화시스템 업체
경기변동
▷ 2차전지 산업 전기차 정책에 영향 받음
주요제품
자동화시스템(2차전지) 58.37%
2차전지 시스템 엔지니어링 34.44%
자동화시스템(2차전지 외) 3.50%
유지보수 2.50%
2차전지 소재 1.19%
* 수치는 매출 비중
2차전지 시스템 엔지니어링 34.44%
자동화시스템(2차전지 외) 3.50%
유지보수 2.50%
2차전지 소재 1.19%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모터(15.6%)
▷ PLC(13.5%)
▷ 센서류(17.7%)
▷ 기구 구매품(24%)
▷ 제어 구매품(17.7%)
▷ 철강자재(5.5%)
▷공안자재(5.5%)
* 괄호 안은 2018년도 기준 매입 비중
▷ PLC(13.5%)
▷ 센서류(17.7%)
▷ 기구 구매품(24%)
▷ 제어 구매품(17.7%)
▷ 철강자재(5.5%)
▷공안자재(5.5%)
* 괄호 안은 2018년도 기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2차전지 업체들의 설비투자규모에 따른 수요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65.98%
- 유동비율 214.15%
- 당좌비율 198.66%
- 이자보상배율 15.04%
- 금융비용부담률 0.51%
- 자본유보율 2,228.70%
- 부채비율 65.98%
- 유동비율 214.15%
- 당좌비율 198.66%
- 이자보상배율 15.04%
- 금융비용부담률 0.51%
- 자본유보율 2,228.70%
신규사업
▷ 전기·전자업종 Clean 자동화시스템 수주 확대
▷ 자율주행 무인운반 시스템 역량 강화, Turn-Key 수주 확대
▷ 자율주행 무인운반 시스템 역량 강화, Turn-Key 수주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