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HL만도, 구조조정으로 수익성 개선"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HL만도는 차량의 제동, 조향, 현가 장치 등 운전자 안전과 편의에 관련된 제품을 개발·생산하는 업체다. 지역별 매출 비율은 한국 45.4%, 중국 25.1%, 미국 18.8%, 인도 9.8% 등이다.
HL만도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1년 2분기 고점을 기록한 후 조정을 받아 2022년 2분기까지 하락했다. 이후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순이익은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3.2%, 1.4%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은 하락한 가운데 순이익률은 상승해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85%에서 87% 사이를 오르내렸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은 86.7%다. 판관비율은 2022년 1분기 11%를 고점으로 하락해 올해 1분기 10.1%로 낮아졌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상승세를 보이다 최근 조정을 받았다. 이 비중은 1분기 연환산기준 9%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8%다. 이는 5년 평균 5.5%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2분기 13%를 고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19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02배로, 5년 평균 1.2배에 비해 낮다. PBR은 2021년 1분기 1.8배를 기록한 후 하락해 2022년 4분기 0.88배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서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2021년 2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은 상승 후 하락, 재무레버리지는 하락 후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20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배당을 지급했다. 다만, 주당 배당금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연간기준 주당 배당금은 500원, 시가배당률은 1.2%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은 2021년 22%, 2022년 24%를 기록했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57.1%, 138.6%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HL만도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아쉬운 모습이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차입금 규모는 증가하는 가운데, 1분기 연환산기준 차입금 비중은 34.5%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3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주가와 순이익지수는 함께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순이익지수가 반등한 가운데, 주가는 상승세를 보인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4일 삼성증권 임은영 연구원은 HL만도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다. 임 연구원은 "영업이익률이 2022년 4분기 2.6%를 저점으로 2023년 1분기 3.5% → 2분기 3.6% → 3분기 4.6% → 4분기 5.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영업이익률에 대해 "2011~2016년에 5~6%에서, 2017년이후 1~4%로 하락해 주식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졌다"며, "중국 공장과 한국 공장의 수익성 악화가 원인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회사는 "중국 공장을 6개에서 4개로 축소하고, 인력 구조 조정, 소품종 대량 생산을 하는 고객사 확보로 수익성을 향상했다"며, "중국 사업의 영업이익률은 2022년 이후 7%대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HL만도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1년 2분기 고점을 기록한 후 조정을 받아 2022년 2분기까지 하락했다. 이후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순이익은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3.2%, 1.4%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은 하락한 가운데 순이익률은 상승해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85%에서 87% 사이를 오르내렸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은 86.7%다. 판관비율은 2022년 1분기 11%를 고점으로 하락해 올해 1분기 10.1%로 낮아졌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상승세를 보이다 최근 조정을 받았다. 이 비중은 1분기 연환산기준 9%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8%다. 이는 5년 평균 5.5%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2분기 13%를 고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19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02배로, 5년 평균 1.2배에 비해 낮다. PBR은 2021년 1분기 1.8배를 기록한 후 하락해 2022년 4분기 0.88배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서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2021년 2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은 상승 후 하락, 재무레버리지는 하락 후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20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배당을 지급했다. 다만, 주당 배당금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연간기준 주당 배당금은 500원, 시가배당률은 1.2%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은 2021년 22%, 2022년 24%를 기록했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57.1%, 138.6%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HL만도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아쉬운 모습이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차입금 규모는 증가하는 가운데, 1분기 연환산기준 차입금 비중은 34.5%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3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주가와 순이익지수는 함께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순이익지수가 반등한 가운데, 주가는 상승세를 보인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4일 삼성증권 임은영 연구원은 HL만도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다. 임 연구원은 "영업이익률이 2022년 4분기 2.6%를 저점으로 2023년 1분기 3.5% → 2분기 3.6% → 3분기 4.6% → 4분기 5.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영업이익률에 대해 "2011~2016년에 5~6%에서, 2017년이후 1~4%로 하락해 주식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졌다"며, "중국 공장과 한국 공장의 수익성 악화가 원인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회사는 "중국 공장을 6개에서 4개로 축소하고, 인력 구조 조정, 소품종 대량 생산을 하는 고객사 확보로 수익성을 향상했다"며, "중국 사업의 영업이익률은 2022년 이후 7%대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2,710 | 88,482 | 83,931 |
영업이익 | 792 | 3,588 | 2,793 |
영업이익률 | 3.5% | 4.1% | 3.3% |
순이익 | 279 | 1,299 | 1,356 |
순이익률 | 1.2% | 1.5% | 1.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HL그룹 계열의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경기변동
▷ 대표적인 경기 민감형 산업으로 완성차 차량 판매량과 자동차 보급대수의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ASS'Y PAD: 12년 3221원 → 13년 3236원 → 14년 3391원 → 15년 2717원 → 16년 2682원
▷ ECU ASS'Y: 12년 3만4409원 → 13년 3만2683원 → 14년 3만536원 → 15년 3만1961원 → 16년 3만3677원
▷ IBJ/OBJ Sub ASS'Y: 12년 6503원 → 13년 6717원 → 14년 7568원 → 15년 7477원 → 16년 6763원
▷ Base ASS'Y: 12년 3691원 → 13년 3761원 → 14년 3943원 → 15년 3889원 → 16년 2199원
*2013년 내역은 舊, (주)만도의 가격
▷ ECU ASS'Y: 12년 3만4409원 → 13년 3만2683원 → 14년 3만536원 → 15년 3만1961원 → 16년 3만3677원
▷ IBJ/OBJ Sub ASS'Y: 12년 6503원 → 13년 6717원 → 14년 7568원 → 15년 7477원 → 16년 6763원
▷ Base ASS'Y: 12년 3691원 → 13년 3761원 → 14년 3943원 → 15년 3889원 → 16년 2199원
*2013년 내역은 舊, (주)만도의 가격
실적변수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철강제품 가격 하락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77.69%
- 유동비율 149.78%
- 당좌비율 120.82%
- 자본유보율 3,214.50%
- 부채비율 177.69%
- 유동비율 149.78%
- 당좌비율 120.82%
- 자본유보율 3,214.50%
신규사업
▷ 자동차 부품 다각화 및 설비 사업, 친환경차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