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포스코인터내셔널, 2분기 기대치 웃돌아…목표가↑”-하나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하나증권은 14일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대해 철강 트레이딩 마진 개선과 발전 부문 증익이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3만5000원에서 5만4000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4만5800원이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2분기 매출액은 9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 감소하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0.1% 늘어난 3529억원으로 추정된다.
유재선 연구원은 “철강 부문의 매출 둔화가 주요 요인으로 합병 전 합산 재무제표와 비교하면 액화천연가스(LNG) 가격과 전력구입가격(SMP) 하락으로 에너지 부문 또한 외형 감소가 예상된다”면서도 “영업이익은 합병 전 대비 소폭 증익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미얀마 가스전 실적은 투자비 회수비율이 계절적으로 2분기에 극대화되기에 양호한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며 “일부 물량 감소가 나타나더라도 물가와 12개월 평균 유가 강세로 인한 판매가격 강세로 만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전 실적은 전력수요 비수기 외형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산금 증가로 지난해 보다 이익이 개선될 수 있다”면서 “철강은 풍력 등 친환경소재 중심 마진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에너지 밸류데이에서 언급된 것처럼 오는 2035년까지 발전소 혼소와 하이렉스(HyREX)용 청정수소 126만t 공급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모회사에서도 2차전지 소재 및 원료 생산능력을 확대하기로 해 그룹 내 상사 기업으로서 일정 부분 역할 확대가 기대되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자료>포스코인터내셔널, 하나증권
하나증권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2분기 매출액은 9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 감소하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0.1% 늘어난 3529억원으로 추정된다.
유재선 연구원은 “철강 부문의 매출 둔화가 주요 요인으로 합병 전 합산 재무제표와 비교하면 액화천연가스(LNG) 가격과 전력구입가격(SMP) 하락으로 에너지 부문 또한 외형 감소가 예상된다”면서도 “영업이익은 합병 전 대비 소폭 증익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미얀마 가스전 실적은 투자비 회수비율이 계절적으로 2분기에 극대화되기에 양호한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며 “일부 물량 감소가 나타나더라도 물가와 12개월 평균 유가 강세로 인한 판매가격 강세로 만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전 실적은 전력수요 비수기 외형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산금 증가로 지난해 보다 이익이 개선될 수 있다”면서 “철강은 풍력 등 친환경소재 중심 마진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에너지 밸류데이에서 언급된 것처럼 오는 2035년까지 발전소 혼소와 하이렉스(HyREX)용 청정수소 126만t 공급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모회사에서도 2차전지 소재 및 원료 생산능력을 확대하기로 해 그룹 내 상사 기업으로서 일정 부분 역할 확대가 기대되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자료>포스코인터내셔널, 하나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81,537 | 323,408 | 331,328 |
영업이익 | 2,702 | 11,169 | 11,631 |
영업이익률 | 3.3% | 3.5% | 3.5% |
순이익 | 1,997 | 5,146 | 6,739 |
순이익률 | 2.4% | 1.6% | 2.0%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포스코 계열의 종합무역상사
경기변동
▷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산업으로, 최근 중국의 GDP 성장률 하락, 일본 엔화 변동, 중동 정세 변화 등에도 영향을 받음
▷ 주요 이슈들은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등 주요 경제 지표
▷ 주요 이슈들은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등 주요 경제 지표
주요제품
무역부문 122.60%
투자 등 5.97%
에너지부문 3.19%
연결조정 -31.75%
* 수치는 매출 비중
투자 등 5.97%
에너지부문 3.19%
연결조정 -31.7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36.40%
- 유동비율 131.21%
- 당좌비율 103.87%
- 이자보상배율 10.51%
- 금융비용부담률 0.21%
- 자본유보율 467.94%
- 부채비율 236.40%
- 유동비율 131.21%
- 당좌비율 103.87%
- 이자보상배율 10.51%
- 금융비용부담률 0.21%
- 자본유보율 467.94%
신규사업
▷ 미얀마 최대 중심지인 양곤시에 5성급 호텔 개장 완료
▷ 한국무역협회, 코엑스와 MICE 관련 업무협약 체결
▷ CJ 대한통운과 국내외 물류사업 협력 업무협약 체결
▷ 한국무역협회, 코엑스와 MICE 관련 업무협약 체결
▷ CJ 대한통운과 국내외 물류사업 협력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