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SK네트웍스, 실적 회복·주주환원에 목표가 올려”-흥국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흥국증권이 14일 SK네트웍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올렸다. 2분기 실적 회복이 본격화되고 있고,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서다.
SK네트웍스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난 2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3.6% 증가한 466억원으로 예상된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1년 이후 매년 영업이익이 지속적인 감익 추세를 보여왔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향후 영업이익과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우상향 추세로 전환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핵심사업인 SK매직과 SK렌터카의 수익성 고도화 작업을 통해 경쟁사 대비 낮았던 영업이익률을 크게 제고해 나갈 것”이라며 “워커힐의 큰 폭 흑자 전환과 함께 SK매직과 SK렌터카 중심으로 전체 실적을 끌고 갈 것”이라고 판단했다. 정보통신과 트레이딩 부문도 비용 효율화 작업을 통해 한층 개선된 수익성을 창출할 것으로 봤다.
올해 연간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4.5% 늘어난 10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43.1% 증가한 2209억원으로 내다봤다.
주주환원 정책에도 주목했다. 그는 “지난 3월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했는데 시장에서는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적지 않지만, 회사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이익소각을 진행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시장의 기대에 비해 많이 늦었지만, 주유소 매각 자금을 통한 앵커 투자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료> SK네트웍스, 흥국증권
SK네트웍스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난 2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3.6% 증가한 466억원으로 예상된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1년 이후 매년 영업이익이 지속적인 감익 추세를 보여왔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향후 영업이익과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우상향 추세로 전환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핵심사업인 SK매직과 SK렌터카의 수익성 고도화 작업을 통해 경쟁사 대비 낮았던 영업이익률을 크게 제고해 나갈 것”이라며 “워커힐의 큰 폭 흑자 전환과 함께 SK매직과 SK렌터카 중심으로 전체 실적을 끌고 갈 것”이라고 판단했다. 정보통신과 트레이딩 부문도 비용 효율화 작업을 통해 한층 개선된 수익성을 창출할 것으로 봤다.
올해 연간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4.5% 늘어난 10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43.1% 증가한 2209억원으로 내다봤다.
주주환원 정책에도 주목했다. 그는 “지난 3월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했는데 시장에서는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적지 않지만, 회사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이익소각을 진행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시장의 기대에 비해 많이 늦었지만, 주유소 매각 자금을 통한 앵커 투자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료> SK네트웍스, 흥국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6,367 | 76,573 | 74,535 |
영업이익 | 165 | 1,139 | 805 |
영업이익률 | 1.0% | 1.5% | 1.1% |
순이익 | -50 | 478 | -7 |
순이익률 | -0.3% | 0.6% | -0.0%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정보통신 유통, 무역 및 자원개발, 자동차 A/S, 패션 및 호텔 사업을 하는 SK계열사
경기변동
▷ 사업부문이 분산돼 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크지 않음
▷ 단통법 시행 이후 휴대폰 교체주기가 늘어나고, 고가 단말기의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
▷ 최근 지속된 저유가 기조로 수요가 지속 증가함
▷ 단통법 시행 이후 휴대폰 교체주기가 늘어나고, 고가 단말기의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
▷ 최근 지속된 저유가 기조로 수요가 지속 증가함
주요제품
정보통신 44.34%
글로벌 19.21%
렌터카 17.73%
SK매직 11.76%
스피드메이트 4.84%
* 수치는 매출 비중
글로벌 19.21%
렌터카 17.73%
SK매직 11.76%
스피드메이트 4.84%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중화학제품: 철강, 화학, 석유제품 등
실적변수
▷ 유가 상승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89.84%
- 유동비율 79.87%
- 당좌비율 63.00%
- 이자보상배율 1.72%
- 금융비용부담률 1.01%
- 자본유보율 253.08%
- 부채비율 289.84%
- 유동비율 79.87%
- 당좌비율 63.00%
- 이자보상배율 1.72%
- 금융비용부담률 1.01%
- 자본유보율 253.08%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