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월덱스, 실적 성장 꾸준한 반도체 부품주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월덱스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실리콘 부품(Silicon Parts)과 쿼츠 부품(Quartz Parts) 및 실리콘, ALN, SiC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파인세라믹(Fine Ceramic)을 생산한다.
월덱스의 제품은 반도체 에칭(Etching) 공정에서 반도체 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부품이다. 이 부품은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2분기 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실리콘 68.1%, 쿼츠 16.4%, 알루미나 외 15.5%다. 내수와 수출 비중은 각각 42%, 58%다.
월덱스의 매출액은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지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인상적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0.6%, 17.4%다. 두 이익률은 최근 하락세를 마감하고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68%에서 72% 수준을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판관비율은 하락세를 지속하는 특징을 보였다.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2.2%, 7.2%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7.7%다. 이 비중은 2분기 연속 하락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4%다. 이는 5년 평균 22.1%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22% 수준을 유지하다 최근 상승했다.
17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23배로, 5년 평균 2.05배에 비해 높다. PBR은 2022년 3분기 1.45배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박스권 흐름을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7년부터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다. 다만, 주당 배당금은 최근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주당 배당금으로 70원을 지급한 후 2021년 60원, 2022년 50원으로 줄었다.
작년 연간 기준 시가배당률은 0.3%다. 과거 시가배당률이 높은 수준을 보이진 않았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9.1%, 352.8%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월덱스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회사의 차입금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 17.8%까지 하락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34.2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상승세를 유지한 가운데, 주가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월덱스의 제품은 반도체 에칭(Etching) 공정에서 반도체 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부품이다. 이 부품은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2분기 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실리콘 68.1%, 쿼츠 16.4%, 알루미나 외 15.5%다. 내수와 수출 비중은 각각 42%, 58%다.
월덱스의 매출액은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지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인상적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0.6%, 17.4%다. 두 이익률은 최근 하락세를 마감하고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68%에서 72% 수준을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판관비율은 하락세를 지속하는 특징을 보였다.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2.2%, 7.2%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7.7%다. 이 비중은 2분기 연속 하락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4%다. 이는 5년 평균 22.1%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22% 수준을 유지하다 최근 상승했다.
17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23배로, 5년 평균 2.05배에 비해 높다. PBR은 2022년 3분기 1.45배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박스권 흐름을 보인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7년부터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다. 다만, 주당 배당금은 최근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주당 배당금으로 70원을 지급한 후 2021년 60원, 2022년 50원으로 줄었다.
작년 연간 기준 시가배당률은 0.3%다. 과거 시가배당률이 높은 수준을 보이진 않았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9.1%, 352.8%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월덱스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회사의 차입금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 17.8%까지 하락했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34.2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상승세를 유지한 가운데, 주가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741 | 3,068 | 2,881 |
영업이익 | 148 | 703 | 648 |
영업이익률 | 19.9% | 22.9% | 22.5% |
순이익 | 122 | 650 | 538 |
순이익률 | 16.4% | 21.2% | 18.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반도체 식각공정용 부품인 실리콘 부품을 만드는 업체
경기변동
▷반복적인 수요 발생으로 반도체 장비업체보다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함
주요제품
실리콘 59.19%
쿼츠 외 40.81%
* 수치는 매출 비중
쿼츠 외 40.8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쿼츠 (15.8%) : 전극 및 링 제조용
▷ 실리콘 (11.1%) : 전극 및 링 제조용
▷ 기타 (35%)
▷ 외주가공비 (17.4%)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리콘 (11.1%) : 전극 및 링 제조용
▷ 기타 (35%)
▷ 외주가공비 (17.4%)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영업외 비용 발생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반도체 생산업체 설비투자 증가 시 수혜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반도체 생산업체 설비투자 증가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48.60%
- 유동비율 248.01%
- 당좌비율 141.97%
- 이자보상배율 36.62%
- 금융비용부담률 0.55%
- 자본유보율 1,748.09%
- 부채비율 48.60%
- 유동비율 248.01%
- 당좌비율 141.97%
- 이자보상배율 36.62%
- 금융비용부담률 0.55%
- 자본유보율 1,748.09%
신규사업
▷ 고부가가치 세라믹분야 신규진출 추진 중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시장진출
▷ 신소재 분야 진출 준비
- 사파이어(Sapphire) : LED 기초소재
-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AIN) : 고부가 방열기판에 주로 활용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시장진출
▷ 신소재 분야 진출 준비
- 사파이어(Sapphire) : LED 기초소재
-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AIN) : 고부가 방열기판에 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