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헥토이노베이션, 13Q 연속 최고 매출액 경신"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헥토이노베이션은 2차 본인인증과 보안서비스를 서비스하는 회사다. 또, 종속회사를 통해 가상계좌, 펌뱅킹, 간편현금결제, PG서비스,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판매한다.
2분기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은 HI(본인인증 및 보안서비스 등) 32.1%, HF(가상계좌, 펌뱅킹 등 금융서비스) 48.8%, HH(건강기능식품) 18.4%다. 또, 매출은 모두 국내 시장에서 발생한다.
헥토이노베이션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런 흐름을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함께 하는 모습이다. 다만, 두 이익은 매출대비 변동폭이 컸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4.6%, 10.2%다. 영업이익률은 최근 반등했다. 반면, 순이익률은 하락 전환해 영업이익률과는 다른 흐름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판관비율은 2022년 3분기 87.5%를 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 비율은 1분기 연환산 기준 85.4%를 기록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7%다. 이는 5년 평균 15.9%보다 높다. ROE의 고점은 2022년 4분기 21%다.
18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33배로, 5년 평균 1.73배에 비해 낮다. PBR은 최근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최근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재무레버리지는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주당 배당금이 늘어나는 점이 눈에 띈다. 주당 배당금은 2019년 230원 → 2020년 340원 → 2021년 390원 → 2022년 42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3.5%다.
[그래프6]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같은 기간 배당성향은 17% → 20% → 24% → 18%로 변했다.
[그래프7]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79%, 172.4%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헥토이노베이션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차입금은 136억원이다. 다만,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2.8%로, 그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29.6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순현금으로 2070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 안전성 매력은 높이는 요소 중 하나다.
[그래프11] 순현금&시총대비 순현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는 상승세를 마감하고 하락 반전한 모습이다. 한편, 주가는 하락세를 마감하고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10일 헥토이노베이션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한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연구원은 "13분기 연속 분기 최고 매출액을 경신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지속했다"며, "2분기 영엽이익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헥토이노베이션과 함께 헥토파이낸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15.4% 증가하면서 실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종속회사인 헥토헬스케어의 큰 폭의 픅자전환으로 연결 기준 수익성 개선도 지속되고 있어 긍정적이다"고 평가했다.
또,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59억원, 135억원을 예상한다"며, "최고 실적 경신이 지속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2분기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은 HI(본인인증 및 보안서비스 등) 32.1%, HF(가상계좌, 펌뱅킹 등 금융서비스) 48.8%, HH(건강기능식품) 18.4%다. 또, 매출은 모두 국내 시장에서 발생한다.
헥토이노베이션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런 흐름을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함께 하는 모습이다. 다만, 두 이익은 매출대비 변동폭이 컸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4.6%, 10.2%다. 영업이익률은 최근 반등했다. 반면, 순이익률은 하락 전환해 영업이익률과는 다른 흐름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판관비율은 2022년 3분기 87.5%를 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 비율은 1분기 연환산 기준 85.4%를 기록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7%다. 이는 5년 평균 15.9%보다 높다. ROE의 고점은 2022년 4분기 21%다.
18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33배로, 5년 평균 1.73배에 비해 낮다. PBR은 최근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최근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재무레버리지는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주당 배당금이 늘어나는 점이 눈에 띈다. 주당 배당금은 2019년 230원 → 2020년 340원 → 2021년 390원 → 2022년 42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3.5%다.
[그래프6]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같은 기간 배당성향은 17% → 20% → 24% → 18%로 변했다.
[그래프7]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79%, 172.4%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헥토이노베이션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차입금은 136억원이다. 다만,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2.8%로, 그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29.6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순현금으로 2070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 안전성 매력은 높이는 요소 중 하나다.
[그래프11] 순현금&시총대비 순현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는 상승세를 마감하고 하락 반전한 모습이다. 한편, 주가는 하락세를 마감하고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10일 헥토이노베이션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한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연구원은 "13분기 연속 분기 최고 매출액을 경신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지속했다"며, "2분기 영엽이익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헥토이노베이션과 함께 헥토파이낸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15.4% 증가하면서 실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종속회사인 헥토헬스케어의 큰 폭의 픅자전환으로 연결 기준 수익성 개선도 지속되고 있어 긍정적이다"고 평가했다.
또,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59억원, 135억원을 예상한다"며, "최고 실적 경신이 지속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896 | 3,195 | 2,885 |
영업이익 | 117 | 489 | 380 |
영업이익률 | 13.1% | 15.3% | 13.2% |
순이익 | 70 | 279 | 228 |
순이익률 | 7.8% | 8.7% | 7.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휴대폰 번호 도용방지 서비스 제공업체
경기변동
▷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심각성과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됨
▷ 금융, 정보기술을 결합한 핀테크산업이 부상하고 있음
▷ 금융, 정보기술을 결합한 핀테크산업이 부상하고 있음
주요제품
기타 39.71%
로그인플러스 20.37%
휴대폰간편로그인 18.75%
휴대폰도용방지 15.06%
주식투자노트 6.11%
* 수치는 매출 비중
로그인플러스 20.37%
휴대폰간편로그인 18.75%
휴대폰도용방지 15.06%
주식투자노트 6.1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서비스를 제공해 원재료 매입은 없으나 제휴사 도급비 존재
- 휴대폰번호 도용방지서비스
- 휴대폰간편로그인
- 로그인플러스
- 주식투자노트
- 휴대폰번호 도용방지서비스
- 휴대폰간편로그인
- 로그인플러스
- 주식투자노트
실적변수
▷ 모바일서비스시장 확대로 개인정보보호산업 성장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71.55%
- 유동비율 196.75%
- 당좌비율 191.12%
- 이자보상배율 43.34%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059.90%
- 부채비율 71.55%
- 유동비율 196.75%
- 당좌비율 191.12%
- 이자보상배율 43.34%
- 금융비용부담률 0.23%
- 자본유보율 2,059.90%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