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SK텔레콤, '에이닷' AI 사업 가능성 증명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SK텔레콤 사업은 ①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②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③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등의 기타사업부문으로 구별한다. 2분기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무선통신 74%, 유선통신 23%, 기타사업 3%다. 또, 매출의 대부분(98%)은 국내 시장에서 발생한다.
SK텔레콤 매출액은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단, 영업이익은 꾸준히 증가한 반면, 순이익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9.6%, 6.1%다. 영업이익률은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하는 흐름이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판관비율은 90%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는 모습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2%다. 이는 5년 평균 9.3%와 비슷한 수준이다. ROE는 2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8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배로, 5년 평균 0.9배와 같다. PBR은 올해 들어 하락세를 보이다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으며, 최근 2년 사이 주당 배당금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주당 배당금은 2020년 2000원 → 2021년 2660원 → 2022년 332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7%다.
[그래프6]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44.5%와 100%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부채비율이 약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또, 이 비율은 작년 4분기에 크게 높아진 특징을 가진다.
[그래프7]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11조3169억원이다. 이는 전체 자산의 37.3%다. 부채비율과 마찬가지로 차입금 비중도 작년 4분기에 크게 높아졌다.
[그래프8]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6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래프9]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한 가운데, 주가는 반등 후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그래프10]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9일 한화투자증권 유영솔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부합했다"며, "1)MNO/MVNO 고가치 가입자 증가, 2)로밍 매출 성장, 3)주요 비용들의 하향 안정화가 원인이다"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의 신사업인 AI 사업에 대해서는 "SK텔레콤이 추구하는 AI 사업의 방향성은 telco oriented AI다"라며, "그 중 9월 정식 출시한 '에이닷'은 아이폰 통화녹음 기능을 탑재한 애플스토어 무료 앱 1위를 기록했고, 현재도 상위권을 유지 중이다"고 전했다. 이어 "AI 사업 가능성을 지표로서 증명한 첫 번째 사례로 판단하며, 추후 동시통역, 수면관리 등 킬러 콘텐츠가 추가되면서 사용자 저변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매출화가 가장 용이한 비즈니스모델은 구독 서비스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 외에도 AI DCIM, AI 반도체(사페온),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등 영역에 역량을 집중해 AI 관련 매출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SK텔레콤 매출액은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단, 영업이익은 꾸준히 증가한 반면, 순이익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9.6%, 6.1%다. 영업이익률은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하는 흐름이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판관비율은 90%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는 모습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2%다. 이는 5년 평균 9.3%와 비슷한 수준이다. ROE는 2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8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배로, 5년 평균 0.9배와 같다. PBR은 올해 들어 하락세를 보이다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으며, 최근 2년 사이 주당 배당금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주당 배당금은 2020년 2000원 → 2021년 2660원 → 2022년 332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7%다.
[그래프6]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44.5%와 100%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부채비율이 약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또, 이 비율은 작년 4분기에 크게 높아진 특징을 가진다.
[그래프7]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11조3169억원이다. 이는 전체 자산의 37.3%다. 부채비율과 마찬가지로 차입금 비중도 작년 4분기에 크게 높아졌다.
[그래프8]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4.6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래프9]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한 가운데, 주가는 반등 후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그래프10]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9일 한화투자증권 유영솔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부합했다"며, "1)MNO/MVNO 고가치 가입자 증가, 2)로밍 매출 성장, 3)주요 비용들의 하향 안정화가 원인이다"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의 신사업인 AI 사업에 대해서는 "SK텔레콤이 추구하는 AI 사업의 방향성은 telco oriented AI다"라며, "그 중 9월 정식 출시한 '에이닷'은 아이폰 통화녹음 기능을 탑재한 애플스토어 무료 앱 1위를 기록했고, 현재도 상위권을 유지 중이다"고 전했다. 이어 "AI 사업 가능성을 지표로서 증명한 첫 번째 사례로 판단하며, 추후 동시통역, 수면관리 등 킬러 콘텐츠가 추가되면서 사용자 저변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매출화가 가장 용이한 비즈니스모델은 구독 서비스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 외에도 AI DCIM, AI 반도체(사페온),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등 영역에 역량을 집중해 AI 관련 매출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44,537 | 179,406 | 176,085 |
영업이익 | 5,674 | 18,234 | 17,532 |
영업이익률 | 12.7% | 10.2% | 10.0% |
순이익 | 3,644 | 12,502 | 10,936 |
순이익률 | 8.2% | 7.0% | 6.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국내 1위 이동통신업체
경기변동
▷ 이동통신은 기간산업으로 경기변동 및 계절적인 요인과 무관
주요제품
무선통신사업 74.95%
유선통신사업 22.12%
기타 2.93%
* 수치는 매출 비중
유선통신사업 22.12%
기타 2.9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 스마트폰 보급 확대 등으로 서비스 이용자 증가시 수혜
▷ 서비스 단가 인상시 수혜
▷ 4세대 통신 LTE 등 신규 서비스 성과 호조시 수혜
▷ 서비스 단가 인상시 수혜
▷ 4세대 통신 LTE 등 신규 서비스 성과 호조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49.19%
- 유동비율 94.37%
- 당좌비율 89.95%
- 이자보상배율 5.85%
- 금융비용부담률 1.73%
- 자본유보율 78,929.95%
- 부채비율 149.19%
- 유동비율 94.37%
- 당좌비율 89.95%
- 이자보상배율 5.85%
- 금융비용부담률 1.73%
- 자본유보율 78,929.95%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