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내년 견조한 성장 지속…목표가↑”-NH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NH투자증권은 15일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목표주가를 기존 8만5000원에서 11만원으로 29% 높이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8만5300원이다,
주민우 연구원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내년부터 우려집단으로부터 배터리 부품 조달이 제한됨에 따라 국내 및 일본 분리막 업체들의 구조적 수혜가 기대된다”며 “내년 수요는 불확실하지만, 북미 신규 고객이 추가되며 견조한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주 연구원은 “중국 분리막을 사용중인 얼티엄(Ultium) 1공장의 경우 당장은 LG화학-토레이 조인트벤처로 메인 조달처를 변경할 것으로 보이는데, 생산량을 모두 커버하기는 어려울 것”라며 “추가적인 원단 공급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얼티엄 외에도 북미 진출을 계획 중인 다수의 배터리 제조사들은 국내 및 일본 분리막 업체들과의 협력이 필요해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역시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007억원, 80억원으로 전망된다. 매출액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지만, 영업이익은 17% 하회하는 실적이다.
그는 “연말 일회성 비용을 감안하면 양호한 실적”이라며 “일회성 비용을 제거하면 분리막 수익성은 10% 이상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매출액은 올해 보다 8.5% 증가한 735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30.2% 늘어난 819억으로 내다봤다.
주 연구원은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으로 볼륨 성장률 둔화는 불가피하지만, 캡티브 고객 외 북미 신규 고객향 출하가 내년 1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여 견조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민우 연구원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내년부터 우려집단으로부터 배터리 부품 조달이 제한됨에 따라 국내 및 일본 분리막 업체들의 구조적 수혜가 기대된다”며 “내년 수요는 불확실하지만, 북미 신규 고객이 추가되며 견조한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주 연구원은 “중국 분리막을 사용중인 얼티엄(Ultium) 1공장의 경우 당장은 LG화학-토레이 조인트벤처로 메인 조달처를 변경할 것으로 보이는데, 생산량을 모두 커버하기는 어려울 것”라며 “추가적인 원단 공급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얼티엄 외에도 북미 진출을 계획 중인 다수의 배터리 제조사들은 국내 및 일본 분리막 업체들과의 협력이 필요해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역시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007억원, 80억원으로 전망된다. 매출액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지만, 영업이익은 17% 하회하는 실적이다.
그는 “연말 일회성 비용을 감안하면 양호한 실적”이라며 “일회성 비용을 제거하면 분리막 수익성은 10% 이상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매출액은 올해 보다 8.5% 증가한 735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30.2% 늘어난 819억으로 내다봤다.
주 연구원은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으로 볼륨 성장률 둔화는 불가피하지만, 캡티브 고객 외 북미 신규 고객향 출하가 내년 1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여 견조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82 | 2,179 | 6,483 |
영업이익 | -696 | -2,910 | 501 |
영업이익률 | -119.6% | -133.6% | 7.7% |
순이익 | -217 | -2,466 | 822 |
순이익률 | -37.2% | -113.2% | 12.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SK이노베이션 계열 2차전지 습식 분리막 등 소재기업
경기변동
▷ 분리막 사업은 배터리 산업과 전기차, IT 기기 산업의 영향을 받음.
▷ 이들 최종 전방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음.
▷ 이들 최종 전방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음.
주요제품
LiBS 99.95%
신규사업 0.05%
* 수치는 매출 비중
신규사업 0.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폴리에틸렌(PE)
▷ 폴리 프로필렌(PP)
▷ 폴리 프로필렌(PP)
실적변수
▷ PE 가격은 원유가격과 약하게 연동
▷ PE 수요는 글로벌 경기와 연동
▷ PE 수요는 글로벌 경기와 연동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46.26%
- 유동비율 211.68%
- 당좌비율 192.02%
- 이자보상배율 -1.50%
- 금융비용부담률 3.80%
- 자본유보율 3,016.59%
- 부채비율 46.26%
- 유동비율 211.68%
- 당좌비율 192.02%
- 이자보상배율 -1.50%
- 금융비용부담률 3.80%
- 자본유보율 3,016.59%
신규사업
▷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소재인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사업을 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