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두산, 전자BG 저점 통과 중·비상장회사 주목…목표가↑”-BNK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BNK투자증권은 2일 두산의 목표주가를 기존 10만원에서 14만원으로 높여 잡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장원 연구원은 “전력시스템과 협동로봇은 주목받을 산업이고, 전방산업의 업황 개선이 선행 조건이지만, 두산은 올해 주목받을 지주회사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자사주 제도 개선 방안 등 저평가 해소 모멘텀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두산의 자체사업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BG가 부진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전자부품의 필수소재인 동박을 생산해 전방산업의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으로 반도체 경기가 회복할 조짐을 보이고 삼성전자 S24의 좋은 반응도 기판소재의 수요 증가를 기대할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어 “업황이 완전히 개선되지 않아 실적을 보수적으로 전망해 예상보다는 개선될 여지가 높고, 내년에는 전망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비상장자회사에도 주목했다. 그는 “비상장자회사가 사업성과 시장성을 만들어가는 성장기에는 비상장자회사를 지배하는 지주회사를 주목하게 된다”며 “최근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한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과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사업성을 만들어가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두산이 지배하는 주목할 만한 비상장자회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산 주가를 움직이는 힘은 자체사업과 비상장자회사의 성장성”이라며 “전자BG는 실적 저점을 통과하는 중이며, 비상장자회사는 성장 여건을 갖추고 있어 목표주가를 40% 상향했다”고 덧붙였다.
김장원 연구원은 “전력시스템과 협동로봇은 주목받을 산업이고, 전방산업의 업황 개선이 선행 조건이지만, 두산은 올해 주목받을 지주회사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자사주 제도 개선 방안 등 저평가 해소 모멘텀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두산의 자체사업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BG가 부진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전자부품의 필수소재인 동박을 생산해 전방산업의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으로 반도체 경기가 회복할 조짐을 보이고 삼성전자 S24의 좋은 반응도 기판소재의 수요 증가를 기대할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어 “업황이 완전히 개선되지 않아 실적을 보수적으로 전망해 예상보다는 개선될 여지가 높고, 내년에는 전망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비상장자회사에도 주목했다. 그는 “비상장자회사가 사업성과 시장성을 만들어가는 성장기에는 비상장자회사를 지배하는 지주회사를 주목하게 된다”며 “최근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한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과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사업성을 만들어가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두산이 지배하는 주목할 만한 비상장자회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산 주가를 움직이는 힘은 자체사업과 비상장자회사의 성장성”이라며 “전자BG는 실적 저점을 통과하는 중이며, 비상장자회사는 성장 여건을 갖추고 있어 목표주가를 40% 상향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42,987 | 181,329 | 191,301 |
영업이익 | 1,985 | 10,038 | 14,363 |
영업이익률 | 4.6% | 5.5% | 7.5% |
순이익 | 236 | -2,262 | -3,883 |
순이익률 | 0.6% | -1.2% | -2.0%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전자BG, 모트롤BG 등 자체사업을 하는 동시에 두산그룹 모회사
경기변동
경기에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핸드폰 및 가전제품 출하량, 굴삭기 생산량, 교역량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두산밥캣 50.05%
두산에너빌리티(주) 43.25%
전자BG 6.17%
기타 4.72%
두산퓨어셀 1.71%
* 수치는 매출 비중
두산에너빌리티(주) 43.25%
전자BG 6.17%
기타 4.72%
두산퓨어셀 1.7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두산 : 전자BG, 모트롤BG, 산업차량BG 등
▷ 두산중공업 : 철판류, 외주가공품, 고철 합금철 등
▷ 두산인프라코어 : 건설 및 엔진부품
▷ 두산중공업 : 철판류, 외주가공품, 고철 합금철 등
▷ 두산인프라코어 : 건설 및 엔진부품
실적변수
▷ 통신기기 및 가전 출하량 증가시 전자 사업부문의 제품 수요 증가
▷ 발전설비 수주 증가, 굴삭기 수요 증가시 주요 종속기업 수혜
▷ 발전설비 수주 증가, 굴삭기 수요 증가시 주요 종속기업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67.88%
- 유동비율 98.49%
- 당좌비율 68.72%
- 이자보상배율 2.23%
- 금융비용부담률 2.47%
- 자본유보율 2,209.23%
- 부채비율 167.88%
- 유동비율 98.49%
- 당좌비율 68.72%
- 이자보상배율 2.23%
- 금융비용부담률 2.47%
- 자본유보율 2,209.23%
신규사업
▷ 베트남 버스 엔진 시장 진출 성공(2017.07)
- SAMCO, 1-5AUTO, Tracomeco, THACO 등 현지 상용차 업체 4곳과 베어쌔시와 엔진 공급
▷ 2018년 동남아 지역으로 엔진 공급을 확대할 계획
▷ 중국 시장에 엔진을 공급할 계획
- SAMCO, 1-5AUTO, Tracomeco, THACO 등 현지 상용차 업체 4곳과 베어쌔시와 엔진 공급
▷ 2018년 동남아 지역으로 엔진 공급을 확대할 계획
▷ 중국 시장에 엔진을 공급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