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CJ제일제당, 1Q 부합·가공식품 수혜 이어져…목표가↑”-한투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한국투자증권은 8일 CJ제일제당에 대해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40만원에서 43만원으로 7.5% 상향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2만1000원이다.
강은지 연구원은 “1분기는 가공식품 수요 회복과 곡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개선되며 빠르게 수익성이 회복됐다”면서 “지난해 4분기부터 이어지는 증익 사이클이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며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밝혔다.
이어 “Feed & Care 사업부는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투입 원가 개선으로 수익성이 점차 회복되고 있다”면서 “셀렉타 매각 완료 시 스페셜티 제품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사업부의 성과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7조2077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0.9% 늘어난 3310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실적은 매출액 4조4411억원, 영업이익 2077억원으로 추정했다.
강 연구원은 “외식 물가의 연이은 상승으로 내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와중에 신선식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당분간 상대적으로 가격 인상 폭이 낮은 가공식품의 수혜가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외식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전략 제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고, 입점 플랫폼 관련 이슈가 있었던 온라인 채널은 자사몰 익일 배송 서비스 도입과 전략적 협업 플랫폼 다각화를 통해 지난해 4분기부터 매출액 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봤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알리 익스프레스에도 추가로 입점하는 등 적극적인 채널 확대 전략으로 올해도 온라인 채널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은지 연구원은 “1분기는 가공식품 수요 회복과 곡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개선되며 빠르게 수익성이 회복됐다”면서 “지난해 4분기부터 이어지는 증익 사이클이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며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밝혔다.
이어 “Feed & Care 사업부는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투입 원가 개선으로 수익성이 점차 회복되고 있다”면서 “셀렉타 매각 완료 시 스페셜티 제품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사업부의 성과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7조2077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0.9% 늘어난 3310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실적은 매출액 4조4411억원, 영업이익 2077억원으로 추정했다.
강 연구원은 “외식 물가의 연이은 상승으로 내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와중에 신선식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당분간 상대적으로 가격 인상 폭이 낮은 가공식품의 수혜가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외식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전략 제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고, 입점 플랫폼 관련 이슈가 있었던 온라인 채널은 자사몰 익일 배송 서비스 도입과 전략적 협업 플랫폼 다각화를 통해 지난해 4분기부터 매출액 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봤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알리 익스프레스에도 추가로 입점하는 등 적극적인 채널 확대 전략으로 올해도 온라인 채널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72,085 | 293,591 | 290,235 |
영업이익 | 3,332 | 15,530 | 12,916 |
영업이익률 | 4.6% | 5.3% | 4.5% |
순이익 | 176 | 1,482 | 3,859 |
순이익률 | 0.2% | 0.5% | 1.3%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다시다, 스팸, 햇반 등 인기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최대 식품업체
경기변동
▷ 식품업 특성상 경기변동에 둔감한 산업으로 원료인 국제 곡물가, 환율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물류 38.52%
식품 35.98%
바이오 16.57%
Feed & Care 8.93%
* 수치는 매출 비중
식품 35.98%
바이오 16.57%
Feed & Care 8.9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원당 : 호주·태국에서 구입 (14년 45만원 → 15년 44만2000원 → 16년 44만3000원 → 17년 51만9000원 → 18년1Q 41만4000원 → 18년2Q 40만3000원 → 18년3Q 35만8000원/톤)
▷ 옥수수 : 미국 등에서 매입 (15년 24만4000원 → 16년 22만7000원 → 17년 22만1000원 → 18년1Q 20만9000원 → 18년2Q 19만4000원 → 18년3Q 20만2000원/톤)
▷ 대두 : 브라질에서 주료 구입 (15년 49만8000원 → 16년 46만9000원 → 17년 47만7000원 → 18년1Q 45만1000원 → 18년2Q 45만3000원 → 18년3Q 46만9000원/톤)
▷ 원맥 : 미국·호주·캐나다 등에서 구입 ('15년 35만원 → '16년 30만원 → 17년 27만8000원 → 18년1Q 30만5000원 → 18년2Q 30만5000원 → 18년3Q 28만1000원/톤)
▷ 경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 옥수수 : 미국 등에서 매입 (15년 24만4000원 → 16년 22만7000원 → 17년 22만1000원 → 18년1Q 20만9000원 → 18년2Q 19만4000원 → 18년3Q 20만2000원/톤)
▷ 대두 : 브라질에서 주료 구입 (15년 49만8000원 → 16년 46만9000원 → 17년 47만7000원 → 18년1Q 45만1000원 → 18년2Q 45만3000원 → 18년3Q 46만9000원/톤)
▷ 원맥 : 미국·호주·캐나다 등에서 구입 ('15년 35만원 → '16년 30만원 → 17년 27만8000원 → 18년1Q 30만5000원 → 18년2Q 30만5000원 → 18년3Q 28만1000원/톤)
▷ 경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실적변수
▷ 식료품 가격 인상시 수혜
▷ 원재료인 국제 곡물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으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신흥국의 사료 수요 증가시 수혜
▷ 원재료인 국제 곡물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으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신흥국의 사료 수요 증가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51.29%
- 유동비율 110.04%
- 당좌비율 65.28%
- 자본유보율 7,537.91%
- 부채비율 151.29%
- 유동비율 110.04%
- 당좌비율 65.28%
- 자본유보율 7,537.91%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