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대주전자재료, 실리콘 음극재 수익성 개선 전망에 목표가↑”-키움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키움증권은 14일 대주전자재료에 대해 올해 실리콘 음극재와 형광체 부문의 실적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11만원에서 12만원으로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실리콘 음극재 상용화의 원년으로, 제품 믹스 개선으로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률 달성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전 거래일 종가는 9만3600원이다.
대주전자재료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46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766% 늘어난 5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권준수 연구원은 “큰 폭으로 성장한 전장용 소재의 규모의 경제 달성과 실리콘 음극재 사업부의 출하 본격화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올해 매출액은 2634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42% 성장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55% 늘어난 282억원으로 내다봤다. 그는 “올해는 실리콘 음극재와 형광체 부문의 실적이 큰 폭 증가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 실리콘 음극재의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매분기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적용 차량도 연초 2개 차종에서 연내 7~9개까지 확대될 것”이라며 “첨가량도 기존 5%에서 7~8%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여 매출액이 전년 대비 196%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능력(CAPA) 증설도 진행 중으로, 지난해 연간 3000톤에서 올해 7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현 구간은 투자가 집중되는 시기로 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제한적이지만, 내년부터는 램프업(Ramp-up)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전기차(EV)·전동공구에 국한된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IT용으로도 확대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애플리케이션 확대도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주전자재료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46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766% 늘어난 5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권준수 연구원은 “큰 폭으로 성장한 전장용 소재의 규모의 경제 달성과 실리콘 음극재 사업부의 출하 본격화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올해 매출액은 2634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42% 성장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55% 늘어난 282억원으로 내다봤다. 그는 “올해는 실리콘 음극재와 형광체 부문의 실적이 큰 폭 증가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 실리콘 음극재의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매분기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적용 차량도 연초 2개 차종에서 연내 7~9개까지 확대될 것”이라며 “첨가량도 기존 5%에서 7~8%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여 매출액이 전년 대비 196%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능력(CAPA) 증설도 진행 중으로, 지난해 연간 3000톤에서 올해 7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현 구간은 투자가 집중되는 시기로 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제한적이지만, 내년부터는 램프업(Ramp-up)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전기차(EV)·전동공구에 국한된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IT용으로도 확대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애플리케이션 확대도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40 | 2,193 | 1,850 |
영업이익 | 48 | 294 | 62 |
영업이익률 | 8.8% | 13.4% | 3.4% |
순이익 | 67 | 369 | 7 |
순이익률 | 12.5% | 16.8% | 0.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IT기기용 전자재료 생산·판매 업체
경기변동
▷ IT산업 경기변동에 민감
주요제품
전도성페이스트 49.62%
나노 17.23%
태양전지페이스트 11.82%
형광체 10.43%
고분자재료 5.68%
* 수치는 매출 비중
나노 17.23%
태양전지페이스트 11.82%
형광체 10.43%
고분자재료 5.6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귀금속류(은, 희토류): 칩부품전자재료, 고온전극재료의 주재료 (44.2%)
(10년 78만원 → 11년 128만원 → 12년 117만원 → 13년 93만원 → 14년 73만원 → 15년 65만원)
▷ Cu power(MLCC첨가제원료)(35.5%)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10년 78만원 → 11년 128만원 → 12년 117만원 → 13년 93만원 → 14년 73만원 → 15년 65만원)
▷ Cu power(MLCC첨가제원료)(35.5%)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실적변수
▷ IT경기 호황시 수혜
▷ 은가격, 희토류 가격 하락시 수혜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영업외 수익 발생
▷ 은가격, 희토류 가격 하락시 수혜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영업외 수익 발생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28.18%
- 유동비율 139.23%
- 당좌비율 106.46%
- 이자보상배율 1.88%
- 금융비용부담률 4.86%
- 자본유보율 1,124.91%
- 부채비율 128.18%
- 유동비율 139.23%
- 당좌비율 106.46%
- 이자보상배율 1.88%
- 금융비용부담률 4.86%
- 자본유보율 1,124.91%
신규사업
▷ 첨단 디스플레이와 나노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2차전지용 신재료 등을 생산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