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삼성전기, MLCC 업황 개선 전망에 목표가 높여”-SK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SK증권은 5일 삼성전기에 대해 인공지능(AI) 디바이스의 침투율 상승에 따른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업황 개선을 전망하면서 목표주가를 기존 19만5000원에서 21만3000원으로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5만3200원이다.
박형우 연구원은 “AI 스마트폰과 PC 내 MLCC 채용량 증가가 확인된다”며 “MLCC 가동률은 이미 80% 수준으로, 하반기 계절성에 따른 반등과 AI 디바이스 시장 개화가 맞물릴 경우 호황으로 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SK증권에 따르면, 삼성전기의 올해 연간 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 보다 40% 늘어난 9000억원, 내년은 올해 보다 32% 증가한 1조2000억원으로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과거에는 MLCC 매출 내 스마트폰 비중이 40~50%를 상회했으며, 내년에는 특정 분기에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면서 “AI와 자율주행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주목했다.
이어 “전기차 불황 속에도 전장용 MLCC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전장용 비중은 내년 3분기까지 30%에 달할 것”이라며 “AI 가속기의 MLCC 채택량도 눈에 띄어 전체 장비를 포함한 산업용 MLCC 비중은 현재 17%에서 내년에는 20%를 상회할 전망”이라고 했다. 온디바이스 AI 수요도 희망적으로 바라봤다.
아울러 “중국은 현재가 저점으로, 중국향 MLCC 출하는 1분기에 감소했지만, 2분기에는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삼성전기, SK증권
박형우 연구원은 “AI 스마트폰과 PC 내 MLCC 채용량 증가가 확인된다”며 “MLCC 가동률은 이미 80% 수준으로, 하반기 계절성에 따른 반등과 AI 디바이스 시장 개화가 맞물릴 경우 호황으로 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SK증권에 따르면, 삼성전기의 올해 연간 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 보다 40% 늘어난 9000억원, 내년은 올해 보다 32% 증가한 1조2000억원으로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과거에는 MLCC 매출 내 스마트폰 비중이 40~50%를 상회했으며, 내년에는 특정 분기에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면서 “AI와 자율주행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주목했다.
이어 “전기차 불황 속에도 전장용 MLCC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전장용 비중은 내년 3분기까지 30%에 달할 것”이라며 “AI 가속기의 MLCC 채택량도 눈에 띄어 전체 장비를 포함한 산업용 MLCC 비중은 현재 17%에서 내년에는 20%를 상회할 전망”이라고 했다. 온디바이스 AI 수요도 희망적으로 바라봤다.
아울러 “중국은 현재가 저점으로, 중국향 MLCC 출하는 1분기에 감소했지만, 2분기에는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삼성전기, SK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7,386 | 102,941 | 88,924 |
영업이익 | 2,005 | 7,350 | 6,605 |
영업이익률 | 7.3% | 7.1% | 7.4% |
순이익 | 1,337 | 6,791 | 4,230 |
순이익률 | 4.9% | 6.6% | 4.8%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휴대폰·디스플레이·컴퓨터용 부품을 만드는 삼성계열의 전자부품회사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IT·A/V 기기 등 Set 제품 수요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컴포넌트솔루션 46.71%
광학통신솔루션 32.47%
패키지솔루션 20.82%
* 수치는 매출 비중
광학통신솔루션 32.47%
패키지솔루션 20.82%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모듈솔루션부문 원재료 : 센서 IC (41.6%), 기타 반도체 (13.3%) 등
▷ 컴포넌트솔루션부문 원재료 : PASTE/POWDER (33.5%), FILM (24.4%)
▷ 기판솔루션부문 원재료 : CCL/PPG (23.4%), 약품류 (21.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컴포넌트솔루션부문 원재료 : PASTE/POWDER (33.5%), FILM (24.4%)
▷ 기판솔루션부문 원재료 : CCL/PPG (23.4%), 약품류 (21.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삼성전자의 IT제품 매출 증가시 수혜(삼성전자 및 삼성전자 종속 회사 매출 비중 약 60%)
▷ 환율 상승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41.99%
- 유동비율 222.50%
- 당좌비율 128.52%
- 이자보상배율 52.34%
- 금융비용부담률 0.30%
- 자본유보율 1,550.85%
- 부채비율 41.99%
- 유동비율 222.50%
- 당좌비율 128.52%
- 이자보상배율 52.34%
- 금융비용부담률 0.30%
- 자본유보율 1,550.85%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