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CJ제일제당,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키움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키움증권은 10일 CJ제일제당에 대해 국내 가공식품 매출 회복과 미국·유럽 중심의 성장세로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6만5000원을 모두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1만500원이다.
박상준 연구원은 “CJ제일제당은 8월초부터 주가가 약 20% 내외로 조정을 받은 상황”이라며 “3분기는 원재료 투입 단가가 하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가공식품 매출 회복이 지속되며 견조한 레벨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국내 가공식품 매출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약한 상황이지만, 지난달부터 매출 회복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6~7월 소비의 기저 효과와 추석 시즌으로 시장 수요가 개선될 수 있고, 쿠팡과의 직거래가 재개되며 가공식품 매출 증가율이 제고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미국과 유럽 중심의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만두를 중심으로 유럽 시장 침투율을 확대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소바바치킨, 즉석밥(P-Rice) 등 카테고리로 확장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만두, 피자 브랜드를 중심으로 경쟁사와의 시장 점유율 차이가 확대되고 있어 수익 기반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며 “유럽에서는 에스닉·메인스트림 채널 진입과 올림픽 마케팅을 통한 인지도 등을 통해 외형 성장률이 개선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전사 원가율 개선과 국내 가공식품 매출 성장률 반등에 힘입어 하반기에 실적 개선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며 “중기적으로는 K-Food의 신제품 출시와 지역적 확장에 힘입어 글로벌 식품 매출 성장률이 점차 반등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상준 연구원은 “CJ제일제당은 8월초부터 주가가 약 20% 내외로 조정을 받은 상황”이라며 “3분기는 원재료 투입 단가가 하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가공식품 매출 회복이 지속되며 견조한 레벨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국내 가공식품 매출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약한 상황이지만, 지난달부터 매출 회복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6~7월 소비의 기저 효과와 추석 시즌으로 시장 수요가 개선될 수 있고, 쿠팡과의 직거래가 재개되며 가공식품 매출 증가율이 제고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미국과 유럽 중심의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만두를 중심으로 유럽 시장 침투율을 확대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소바바치킨, 즉석밥(P-Rice) 등 카테고리로 확장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만두, 피자 브랜드를 중심으로 경쟁사와의 시장 점유율 차이가 확대되고 있어 수익 기반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며 “유럽에서는 에스닉·메인스트림 채널 진입과 올림픽 마케팅을 통한 인지도 등을 통해 외형 성장률이 개선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전사 원가율 개선과 국내 가공식품 매출 성장률 반등에 힘입어 하반기에 실적 개선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며 “중기적으로는 K-Food의 신제품 출시와 지역적 확장에 힘입어 글로벌 식품 매출 성장률이 점차 반등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72,085 | 293,591 | 290,235 |
영업이익 | 3,332 | 15,530 | 12,916 |
영업이익률 | 4.6% | 5.3% | 4.5% |
순이익 | 176 | 1,482 | 3,859 |
순이익률 | 0.2% | 0.5% | 1.3%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다시다, 스팸, 햇반 등 인기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최대 식품업체
경기변동
▷ 식품업 특성상 경기변동에 둔감한 산업으로 원료인 국제 곡물가, 환율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물류 38.52%
식품 35.98%
바이오 16.57%
Feed & Care 8.93%
* 수치는 매출 비중
식품 35.98%
바이오 16.57%
Feed & Care 8.9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원당 : 호주·태국에서 구입 (14년 45만원 → 15년 44만2000원 → 16년 44만3000원 → 17년 51만9000원 → 18년1Q 41만4000원 → 18년2Q 40만3000원 → 18년3Q 35만8000원/톤)
▷ 옥수수 : 미국 등에서 매입 (15년 24만4000원 → 16년 22만7000원 → 17년 22만1000원 → 18년1Q 20만9000원 → 18년2Q 19만4000원 → 18년3Q 20만2000원/톤)
▷ 대두 : 브라질에서 주료 구입 (15년 49만8000원 → 16년 46만9000원 → 17년 47만7000원 → 18년1Q 45만1000원 → 18년2Q 45만3000원 → 18년3Q 46만9000원/톤)
▷ 원맥 : 미국·호주·캐나다 등에서 구입 ('15년 35만원 → '16년 30만원 → 17년 27만8000원 → 18년1Q 30만5000원 → 18년2Q 30만5000원 → 18년3Q 28만1000원/톤)
▷ 경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 옥수수 : 미국 등에서 매입 (15년 24만4000원 → 16년 22만7000원 → 17년 22만1000원 → 18년1Q 20만9000원 → 18년2Q 19만4000원 → 18년3Q 20만2000원/톤)
▷ 대두 : 브라질에서 주료 구입 (15년 49만8000원 → 16년 46만9000원 → 17년 47만7000원 → 18년1Q 45만1000원 → 18년2Q 45만3000원 → 18년3Q 46만9000원/톤)
▷ 원맥 : 미국·호주·캐나다 등에서 구입 ('15년 35만원 → '16년 30만원 → 17년 27만8000원 → 18년1Q 30만5000원 → 18년2Q 30만5000원 → 18년3Q 28만1000원/톤)
▷ 경유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실적변수
▷ 식료품 가격 인상시 수혜
▷ 원재료인 국제 곡물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으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신흥국의 사료 수요 증가시 수혜
▷ 원재료인 국제 곡물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으로 수혜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신흥국의 사료 수요 증가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51.29%
- 유동비율 110.04%
- 당좌비율 65.28%
- 자본유보율 7,537.91%
- 부채비율 151.29%
- 유동비율 110.04%
- 당좌비율 65.28%
- 자본유보율 7,537.91%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