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SK, 저평가 국면 하반기 해소 전망”-SK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SK증권은 12일 SK에 대해 현재 저평가 국면으로, 주가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4만원을 그대로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4만4000원이다.
최관순 연구원에 따르면, SK 저평가 원인은 자체사업 및 비상장자회사 실적부진과 그룹 재무구조에 대한 우려, 지배구조 개편 속에서 불확실성 부각 등으로 짚었다.
그는 “대표적으로 부진했던 자체사업 및 비상장자회사는 머티리얼즈 CIC와 SK실트론을 들 수 있다”면서 “반도체 경기가 올 1분기부터 회복된 만큼 실적개선의 시차를 고려한다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개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어 “그룹 재무구조에 대한 우려는 베트남 원커머스 지분매각(2700억 원) 등 자산 효율화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이 진행 중”이라며 “올 4분기에는 자회사 지배구조 개편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돼 SK에 대한 저평가는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과 SKE&S 합병, SK에코플랜트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는 4분기 이후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연내에는 밸류업 관련 공시 가능성이 커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확대 등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 시점이 주가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자료>SK, SK증권
최관순 연구원에 따르면, SK 저평가 원인은 자체사업 및 비상장자회사 실적부진과 그룹 재무구조에 대한 우려, 지배구조 개편 속에서 불확실성 부각 등으로 짚었다.
그는 “대표적으로 부진했던 자체사업 및 비상장자회사는 머티리얼즈 CIC와 SK실트론을 들 수 있다”면서 “반도체 경기가 올 1분기부터 회복된 만큼 실적개선의 시차를 고려한다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개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어 “그룹 재무구조에 대한 우려는 베트남 원커머스 지분매각(2700억 원) 등 자산 효율화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이 진행 중”이라며 “올 4분기에는 자회사 지배구조 개편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돼 SK에 대한 저평가는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과 SKE&S 합병, SK에코플랜트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는 4분기 이후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연내에는 밸류업 관련 공시 가능성이 커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확대 등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 시점이 주가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자료>SK, SK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12,299 | 1,246,904 | 1,287,985 |
영업이익 | 2,290 | 20,629 | 41,369 |
영업이익률 | 0.7% | 1.7% | 3.2% |
순이익 | 23,491 | -12,927 | -7,768 |
순이익률 | 7.5% | -1.0% | -0.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SK그룹 지주사로, 사업영역은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구분
경기변동
주요제품
SK이노베이션 계열 55.92%
SK텔레콤 계열 13.23%
SK E&S 계열 8.62%
SK네트웍스 계열 6.44%
기타 5.51%
* 수치는 매출 비중
SK텔레콤 계열 13.23%
SK E&S 계열 8.62%
SK네트웍스 계열 6.44%
기타 5.5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IT 서비스-재료비(전산장비 등) 9%
IT 서비스-외주비(외주용역비) 91%
* 수치는 매입액 비중
IT 서비스-외주비(외주용역비) 91%
* 수치는 매입액 비중
실적변수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53.79%
- 유동비율 111.81%
- 당좌비율 82.66%
- 이자보상배율 7.63%
- 금융비용부담률 1.30%
- 자본유보율 143,614.12%
- 부채비율 153.79%
- 유동비율 111.81%
- 당좌비율 82.66%
- 이자보상배율 7.63%
- 금융비용부담률 1.30%
- 자본유보율 143,614.12%
신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