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네오팜, 수출 확대에 실적 증가 전망
[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네오팜이 3분기 실적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증권가에서 추정한 네오팜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2% 증가한 273억원, 영업이익은 8.7% 증가한 55억원(영업이익률 20.1%)이다.
하나증권 박은정 연구원은 "3분기 제로이드의 올리브영 신규 진입, OEM 매출 더해지며 외형 성장세는 두드러지나, 저마진 OEM 매출 추가 및 대손상각비(티메프 영향) 일부 반영되며 영업이익은 하이싱글(7~9%) 증가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박 연구원은 "올해까지는 OEM 매출 추가로 전반적인 브랜드 매출 확대가 나타남에도 원가 상승 부담이 연중 존재하나, ‘국내 성장 채널 + 수출 지역 확대’ 등의 전사적 판로 확대 모색을 통해 2025년은 이익 모멘텀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증권가에서 추정한 네오팜의 올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24.5% 증가한 1,209억원, 영업이익은 5.1% 증가한 266억원(영업이익률 22%)이다.
한편, 외국인은 올해 네오팜 주식을 48만주 순매수했다. 전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11.3%로 연초 대비 5.5%p 올랐다.
네오팜은 화장품 기업으로 주요 브랜드는 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아토팜', 피부장벽 전문 더모코스메틱 '리얼베리어', 생활보습 바디 전문 '더마비', '클린뷰티 컨셉의 '티엘스', 메디컬 스킨케어 브랜드 '제로이드' 가 있다.


■ V차트 분석
- '24년 2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2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1,079억원, 영업이익 249억원이다. '20년부터 매출이 다소 정체되었다가 '23년부터 개선되기 시작했다.

2. 원가율 : 2분기 말 매출원가율은 38.2%, 판관비율은 38.7%다. '23년부터 매출원가율은 오르는 반면 판관비는 하락했다.

3. 주가, 순이익지수 : '17년 1분기 연환산 순이익을 100으로 환산한 순이익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반면 주가는 '19년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비교적 낮은 구간에서 횡보하고 있다. 이익이 늘어도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는 좋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

4. 재고자산 : 2분기 말 재고자산은 130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12%다. 매출이 늘면서 재고자산도 늘어나고 있지만 매출 대비 비중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5. PBR : 2일 종가 기준 PBR은 1.25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하나증권 박은정 연구원은 "3분기 제로이드의 올리브영 신규 진입, OEM 매출 더해지며 외형 성장세는 두드러지나, 저마진 OEM 매출 추가 및 대손상각비(티메프 영향) 일부 반영되며 영업이익은 하이싱글(7~9%) 증가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박 연구원은 "올해까지는 OEM 매출 추가로 전반적인 브랜드 매출 확대가 나타남에도 원가 상승 부담이 연중 존재하나, ‘국내 성장 채널 + 수출 지역 확대’ 등의 전사적 판로 확대 모색을 통해 2025년은 이익 모멘텀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증권가에서 추정한 네오팜의 올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24.5% 증가한 1,209억원, 영업이익은 5.1% 증가한 266억원(영업이익률 22%)이다.
한편, 외국인은 올해 네오팜 주식을 48만주 순매수했다. 전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은 11.3%로 연초 대비 5.5%p 올랐다.
네오팜은 화장품 기업으로 주요 브랜드는 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아토팜', 피부장벽 전문 더모코스메틱 '리얼베리어', 생활보습 바디 전문 '더마비', '클린뷰티 컨셉의 '티엘스', 메디컬 스킨케어 브랜드 '제로이드' 가 있다.


■ V차트 분석
- '24년 2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2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1,079억원, 영업이익 249억원이다. '20년부터 매출이 다소 정체되었다가 '23년부터 개선되기 시작했다.

2. 원가율 : 2분기 말 매출원가율은 38.2%, 판관비율은 38.7%다. '23년부터 매출원가율은 오르는 반면 판관비는 하락했다.

3. 주가, 순이익지수 : '17년 1분기 연환산 순이익을 100으로 환산한 순이익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반면 주가는 '19년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비교적 낮은 구간에서 횡보하고 있다. 이익이 늘어도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는 좋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

4. 재고자산 : 2분기 말 재고자산은 130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12%다. 매출이 늘면서 재고자산도 늘어나고 있지만 매출 대비 비중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5. PBR : 2일 종가 기준 PBR은 1.25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16 | 1,190 | 971 |
영업이익 | 78 | 247 | 253 |
영업이익률 | 24.6% | 20.7% | 26.1% |
순이익 | 71 | 231 | 232 |
순이익률 | 22.6% | 19.4% | 23.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아토피 보습제를 주력으로 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제조·개발회사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둔감
주요제품
화장품 96.16%
기타 3.84%
* 수치는 매출 비중
기타 3.84%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Olive butter (1%), PC-9S(2.5%), Phytosqalane(식물성) (0.9%) , 기타원료 (90.2%) 등
* 괄호 안은 매입 비율
* 괄호 안은 매입 비율
실적변수
▷ 제품 인지도 증가 시 수혜
▷ 제품에 대한 신뢰도 높아질 시 수혜
▷ 제품에 대한 신뢰도 높아질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4.77%
- 유동비율 670.68%
- 당좌비율 620.55%
- 이자보상배율 2,691.42%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3,145.69%
- 부채비율 14.77%
- 유동비율 670.68%
- 당좌비율 620.55%
- 이자보상배율 2,691.42%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3,145.69%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