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LG유플러스, 주주환원+실적 우상향…목표가↑”-DB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DB금융투자는 25일 LG유플러스에 대해 주주환원 수익률 8% 대와 4분기부터 턴라운드가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만35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1090원이다.
이 증권사 신은정 연구원은 “지난해 배당성향은 45% 수준으로 앞으로 15~20%의 추가 자사주 매입이 가능한 구조”라며 “올해 실적은 상각비 부담으로 부진했지만, 내년 실적 회복 시 약 6000억 규모의 별도 순이익을 거둘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이를 바탕으로 배당총액 2800억원과 자사주 매입 1000억~1200억원 가정 시 주주환원 규모는 약 4000억원이 될 것”이라며 “총주주환원율은 67%, 시가총액 대비 수익률 환산 시 8.3% 수준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장기 관점에서 매년 1000억~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참고로 지난 2021년 매입했던 자사주 1.5%(678만주)도 내년 상반기 소각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2일 밸류업 공시를 통해 중장기 자기자본이익률(ROE) 8~10%, 주주환원율 40~60%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6G 도입전까지 부채 비율 100% 수준 유지와 탄력적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영업활동 현금 흐름 3조원을 가정할 때, 투자 금액 2조4000억원과 부채 상환 3000억원 이상, 주주환원 3000억원 이상의 세부 계획을 제시했다.
신 연구원은 “그동안 부진했던 이익은 올 4분기부터 턴어라운드 예정이고, 부족했던 주주환원 정책도 4~5년 동안 매년 매입 계획을 밝히며 정상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덧붙였다.
<자료>LG유플러스, DB금융투자
이 증권사 신은정 연구원은 “지난해 배당성향은 45% 수준으로 앞으로 15~20%의 추가 자사주 매입이 가능한 구조”라며 “올해 실적은 상각비 부담으로 부진했지만, 내년 실적 회복 시 약 6000억 규모의 별도 순이익을 거둘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이를 바탕으로 배당총액 2800억원과 자사주 매입 1000억~1200억원 가정 시 주주환원 규모는 약 4000억원이 될 것”이라며 “총주주환원율은 67%, 시가총액 대비 수익률 환산 시 8.3% 수준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장기 관점에서 매년 1000억~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참고로 지난 2021년 매입했던 자사주 1.5%(678만주)도 내년 상반기 소각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2일 밸류업 공시를 통해 중장기 자기자본이익률(ROE) 8~10%, 주주환원율 40~60%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6G 도입전까지 부채 비율 100% 수준 유지와 탄력적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영업활동 현금 흐름 3조원을 가정할 때, 투자 금액 2조4000억원과 부채 상환 3000억원 이상, 주주환원 3000억원 이상의 세부 계획을 제시했다.
신 연구원은 “그동안 부진했던 이익은 올 4분기부터 턴어라운드 예정이고, 부족했던 주주환원 정책도 4~5년 동안 매년 매입 계획을 밝히며 정상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덧붙였다.

<자료>LG유플러스, DB금융투자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7,481 | 146,252 | 143,726 |
영업이익 | 2,554 | 8,631 | 9,980 |
영업이익률 | 6.8% | 5.9% | 6.9% |
순이익 | 1,657 | 3,745 | 6,228 |
순이익률 | 4.4% | 2.6% | 4.3%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LG그룹 계열의 유·무선 통신사업 사업자
경기변동
▷ 수요의 계절성이 없어 계절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해당사항 없음
실적변수
▷ 스마트폰 보급 확대 등으로 서비스 이용자 증가 시 수혜
▷ 서비스 단가 인상 시 수혜
▷ 4세대 통신 LTE 등 신규 서비스 성과 호조 시 수혜
▷ 서비스 단가 인상 시 수혜
▷ 4세대 통신 LTE 등 신규 서비스 성과 호조 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40.30%
- 유동비율 102.60%
- 당좌비율 96.84%
- 이자보상배율 6.61%
- 금융비용부담률 1.16%
- 자본유보율 202.77%
- 부채비율 140.30%
- 유동비율 102.60%
- 당좌비율 96.84%
- 이자보상배율 6.61%
- 금융비용부담률 1.16%
- 자본유보율 202.77%
신규사업
▷ 인공지능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 AI 출시(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