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태웅, 올 상반기 수익성 개선…목표가↑”-NH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NH투자증권은 5일 태웅에 대해 올해 상반기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1만50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13.3% 올렸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1850원이다.
이 증권사 곽재혁 연구원은 “미국 해상풍력은 불확실성이 확대됐지만, 유럽은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지난해 4분기에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용 플랜지 수주에 성공해 올 상반기 수익성이 개선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곽 연구원은 “올해 유럽향 해상풍력 수주 가시성이 높다”면서 “유럽은 현재 터빈 OEM들의 유럽 지역 해상풍력 수주와 공급망 안정화, 균등화 발전비용(LCOE) 안정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태웅의 지난해 4분기 해상풍력 신규 수주 금액은 2024년 연중 가장 큰데, 해당 수주 분은 전량 유럽지역”이라며 “올 상반기에도 유럽, 아시아 지역 해상풍력 프로젝트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사업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 1건에 대한 수주가 가능하다고 봤다.
올해 전사 신규 수주 금액은 지난해 보다 9.8% 증가한 4000억원으로 예상했다. 부문별는 풍력 1100억원, 조선 820억원, 기타 2000억원 등으로, 기타 부문의 경우 중동 플랜트향 수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한편,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85억원, 50억원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5.8%, 54.1% 감소한 실적이다. 그는 “철 스크랩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20% 하락해 아쉽지만, 영업일수 증가와 해상풍력 플랜지 비중이 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며 “해상풍력 수주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흐름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증권사 곽재혁 연구원은 “미국 해상풍력은 불확실성이 확대됐지만, 유럽은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지난해 4분기에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용 플랜지 수주에 성공해 올 상반기 수익성이 개선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곽 연구원은 “올해 유럽향 해상풍력 수주 가시성이 높다”면서 “유럽은 현재 터빈 OEM들의 유럽 지역 해상풍력 수주와 공급망 안정화, 균등화 발전비용(LCOE) 안정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태웅의 지난해 4분기 해상풍력 신규 수주 금액은 2024년 연중 가장 큰데, 해당 수주 분은 전량 유럽지역”이라며 “올 상반기에도 유럽, 아시아 지역 해상풍력 프로젝트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사업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 1건에 대한 수주가 가능하다고 봤다.
올해 전사 신규 수주 금액은 지난해 보다 9.8% 증가한 4000억원으로 예상했다. 부문별는 풍력 1100억원, 조선 820억원, 기타 2000억원 등으로, 기타 부문의 경우 중동 플랜트향 수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한편,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85억원, 50억원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5.8%, 54.1% 감소한 실적이다. 그는 “철 스크랩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20% 하락해 아쉽지만, 영업일수 증가와 해상풍력 플랜지 비중이 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며 “해상풍력 수주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흐름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856 | 3,863 | 4,438 |
영업이익 | 9 | 228 | 395 |
영업이익률 | 1.1% | 5.9% | 8.9% |
순이익 | 15 | 247 | 342 |
순이익률 | 1.8% | 6.4% | 7.7%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풍력발전, 플랜트산업, 조선업, 산업기계 등에 쓰이는 단조부품 전문 기업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풍력, 조선, 산업플랜트 업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탄소강 (56.1%, 11년 948원/kg → 12년 890원/kg → 13년 728원/kg → 14년 697원/kg → 15년 611원/kg → 16년 479원/kg)
▷ 합금강 (28.1%, 11년 1328원/kg → 12년 1199원/kg → 13년 1183원/kg → 14년 1103원/kg → 15년 948원/kg → 16년 763원/kg)
▷ 스테인레스강 (15.7%)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 합금강 (28.1%, 11년 1328원/kg → 12년 1199원/kg → 13년 1183원/kg → 14년 1103원/kg → 15년 948원/kg → 16년 763원/kg)
▷ 스테인레스강 (15.7%)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실적변수
▷ 전방산업인 풍력, 조선, 산업기계 호황시 수혜
▷ 수출 비중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 수출 비중 높아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68.73%
- 유동비율 217.73%
- 당좌비율 133.35%
- 이자보상배율 -5.20%
- 금융비용부담률 1.53%
- 자본유보율 3,964.04%
- 부채비율 68.73%
- 유동비율 217.73%
- 당좌비율 133.35%
- 이자보상배율 -5.20%
- 금융비용부담률 1.53%
- 자본유보율 3,964.04%
신규사업
▷ 제강사업부 설립, 2013년부터 2018년 말까지 4500억원 투자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