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 수주로 올해도 기대…목표가↑”-유안타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유안타증권은 14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50만원에서 62만원으로 올리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51만6000원이다.
이 증권사 이승웅 연구원은 “22조원에 달하는 해외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지상방산의 견조한 실적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한화오션 및 한화시스템과의 해양사업에서의 시너지를 감안한다면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며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6% 늘어난 4조8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22.1% 증가한 8925억원을 거뒀다. 이 연구원은 “3개 분기 연속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며 “지상방산과 한화시스템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상방산 부문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4.5% 증가한 3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8698억원으로 같은 기간 172% 늘었다”면서 “항공우주는 매출액 59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지만, 영업손실 460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물량 증가로 매출액은 늘었지만, 기어드 터보팬(GTF) 엔진 판매 증가로 국제공동개발(RSP) 영업 손실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한화시스템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4% 성장한 933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0.4% 늘어난 291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123.1% 증가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6.3% 늘어난 2조7000억원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의 필리 조선소 연결 편입이 반영됐다”면서 “국내 양산사업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물량 증가가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올해 폴란드향 K9 70문 이상, 천무 50대 이상이 인도되고 호주와 이집트 K9 공급도 본격화될 예정”이라며 “해외 수출의 높은 수익성을 감안할 때 올해도 지난해와 유사한 마진율을 유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증권사 이승웅 연구원은 “22조원에 달하는 해외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지상방산의 견조한 실적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한화오션 및 한화시스템과의 해양사업에서의 시너지를 감안한다면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며 목표주가 상향 이유를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6% 늘어난 4조8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22.1% 증가한 8925억원을 거뒀다. 이 연구원은 “3개 분기 연속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며 “지상방산과 한화시스템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상방산 부문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4.5% 증가한 3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8698억원으로 같은 기간 172% 늘었다”면서 “항공우주는 매출액 59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지만, 영업손실 460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물량 증가로 매출액은 늘었지만, 기어드 터보팬(GTF) 엔진 판매 증가로 국제공동개발(RSP) 영업 손실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한화시스템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4% 성장한 933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0.4% 늘어난 291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 보다 123.1% 증가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6.3% 늘어난 2조7000억원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의 필리 조선소 연결 편입이 반영됐다”면서 “국내 양산사업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물량 증가가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올해 폴란드향 K9 70문 이상, 천무 50대 이상이 인도되고 호주와 이집트 K9 공급도 본격화될 예정”이라며 “해외 수출의 높은 수익성을 감안할 때 올해도 지난해와 유사한 마진율을 유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4,842 | 112,401 | 78,897 |
영업이익 | 5,607 | 17,319 | 5,943 |
영업이익률 | 10.2% | 15.4% | 7.5% |
순이익 | 866 | 22,989 | 8,175 |
순이익률 | 1.6% | 20.5% | 10.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파워시스템, 보안장비, 반도체 장비, 방산사업을 하는 한화그룹 계열사
경기변동
▷ 반도체사업은 전방산업인 IT산업에 영향을 크게 받음
▷ 방산부문은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음
▷ 보안사업은 경기변동에 둔감
▷ 방산부문은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음
▷ 보안사업은 경기변동에 둔감
주요제품
방산사업 40.40%
항공엔진 21.80%
시큐리티 15.52%
산업용장비 10.80%
ICT부문 7.05%
* 수치는 매출 비중
항공엔진 21.80%
시큐리티 15.52%
산업용장비 10.80%
ICT부문 7.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엔진부문 원재료
방탄강 (kg당 11년 4085원 → 12년 4166원 → 13년 4143원 → 14년 4156원 → 15년 4157원 → 16년 4068원)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방탄강 (kg당 11년 4085원 → 12년 4166원 → 13년 4143원 → 14년 4156원 → 15년 4157원 → 16년 4068원)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실적변수
▷ IT산업 호황시 수혜
▷ 국방 예산 증가 등 정부의 관련 정책 장려시 수혜
▷ 범죄, 재난 등으로 보안 수요 증가시 수혜
▷ 국방 예산 증가 등 정부의 관련 정책 장려시 수혜
▷ 범죄, 재난 등으로 보안 수요 증가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81.66%
- 유동비율 138.61%
- 당좌비율 94.90%
- 이자보상배율 4.43%
- 금융비용부담률 1.09%
- 자본유보율 822.57%
- 부채비율 181.66%
- 유동비율 138.61%
- 당좌비율 94.90%
- 이자보상배율 4.43%
- 금융비용부담률 1.09%
- 자본유보율 822.57%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