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테스, 4분기 실적 개선... 흑자 전환 성공
[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
■ V차트 분석
- '24년 3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2401억원, 영업이익은 373억원(영업이익률 15.5%)으로 흑자전환했다. '23년을 저점으로 실적이 반등하고 있다.
2. 재고자산 : 지난해 3분기 말 재고자산은 462억원으로, 매출의 25.7%를 차지했다. '22년 2분기 이후 재고자산은 감소하는 추세다.
3. 차입금 : 지난해 3분기 말 차입금(이자발생부채)은 65억원으로 자산의 1.9%를 차지했다. 차입을 최소한으로 유지해 높은 재무건전성을 보여준다.
4. PBR(주가순자산배수) : 25일 종가 기준 PBR은 1.41배로, 최근 10년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반도체 장비업체 테스가 2024년 4분기 실적에서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회사는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866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영업이익은 208억 원을 기록해 영업이익률 24%를 달성했다. 이러한 실적 개선은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장비 수주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간 실적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테스는 2024년 한 해 동안 2,40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대비 63% 성장했으며, 영업이익도 373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연간 영업이익률은 15.5%로 개선되며, 수익성이 뚜렷하게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주요 고객사의 DRAM 공정 전환과 신규 투자 확대로 인해 PECVD 장비 공급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도 테스의 향후 실적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2025년 테스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20.4% 증가한 2,890억 원, 영업이익은 32.2% 증가한 493억 원(영업이익률 17.1%)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대신증권 신석환 연구원은 "DRAM용 PECVD 장비의 수주 확대와 함께 메모리 선단 공정 투자 집중에 따른 장비 공급 증가가 실적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테스는 기존 NAND 장비 중심의 매출 구조에서 벗어나 DRAM 장비 매출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2024년부터 DRAM용 장비 공급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25년 상반기에는 DRAM 장비 중심의 공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에는 NAND 전환 투자에 따른 장비 수주가 기대되면서 연간 실적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연구원은 "테스가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DRAM 및 NAND 장비 수주 증가로 실적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2025년에는 PECVD 장비의 평균 공급 가격(ASP) 상승과 공급 대수 확대가 기대되며, 중화권 신규 장비 공급까지 가시화될 경우 추가적인 성장 기회도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테스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생산능력 확장을 통해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 V차트 분석
- '24년 3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2401억원, 영업이익은 373억원(영업이익률 15.5%)으로 흑자전환했다. '23년을 저점으로 실적이 반등하고 있다.

2. 재고자산 : 지난해 3분기 말 재고자산은 462억원으로, 매출의 25.7%를 차지했다. '22년 2분기 이후 재고자산은 감소하는 추세다.

3. 차입금 : 지난해 3분기 말 차입금(이자발생부채)은 65억원으로 자산의 1.9%를 차지했다. 차입을 최소한으로 유지해 높은 재무건전성을 보여준다.

4. PBR(주가순자산배수) : 25일 종가 기준 PBR은 1.41배로, 최근 10년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845 | 2,401 | 1,469 |
영업이익 | 163 | 385 | -59 |
영업이익률 | 19.3% | 16.0% | -4.0% |
순이익 | 159 | 427 | 16 |
순이익률 | 18.8% | 17.8% | 1.1%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반도체 전(前)공정·태양전지 장비제조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매우 민감한 산업으로 전방업체(반도체 제조기업)의 설비투자에 영향을 받음
▷ 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반도체 생산업체보다 큼
▷ 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반도체 생산업체보다 큼
주요제품
반도체장비,디스플레이 장비 등 87.95%
제품 외(기타) 12.05%
* 수치는 매출 비중
제품 외(기타) 12.05%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플랫폼 (17.4%) : Brooks 등에서 매입
▷ 제너레이터 (2.6%) : AE 등에서 매입
▷ 기타 (80%)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제너레이터 (2.6%) : AE 등에서 매입
▷ 기타 (80%)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생산업체의 생산라인 투자 확대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6.11%
- 유동비율 475.76%
- 당좌비율 207.83%
- 이자보상배율 3,215.34%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3,162.25%
- 부채비율 16.11%
- 유동비율 475.76%
- 당좌비율 207.83%
- 이자보상배율 3,215.34%
- 금융비용부담률 0.01%
- 자본유보율 3,162.25%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