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V차트] 엠씨넥스, 1분기 영업익 예상치 상회...전장·모바일 쌍끌이
[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엠씨넥스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에서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했다. 메리츠증권 양승수 연구원은 “1분기 연결 매출액은 3,479억 원, 영업이익은 209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6%, 13.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시장 컨센서스를 27.8%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카메라 모듈과 구동계 사업의 고객사 내 점유율 확대가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양 연구원은 “특히 구동계는 기존 S시리즈에 이어 A시리즈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며 수익성과 매출 모두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확장 전략은 엠씨넥스가 업계 내에서 차별화된 실적을 기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전장 부문 역시 호조를 보였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탑재 확대 트렌드가 지속되며,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양 연구원은 “전장 부문 매출도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엠씨넥스의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2분기에도 실적 개선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양 연구원은 “2분기 예상 매출액은 3,206억 원, 영업이익은 159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2.0%, 108.0% 증가할 것”이라며 “S시리즈 출하량은 줄겠지만, A시리즈 수주 확대와 슬림 모델 채택으로 구동계의 수익 기여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전장 부문은 환율 변동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나, SVM(서라운드 뷰 모니터), Built-in Cam 등의 양산 모델이 확대되며 매출 증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양 연구원은 “전장 부문에서의 구조적 성장도 엠씨넥스의 안정적인 실적 흐름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엠씨넥스는 카메라 모듈, 구동계, 차량용 영상 솔루션 등을 주력으로 하는 전자부품 기업이다. 삼성전자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를 기반으로 모바일 및 전장 부문에 집중하며, 기술력과 생산 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다.
■ V차트 분석
- '24년 4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엠씨넥스는 1분기 연환산 기준으로 매출액 1조 1171억 원, 영업이익 501억 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지난 2023년부터는 뚜렷한 V자형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2. 재고자산: 지난해 말 재고자산은 1066억원으로 매출의 10%를 차지했다.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율은 10%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3. 차입금: 지난해 말 차입금은 464억원으로 자산의 8%를 차지했다.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4. 배당: 지난해 주당 800원을 배당했으며 배당수익률은 4.2%를 기록했다. 배당금을 2년 연속 올리며 주주환원 강화 요구에 부응하는 모습이다.
5. PBR: 13일 종가 기준 PBR은 1.3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모바일 부문에서는 카메라 모듈과 구동계 사업의 고객사 내 점유율 확대가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양 연구원은 “특히 구동계는 기존 S시리즈에 이어 A시리즈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며 수익성과 매출 모두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확장 전략은 엠씨넥스가 업계 내에서 차별화된 실적을 기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전장 부문 역시 호조를 보였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탑재 확대 트렌드가 지속되며,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양 연구원은 “전장 부문 매출도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엠씨넥스의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2분기에도 실적 개선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양 연구원은 “2분기 예상 매출액은 3,206억 원, 영업이익은 159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2.0%, 108.0% 증가할 것”이라며 “S시리즈 출하량은 줄겠지만, A시리즈 수주 확대와 슬림 모델 채택으로 구동계의 수익 기여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전장 부문은 환율 변동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나, SVM(서라운드 뷰 모니터), Built-in Cam 등의 양산 모델이 확대되며 매출 증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양 연구원은 “전장 부문에서의 구조적 성장도 엠씨넥스의 안정적인 실적 흐름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엠씨넥스는 카메라 모듈, 구동계, 차량용 영상 솔루션 등을 주력으로 하는 전자부품 기업이다. 삼성전자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를 기반으로 모바일 및 전장 부문에 집중하며, 기술력과 생산 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다.
■ V차트 분석
- '24년 4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엠씨넥스는 1분기 연환산 기준으로 매출액 1조 1171억 원, 영업이익 501억 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지난 2023년부터는 뚜렷한 V자형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2. 재고자산: 지난해 말 재고자산은 1066억원으로 매출의 10%를 차지했다.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율은 10%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3. 차입금: 지난해 말 차입금은 464억원으로 자산의 8%를 차지했다.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4. 배당: 지난해 주당 800원을 배당했으며 배당수익률은 4.2%를 기록했다. 배당금을 2년 연속 올리며 주주환원 강화 요구에 부응하는 모습이다.

5. PBR: 13일 종가 기준 PBR은 1.3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3,479 | 10,571 | 9,325 |
영업이익 | 209 | 444 | 182 |
영업이익률 | 6.0% | 4.2% | 2.0% |
순이익 | 201 | 636 | 279 |
순이익률 | 5.8% | 6.0% | 3.0%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자동차 및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생산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신차 판매량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휴대폰용 85.33%
자동차용 13.62%
개발의뢰품 및 샘플제작 0.55%
원부자재 판매 0.42%
식음료 매출 0.10%
* 수치는 매출 비중
자동차용 13.62%
개발의뢰품 및 샘플제작 0.55%
원부자재 판매 0.42%
식음료 매출 0.10%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ACTUATOR
▷ HOUSING ASSY'S
▷ SENSOR (15년 2397원 → 16년 5082원 → 17년 5072원 → 18년1Q 4426원)
▷ LENS
▷ PCB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 HOUSING ASSY'S
▷ SENSOR (15년 2397원 → 16년 5082원 → 17년 5072원 → 18년1Q 4426원)
▷ LENS
▷ PCB
* 괄호 안은 매입 가격 추이
실적변수
▷ 자동차 판매량 증가시 수혜, 환율 상승시 수혜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24.77%
- 유동비율 118.09%
- 당좌비율 74.53%
- 이자보상배율 6.87%
- 금융비용부담률 0.19%
- 자본유보율 3,167.94%
- 부채비율 124.77%
- 유동비율 118.09%
- 당좌비율 74.53%
- 이자보상배율 6.87%
- 금융비용부담률 0.19%
- 자본유보율 3,167.94%
신규사업
▷ Lidar, Mirrorless 카메라 등 자율주행차량 기술 개발
▷ 자동차용 블랙박스 제품 라인 다양화 및 추가 기능 개발
▷ 네트워크 카메라 제품 라인 다양화 및 미국 진출
▷ 스마트 모바일 생체 인식(지문인식 및 홍채인식) 기술 개발
▷ 자동차용 블랙박스 제품 라인 다양화 및 추가 기능 개발
▷ 네트워크 카메라 제품 라인 다양화 및 미국 진출
▷ 스마트 모바일 생체 인식(지문인식 및 홍채인식)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