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시각 골드퍼시픽은 상한가에 거래되고 있다. 이 밖에 유성기업, 신세계건설, 제넨바이오, 삼본전자, 풍산홀딩스 등도 상승 폭이 크다. 전일 대비 7% 이상 오른 종목 가운데 재무건전성에서 '별 다섯 개'를 받은 종목은 씨아이에스, 메카로, 아바코다.

재무건전성 등급은 유동비율, 부채비율, 이자보상배율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한 것으로 별 다섯개가 가장 좋은 것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재무건전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급등주 투자자에게 일종의 경고등 역할을 하려는 목적에서 제공하는 '재무 상태 평가'를 그대로 추종하기보다 그 평가가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인 재무 항목들을 통해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3.09 15:20
-
1
LNG 보냉재
2
▲2.7%
▲2
▼0
0
11,300원
▲300원▲2.7%
-
2
조선사
5
▲2.7%
▲4
▼1
0
58,600원
▲3,800원▲6.9%
-
3
통신 - 솔루션
7
▲2.5%
▲1
▼6
0
5,830원
▲1,345원▲30.0%
-
4
대형건설사 - 해외진출 포함
5
▲2.2%
▲5
▼0
0
38,000원
▲1,650원▲4.5%
이 시각 급등주03.09 15:20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듀오백] 최신 분석 보고서
[듀오백]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기능성 의자 '듀오백' 생산 업체 |
---|---|
사업환경 | ▷ 건강 및 사무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의자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이 회사는 인체공학적 설계로 기능적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 ▷ 1500개 취급점과,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판매중 |
경기변동 | ▷ 경기변동에 따라 기업들의 투자여력의 변화로 사무용 가구 시장이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의자 (매출 비중 100%) - 내수 87.5%, 수출 12.5% (내수 판매가 11년 11만7272원 → 12년 11만3400원 → 13년 13만3623원 → 14년 13만965원 → 15년 12만7175원) |
원재료 | ▷ 의자용 베이스, 한백에서 매입 (매입 비중 8%) (11년 수량당 9900원 → 12년 1만184원 → 13년 1만1122원 → 14년 1만37원 → 15년 1만224원) ▷ 의자용 플레이트, 진우정밀에서 매입 (매입 비중 8.5%) (11년 1만5428원 → 12년 1만4444원 → 13년 1만5149원 → 14년 1만5026원 → 15년 1만5353원) |
실적변수 | ▷ 세계 경제 성장률 호전시 수혜 ▷ 자회사(디비케이 네트웍스, 디비케이 에듀케이션)의 실적 개선시 지분법 이익 증가 |
리스크 | ▷ 재무 건전성: ★★★ (개별) - 부채비율 20%, 유동비율 278%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듀오백의 정보는 2020년 06월 2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듀오백]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0.12 | 2019.12 | 2018.12 |
---|---|---|---|
매출액 | 432 | 286 | 285 |
영업이익 | 7 | -22 | -26 |
영업이익률(%) | 1.6% | -7.7% | -9.1% |
순이익(연결지배) | N/A | -28 | -32 |
순이익률(%) | N/A | -9.8% | -11.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