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측은 COVID-19로 인한 경기불황 및 전방산업 경기침체가 원인이라고 간략히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013억324만원으로 전년 동기 2033억6194만원 대비 1%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57억3731만원으로 전년 동기 -23억1293만원에서 흑자전환했다.


이날 조광페인트 주가는 전일대비 0.30% 상승한 6630원으로 마감했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3.08 15:20
-
1
윤활유
3
▲4.2%
▲3
▼0
0
3,810원
▲335원▲9.6%
-
2
은행
9
▲3.7%
▲9
▼0
0
49,950원
▲2,950원▲6.3%
-
3
교육/온라인교육
17
▲3.7%
▲10
▼7
0
7,510원
▲1,730원▲29.9%
-
4
철강 소모품(내화물,생석회,탈산제 등)
7
▲3.3%
▲5
▼2
0
4,035원
▲930원▲30.0%
이 시각 급등주03.08 15:20
이 콘텐츠는 아이투자와 씽크풀이 공동개발한 로봇뉴스 알고리즘에 따라 작성한 기사입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조광페인트] 최신 분석 보고서
[조광페인트]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목공용, 건축용, 공업용 등 산업 전반에 관련된 도료 제조사 |
---|---|
사업환경 | ▷ 국내 페인트 시장은 KCC, 삼화페인트, DPI 등 상위 5개사가 과점 ▷ 건설경기 침체로 중소 페인트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 ▷ 단가 높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탈출구 모색 ▷ 목공용도료 국내 1위, 건축용과 자동차용은 일본 후지쿠라 및 독일 바스프와의 기술제휴 |
경기변동 | ▷ 자동차, 조선, 가전, 가구 등 전방산업이 다양함 ▷ 매출액에서 원가 비중이 높아 인플레이션에 취약 |
주요제품 | ▷ 우레탄 : 목공용 (29.3%), 락카 (5.9%), 수성페인트 (4.4%), 에나멜 (1.6%) ▷ 원료 외 상품 (16%)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원재료 | ▷ 모노머류 (28.4%) : 일본촉매 등에서 구입 ▷ 수지류 (25.9%) : 국도화학 등에서 구입 ▷ 안료류 (13%) : TRONOX 등에서 구입 ▷ 용제류 (8.2%) : 대림코포레이션 등에서 구입 ▷ 첨가제류 (6.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로 평균 판매단가 상승시 수혜 ▷ 모노머, 수지 등 석유화학 제품 가격 하락시 원가율 내려 수혜 ▷ 부동산 경기 회복시 수혜 |
리스크 | ▷ 재무 건전성: ★★ (개별) - 부채비율 84%, 유동비율 107% -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 30% - 최근 4분기 합산 영업익 적자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조광페인트의 정보는 2020년 06월 2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조광페인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0.9 | 2019.12 | 2018.12 |
---|---|---|---|
매출액 | 1,435 | 1,982 | 2,044 |
영업이익 | -19 | -9 | 3 |
영업이익률(%) | -1.3% | -0.5% | 0.1% |
순이익(연결지배) | 101 | -23 | -39 |
순이익률(%) | 7% | -1.2% | -1.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