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글로벌은 거래소(코스피)에 속한 소형주다. 전일 기준 시가총액은 3281억원이다. 업종은 자본재다.
증권가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현지시간 지난 8일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 조치를 채택함에 따라 GS글로벌이 강세인 것으로 풀이된다. EU는 제5차 대러 제재의 일환으로 오는 8월부터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금지하게 된다.
GS글로벌은 종합무역상사로 철강 금속제품, 석유ㆍ화학제품, 석탄 등을 취급한다. GS글로벌은 매장량 약 1억4000만톤 규모의 인도네시아 BSSR 석탄광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4분기 실적과 전일 시가총액 기준 GS글로벌의 PER(주가수익배수)과 PBR(주가순자산배수)은 각각 12.58배, 0.89배다.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는 7.04%다.
최근 5거래일 간 GS글로벌에 대한 개인, 기관, 외국인의 순매수금액은 각각 -284억원, 449억원, -365억원이다.
[표] GS글로벌 최근 실적(단위: 억원, 원)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9.21 16:14
-
1
핵융합에너지
9
▲7.6%
▲4
▼5
0
5,910원
▲1,360원▲29.9%
-
2
치매 관련주
9
▲1.5%
▲1
▼7
1
6,460원
▲1,490원▲30.0%
-
3
모바일게임
26
▲1.3%
▲6
▼19
1
9,840원
▲2,270원▲30.0%
-
4
LPG(액화석유가스)
2
▲1.2%
▲1
▼1
0
153,100원
▲4,300원▲2.9%
이 시각 급등주09.21 16:14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GS글로벌] 최근 종목 뉴스
[GS글로벌]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2009년 GS그룹에 편입된 종합무역상사 |
---|---|
사업환경 | ▷ 과거 종합무역상사는 국내 제조업의 수출 대리점 역할을 통해 성장 ▷ 하지만 각 제조업체들이 직접 해외 판로를 개척하면서 산업재 수출 이익률은 갈수록 축소 중 ▷ 국내 종합무역상사는 최근 자원·원자재 직접 개발 및 지분 투자를 신규 성장동력으로 육성 중 |
경기변동 | ▷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산업으로 원자재 가격, 신흥국 산업투자 규모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무역/유통부문 96.28% 제조부문 2.33% 물류부문 0.75% 신사업/기타 0.64%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해당사항 없음 |
실적변수 | ▷ 경기 회복으로 물동량 상승시 수혜 ▷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설비투자 증가시 수혜 ▷ 유가상승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29.51% - 유동비율 111.16% - 당좌비율 77.74% - 이자보상배율 5.45% - 금융비용부담률 0.35% - 자본유보율 62.56%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GS글로벌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GS글로벌]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3.6 | 2022.12 | 2021.12 |
---|---|---|---|
매출액 | 20,133 | 50,709 | 38,490 |
영업이익 | 405 | 705 | 388 |
영업이익률(%) | 2.0% | 1.4% | 1.0% |
순이익(연결지배) | 165 | 702 | 233 |
순이익률(%) | 0.8% | 1.4% | 0.6%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