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A 조건(베트남 박장공장 상차+수출 통관)이며, 16주 납기 기간을 가지며 예상물량이 실제 생산CAPA를 초과할 경우 납기 기간(16주+α)로 증가된다고 설명했다.
계약기간은 2022년 6월 22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총 공급기간은 192일이다. 이번에 체결한 공급계약 금액은 최근 매출액 6061억4677만원 대비 18.91% 규모다.
이번 계약공시는 서진시스템의 올해 첫 계약 공시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6.28 15:08
-
1
풍력에너지
5
▲11.2%
▲5
▼0
0
11,950원
▲2,650원▲28.5%
-
2
원자력
29
▲4.2%
▲28
▼1
0
7,330원
▲1,230원▲20.2%
-
3
원자력발전소 해체
13
▲3.7%
▲8
▼5
0
7,330원
▲1,230원▲20.2%
-
4
셰일가스(Shale Gas)
9
▲3.3%
▲5
▼2
2
7,330원
▲1,230원▲20.2%
이 시각 급등주06.28 15:08
이 콘텐츠는 아이투자와 씽크풀이 공동개발한 로봇뉴스 알고리즘에 따라 작성한 기사입니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진시스템] 최신 분석 보고서
[서진시스템]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알루미늄을 주 원재료로 통신장비부품, 핸드폰부품, 반도체장비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
---|---|
사업환경 | ▷ 통신장비부문: 국내 통신장비 시장은 국내 무선 통신시장이 성숙기에 도래하면서 위축되는 추세 ▷ 휴대폰부품부문: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은 감소세이나, 알루미늄 메탈케이스는 수요가 늘고 있음 ▷ 반도체장비부문: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반도체 투자 규모가 증가할 전망 |
경기변동 | ▷ 통신장비부문: 타 산업에 비해 경기 변동의 영향 적음 ▷ 휴대폰부품부문: 졸업, 크리스마스 시즌 등의 영향으로 8~10월에 부품 공급이 늘어나고 11~1월에는 감소하는 경향 있음 ▷ 반도체장비부문: 반도체 소자업체의 투자 의사결정에 따라 매출이 일정 기간에 집중되는 것이 특징 |
주요제품 | 기타 34.16% 통신장비 부품 22.93% ESS 부품 21.53% 반도체 부품 11.69% 핸드폰 부품 9.69%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알루미늄 ▷ 철재류 ▷ 기타 |
실적변수 | ▷ 통신사업자(SK텔레콤, LG유플러스, KT)의 투자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30.77% - 유동비율 149.75% - 당좌비율 57.41% - 이자보상배율 0.46% - 금융비용부담률 4.42% - 자본유보율 3,497.58% |
신규사업 | ▷ 자동차 부품 중 알루미늄 부품 제조 ▷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CASE 제조 ▷ 에너지저장장치(ESS) 케이스 및 구동장치 제조 |
서진시스템의 정보는 2022년 06월 23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서진시스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2.3 | 2021.12 | 2020.12 |
---|---|---|---|
매출액 | 199 | 708 | 586 |
영업이익 | 0 | -31 | 3 |
영업이익률(%) | 0% | -4.4% | 0.5% |
순이익(연결지배) | 86 | 386 | -55 |
순이익률(%) | 43.2% | 54.5% | -9.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