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시각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64% 내린 2461.58, 코스닥 지수는 0.42% 하락한 739.99이다. 전체 상장 종목 가운데 5% 이상 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종목은 모두 24개다(우선주, 증권주, 최근 1년 내 신규상장 기업 제외).

재무 안전성 등급은 유동비율, 부채비율, 이자보상배율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한 것으로 별 다섯개가 가장 좋다. 그러나 일종의 경고등 역할을 하는 '재무 상태평가'를 그대로 추종하기보다, 그 평가가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인 재무 항목들을 통해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3.30 15:20
-
1
스마트폰 케이스
2
▲10.0%
▲2
▼0
0
4,130원
▲580원▲16.3%
-
2
정유업체
3
▲5.0%
▲3
▼0
0
187,200원
▲22,700원▲13.8%
-
3
반도체 - 팹리스
13
▲4.9%
▲10
▼3
0
1,410원
▲239원▲20.4%
-
4
반도체 제품(칩,센서,메모리 등)
13
▲4.8%
▲11
▼2
0
1,410원
▲239원▲20.4%
이 시각 급등주03.30 15:20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에스와이] 최근 종목 뉴스
[에스와이]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제조업체 |
---|---|
사업환경 | ▷ 국내 샌드위치패널 시장은 2012년 이후 총 생산량 및 시장규모가 감소하는 추세 ▷ 국내 기업 해외 이전에 따른 해외 진출 확대 전망(베트남, 인도네시아) |
경기변동 | ▷ 비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투자에 영향을 받음, 해당 건축물의 투자는 기업의 설비투자와 직접적 관련이 있음 |
주요제품 | 제품매출 74.67% 상품매출 14.95% 공시매출 9.48% 기타매출 0.91%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코일 (28.1%) : 샌드위치패널 강판 ▷ 원액, 레진 (46.7%) : 우레탄,EPS원료,난연액,접착제 등 ▷ 보드 (16.3%) : 샌드위치패널 내심재 ▷ CCL자재 (3.6%) : 칼라강판자재(도료 등) |
실적변수 | ▷ 국내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중국, 베트남 등의 국가로 이전됨에 따라 내수 시장은 정체되는 반면 해외 시장의 매출 확대 예상, 에스와이패널은 베트남 시장 진출 ▷ 샌드위치패널은 매출이 9월~11월에 증가하고 6월~8월에 감소하는 계절적 변동성이 있음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05.75% - 유동비율 123.05% - 당좌비율 71.85% - 이자보상배율 1.78% - 금융비용부담률 1.16% - 자본유보율 538.28%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에스와이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에스와이]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2.9 | 2021.12 | 2020.12 |
---|---|---|---|
매출액 | 3,952 | 4,241 | 3,101 |
영업이익 | 102 | 141 | -125 |
영업이익률(%) | 2.6% | 3.3% | -4.0% |
순이익(연결지배) | 127 | 88 | -245 |
순이익률(%) | 3.2% | 2.1% | -7.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