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씨텍의 밸류스코어는 100점 만점에 82.5점이다. 이 점수는 상위 2.1%에 속하는 점수다. 밸류스코어의 세부 평가 기준을 보면, 케이씨텍은 성장성(97점), 수익성(100점), 안전성(92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최근 분기 실적 점수도 86점으로 높았다. 그러나, 배당에 관한 점수는 40점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그림1]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연환산 기준 매출액은 지난 2019년 3분기 2609억원으로 저점을 찍은 후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가장 최근 분기인 작년 3분기 기준 연환산 매출액은 3921억원으로 증가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매출 증가에 따라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7.8%, 16.1%다. 두 이익률은 2021년 2분기 이후 반등해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케이씨텍의 자기자본이익률(ROE)는 15%다. 이는 5년 평균 ROE 14%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1배로, 5년 평균 1.32배에 비해 낮다. PBR은 2020년 12월 이후 하락세를 지속 중이다.
[그래프3]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4.5%, 609.9%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또, 부채비율은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으며, 유동비율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점도 재무 안전성 매력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프4]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차입금 차트를 보면, 최근 차입금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차입금 비중이 0.8%로,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프5]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시가총액 대비 순현금 비중이 57.6%에 달한 것도 우량한 재무구조를 가진 증거로 볼 수 있다.
[그래프6] 순현금&시총 대비 순현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케이씨텍의 순이익 지수는 2021년 2분기 저점을 찍은 후 상승세를 이어온다. 같은 기간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다, 작년 9월말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반등 후 현재까지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그래프7]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12월 26일 키움증권 박유악 연구원은 케이씨텍 리포트를 발간하며 "작년 연간 기준 사상 최대 매출액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CMP 소재와 장비의 국산화를 통한 중장기적 실적 성장세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전방 시장 측면에서는 DRAM 시장 외에 NAND 및 파운드리로의 점유율 확대를 이루며, 향후 '삼성전자의 반도체 성장 전략(P3, P4, 테일러 증설)'으로부터 큰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12.01 16:01
-
1
전자결제서비스
9
▲3.4%
▲7
▼1
1
9,110원
▲1,320원▲16.9%
-
2
PG
6
▲2.8%
▲5
▼1
0
16,800원
▲1,050원▲6.7%
-
3
U-헬스케어
25
▲2.4%
▲15
▼8
2
3,490원
▲610원▲21.2%
-
4
해운사
7
▲2.4%
▲7
▼0
0
4,845원
▲320원▲7.1%
이 시각 급등주12.01 16:01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케이씨텍] 최근 종목 뉴스
[케이씨텍]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반도체·평판 디스플레이(FPD) 장비 업체 |
---|---|
사업환경 | ▷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향후 반도체 및 관련 부품·장비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 ▷ 국내외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와 OLED 투자 확대 전망 ▷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LCD 생산능력이 증대되고 있음 |
경기변동 | ▷ 반도체, 디스플레이 경기에 큰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반도체부문 74.39% 디스플레이부문 25.40% 기타 0.20%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구매품 (44%) ▷ 가공품 (37%) ▷ 외주용역 (7%) ▷ Unit외주 (12%) *괄호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반도체 생산업체들의 투자 확대시 수혜 ▷ LCD 패널 가격 상승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영업외수익 발생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6.15% - 유동비율 552.17% - 당좌비율 371.57% - 이자보상배율 467.53% - 금융비용부담률 0.04% - 자본유보율 3,681.87%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케이씨텍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케이씨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3.9 | 2022.12 | 2021.12 |
---|---|---|---|
매출액 | 2,156 | 3,782 | 3,445 |
영업이익 | 218 | 603 | 521 |
영업이익률(%) | 10.1% | 16.0% | 15.1% |
순이익(연결지배) | 253 | 554 | 419 |
순이익률(%) | 11.7% | 14.6% | 12.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