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와 B2C 매출은 유사하겠지만 충분한 원재료 가격 하락과 고객사의 자동차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올해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LX하우시스의 전 사업부에서 고른 실적 개선세가 나타날 것으로 봤다. 5월 넷째 주 기준 폴리염화비닐(PVC) 가격은 톤당 770달러로 지난해 저점 대비 6% 상승했지만, 2020~2022년 3년 평균 가격 대비 여전히 30% 낮은 수준이다. 올해 주택거래량은 지난해와 유사한 50만호로 가정할 때 유의미한 B2C 매출 증가 기대는 어렵지만 충분한 원재료 가격 하락과 재고 부담 완화에 따른 이익률 개선이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자동차 부품·원단 사업은 현대기아차의 완성차 판매량 증가와 관련해 유형 자산 효율화로 이익률이 충분히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가구·가전 필름 사업의 경우 하반기 이후 가전 수요 개선에 힘입어 LG전자향 매출 개선이 있을 것으로 봤다. 올해 소재·부품사업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한 234억원(영업이익률 2.5%)으로 전망했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09.21 16:14
-
1
핵융합에너지
9
▲7.6%
▲4
▼5
0
5,910원
▲1,360원▲29.9%
-
2
치매 관련주
9
▲1.5%
▲1
▼7
1
6,460원
▲1,490원▲30.0%
-
3
모바일게임
26
▲1.3%
▲6
▼19
1
9,840원
▲2,270원▲30.0%
-
4
LPG(액화석유가스)
2
▲1.2%
▲1
▼1
0
153,100원
▲4,300원▲2.9%
이 시각 급등주09.21 16:14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LX하우시스] 최근 종목 뉴스
[LX하우시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창호재(PVC창, 알루미늄창 등)와 인테리어 자재 등을 생산하는 기업 |
---|---|
사업환경 | ▷ 건축자재, 산업소재(자동차, IT) 제조사로 건설, 자동차 경기에 민감함 ▷ 건축자재 시장은 최근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경기변동 | ▷ 건설경기 변동 및 정부 주택정책에 민감 |
주요제품 | 건축자재 74.00% 자동차 소재 및 산업용필름 26.04% 공통부문 및 기타 -0.04%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건축자재 (70.5%) : PVC, 가소제, MMA - PVC 가격 추이 : 15년 1081원 → 16년 1092원 → 17년11993원 → 18년1Q 1130원 - 가소제 가격 추이 : 13년 2222원 → 14년 1920원 → 15년 1537원 → 16년 1264원 → 17년3Q 1300원 → 18년1Q 1315원 → 18년2Q 1154원 ▷ 자동차 및 고기능 소재 (29.5%) : PVC, 가소제, EP류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실적변수 | ▷ 부동산 및 건설경기 호황시 수혜 ▷ 주요 원재료(PVC, MMA등) 가격 하락시 원가율 개선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00.88% - 유동비율 86.94% - 당좌비율 57.74% - 이자보상배율 1.22% - 금융비용부담률 0.66% - 자본유보율 1,653.79% |
신규사업 | ▷ 중국 자동차 범퍼라인 투자: 투자기간 2015년 9월~2017년 6월 ▷ 단열재공장 증설 투자: 투자기간 2016년 11월 ~ 2018년 2월 ▷ 유럽 자동차 경량화부품 기업 지분인수: 2017년 2월 ▷ 캐나다 판매 법인 설립: 2017년 4월 |
LX하우시스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LX하우시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3.6 | 2022.12 | 2021.12 |
---|---|---|---|
매출액 | 17,789 | 36,112 | 34,598 |
영업이익 | 655 | 149 | 705 |
영업이익률(%) | 3.7% | 0.4% | 2.0% |
순이익(연결지배) | 383 | -1,171 | 131 |
순이익률(%) | 2.2% | -3.2% | 0.4%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