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키움증권은 6일 삼성중공업에 대해 올 하반기부터 해양 부문의 매출이 확대되며 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기존 1만7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올렸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3400원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 2조7004억원, 영업이익 174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1%, 영업이익은 120.5% 증가한 수준이다.
이 증권사 이한결 연구원은 “상선 부문에서 조업일수 증가와 해양 부문에서 주요 기자재의 빠른 납품에 생산 속도 향상으로 매출 성장세가 확대된 영향”이라며 “수익성이 좋은 해양 부문의 매출 비중 증가가 전사 이익 개선을 이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영업외 부분에서 러시아 프로젝트와 관련된 파생상품의 회계 처리 변경 이슈로 지난해 연간 누적으로 74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는 등 당기순손실 993억원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실적 가이던스로 매출 10조5000억원, 영업이익 6300억원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상선 부문에서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을 중심으로 견조한 수주가 예상되며, 중국조선소의 도크를 일부 이용하는 전략을 통해 컨테이너선 등 추가적인 수주 확대의 가능성도 열려있는 상황”이라고 봤다.
아울러 “해양 부문은 상반기 내 코랄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FLNG) 계약 체결이 예상된다”며 “하반기는 델핀 FLNG 프로젝트 계약을 마무리 지으며 연내 2기의 FLNG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해양 부문은 3기의 FLNG 프로젝트가 생산 공정에 들어가며 매출 비중이 25%로 확대될 것”이라며 “해양 부문의 양호한 수익성을 감안하면 다소 보수적인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그는 “미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로 해양 부문의 투자 증가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최근 중국에서 유일하게 FLNG 건조 능력이 있는 조선사가 제재 대상으로 등재되며 FLNG 시장에서 삼성중공업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 2조7004억원, 영업이익 174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1%, 영업이익은 120.5% 증가한 수준이다.
이 증권사 이한결 연구원은 “상선 부문에서 조업일수 증가와 해양 부문에서 주요 기자재의 빠른 납품에 생산 속도 향상으로 매출 성장세가 확대된 영향”이라며 “수익성이 좋은 해양 부문의 매출 비중 증가가 전사 이익 개선을 이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영업외 부분에서 러시아 프로젝트와 관련된 파생상품의 회계 처리 변경 이슈로 지난해 연간 누적으로 74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는 등 당기순손실 993억원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실적 가이던스로 매출 10조5000억원, 영업이익 6300억원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상선 부문에서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을 중심으로 견조한 수주가 예상되며, 중국조선소의 도크를 일부 이용하는 전략을 통해 컨테이너선 등 추가적인 수주 확대의 가능성도 열려있는 상황”이라고 봤다.
아울러 “해양 부문은 상반기 내 코랄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FLNG) 계약 체결이 예상된다”며 “하반기는 델핀 FLNG 프로젝트 계약을 마무리 지으며 연내 2기의 FLNG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해양 부문은 3기의 FLNG 프로젝트가 생산 공정에 들어가며 매출 비중이 25%로 확대될 것”이라며 “해양 부문의 양호한 수익성을 감안하면 다소 보수적인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그는 “미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로 해양 부문의 투자 증가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최근 중국에서 유일하게 FLNG 건조 능력이 있는 조선사가 제재 대상으로 등재되며 FLNG 시장에서 삼성중공업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삼성중공업] 최신 분석 보고서
- [52주 최고가] 그린생명과학 등 56개 장중 신고...05/27
- [52주 최고가] 티웨이홀딩스 22.0%↑, 15개 종목...01/21
- “삼성중공업, 미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목...01/17
- [52주 최고가] 삼성중공업 7.1%↑, 15개 종목 장...01/15
- “삼성중공업, 해양 실적 기여 높아져…목표가 ...11/29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삼성중공업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LNG선, 드릴쉽,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 경쟁력을 갖춘 대형 조선사 |
---|---|
사업환경 | ▷ 대규모 장치산업이자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중국 등 신흥국의 후발업체들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세계 경기 침체로 과거 활황기 대비 전체 수주량은 감소하는 추세 ▷ 고유가 기조에 따른 심해유전 개발과 미국 쉐일가스 개발로 가스선 발주가 꾸준할 것으로 기대됨 ▷ 엔저에 힘입어 일본업체들의 경쟁력 회복은 리스크임 |
경기변동 |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해운 물동량, 유가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조선해양 97.25% 토건 2.78% 연결조정 -0.03%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후판, 엔진, 형강, 프로펠러, 내외장재 등 : 포스코, NSC, 두산엔진, 현재중공업에서 구매(99.7%) - 강판 가격추이(12년 1,110 → 13년 1,110 → 14년 1,110 → 15년 1,110 * 단위 : 천원/톤) - 형강 가격추이(12년 1,020 → 13년 1,020 → 14년 820 → 15년 820 * 단위 : 천원/톤) ▷ 철근, 강재, 시멘트 : 포스코 등에서 구입 (0.3%)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
실적변수 | ▷ 국제 교역 증가시 선박 발주량 증가로 수혜 가능성 상승 ▷ 후판 가격 하락시 원가 개선 ▷ 유가 상승시 자원개발 수요 증가로 수혜 가능성 상승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04.62% - 유동비율 79.52% - 당좌비율 32.42% - 이자보상배율 -6.05% - 금융비용부담률 1.06% - 자본유보율 457.85%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삼성중공업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삼성중공업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4,943 | 99,031 | 80,094 |
영업이익 | 1,231 | 5,027 | 2,333 |
영업이익률(%) | 4.9% | 5.1% | 2.9% |
순이익(지배지분) | 921 | 639 | -1,483 |
순이익률(%) | 3.7% | 0.6% | -1.9%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