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NH투자증권은 16일 오리온에 대해 올해도 해외 법인 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7.7%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11만6700원이다.
이 증권사 주영훈 연구원은 “오리온은 해외 매출 비중이 65%에 달하는 기업으로, 올해도 러시아, 중국 등에서 매출 개선을 통해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파이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법인의 높은 외형 성장률에 주목해야 하며, 중국 법인 또한 지난해까지 이뤄진 영업망 교체 효과로 매출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연구원은 “3월 잠정 실적은 한국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 늘어난 98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9% 증가한 154억원을 기록했다”며 “내수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량 증가 효과 등에 힘입은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063억원, 2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8%, 영업이익은 19% 증가했다”며 “코코아 등 원부자재 상승 부담이 존재하지만, 외형 확대 효과로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고 봤다.
베트남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32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3% 감소한 40억원을 기록했는데, 소비 둔화와 지난해 동월 프로모션 행사로 기저가 높아 환율 효과 제외 시 매출이 정체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러시아는 매출액이 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9% 늘어난 32억원을 거뒀다. 주 연구원은 “러시아는 파이와 비스킷 카테고리 물량 증가와 더불어 루블화가 강세를 보이며 큰 폭으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는 올해 지배주주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2배를 적용해 산출했다”며 “오리온의 주가는 지난해 리가켐바이오 지분 인수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가 이뤄졌던 구간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PER 12배 이상에서 거래됐음을 참조했다”고 덧붙였다.
이 증권사 주영훈 연구원은 “오리온은 해외 매출 비중이 65%에 달하는 기업으로, 올해도 러시아, 중국 등에서 매출 개선을 통해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파이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법인의 높은 외형 성장률에 주목해야 하며, 중국 법인 또한 지난해까지 이뤄진 영업망 교체 효과로 매출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연구원은 “3월 잠정 실적은 한국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 늘어난 98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9% 증가한 154억원을 기록했다”며 “내수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량 증가 효과 등에 힘입은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063억원, 2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8%, 영업이익은 19% 증가했다”며 “코코아 등 원부자재 상승 부담이 존재하지만, 외형 확대 효과로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고 봤다.
베트남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325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3% 감소한 40억원을 기록했는데, 소비 둔화와 지난해 동월 프로모션 행사로 기저가 높아 환율 효과 제외 시 매출이 정체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러시아는 매출액이 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9% 늘어난 32억원을 거뒀다. 주 연구원은 “러시아는 파이와 비스킷 카테고리 물량 증가와 더불어 루블화가 강세를 보이며 큰 폭으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는 올해 지배주주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2배를 적용해 산출했다”며 “오리온의 주가는 지난해 리가켐바이오 지분 인수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가 이뤄졌던 구간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PER 12배 이상에서 거래됐음을 참조했다”고 덧붙였다.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오리온] 최신 분석 보고서
오리온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초코파이'로 유명한 제과 전문업체 |
---|---|
사업환경 | ▷ 건강식품류 과자의 수요 증가, 각종 신제품 개발로 인한 경쟁 가속화 ▷ 웰빙 트렌드에 맞는 프리미엄 과자의 등장으로 제품가가 상승하는 추세 ▷ 중국 등 신흥국 소득 수준 향상이 국내 제과 업체들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됨 |
경기변동 | ▷ 경기 변동에 둔감한 편임 |
주요제품 | 제과부문 117.34% 연결조정등 -17.34%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유지류(9.8%)(내수 매입단가, 11년 kg당 2183원 → 12년 2145원 → 13년 1951원 → 14년 1699원 → 15년 1483원 → 16년 1298원) ▷ 분유류(3.7%)(내수 매입단가, 11년 kg당 5912원 → 12년 6107원 → 13년 5964원 → 14년 5974원 → 15년 5843원 → 16년 5566원) ▷ 당류(6.5%) (11년 kg당 929원 → 12년 964원 → 13년 871원 → 14년 805원 → 15년 771원 → 16년 750원) * 괄호 안은 매입단가 추이 |
실적변수 | ▷ 중국,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 성공 여부 ▷ 유지류·분유류 등 원재료 가격 하락시 수익성 개선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2.93% - 유동비율 253.88% - 당좌비율 216.50% - 이자보상배율 75.55% - 금융비용부담률 0.22% - 자본유보율 7,551.49% |
신규사업 |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
오리온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오리온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8,018 | 31,043 | 29,124 |
영업이익 | 1,314 | 5,436 | 4,924 |
영업이익률(%) | 16.4% | 17.5% | 16.9% |
순이익(지배지분) | 1,043 | 5,246 | 3,766 |
순이익률(%) | 13.0% | 16.9% | 12.9%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