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김명선 연구원]효성티앤씨가 스판덱스 사업의 수익성 방어와 나일론/폴리에스터 사업의 구조조정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 실적 반등에 나설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발 공급 과잉 등 악조건 속에서도 선제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재정비한 결과다. 신한투자증권 이진명 연구원은 “스판덱스는 시황 회복이 더디지만 글로벌 시장 점유율 30%를 기록 중인 1위 사업자로서 차별화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1분기 스판덱스/PTMG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4%포인트 상승한 11%를 기록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 법인의 설비 효율화 작업을 통해 원가 경쟁력 높은 설비의 가동률을 높인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스판덱스 법인의 순이익률은 6.4%로 전분기 대비 무려 20%포인트나 상승하며 실적 개선의 선봉에 섰다. 향후 닝샤 지역의 5.4만 톤 규모 신규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 글로벌 수요 회복과 맞물려 이 같은 개선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년간 부진했던 나일론과 폴리에스터 사업도 전환점을 맞이했다. 효성티앤씨는 전방 수요 둔화와 중국 내 공급 과잉이라는 이중고를 겪으며 해당 부문에서 3년간 적자를 이어왔다. 그러나 국내 설비의 합리화 작업 이후 베트남 동나이 법인으로 생산을 이전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이 연구원은 “1분기 나일론/폴리에스터 사업의 영업이익은 -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0억원이 개선되며 회복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법인의 실적 개선도 뚜렷하다. 동나이 나일론 법인의 순이익률은 0.1%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이 연구원은 “생산 효율성 개선뿐 아니라 차별화된 제품군 확대와 베트남 법인의 가동률 상승이 이익 개선을 이끌고 있다”며 “연간 기준으로 465억원 증가한 23억원의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효성티앤씨는 글로벌 섬유소재 기업으로, 스판덱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섬유 제품을 제조·수출한다. 스판덱스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를 기록 중이며, 최근 베트남 등 해외 생산기지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효율적인 원가 구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섬유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 V차트 분석
- '25년 1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1분기 연환산 매출액 7조 8492억원, 영업이익은 2721억원을 기록했다. '23년 2분기 실적 저점 형성 이후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2. 재고자산: 1분기 말 재고자산은 7863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10%다. 재고자산은 매출의 10%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3. 차입금: 1분기 말 차입금은 2조 2255억원으로 자산의 39%를 차지한다.
4. PBR: 27일 종가 기준 PBR은 0.77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발 공급 과잉 등 악조건 속에서도 선제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재정비한 결과다. 신한투자증권 이진명 연구원은 “스판덱스는 시황 회복이 더디지만 글로벌 시장 점유율 30%를 기록 중인 1위 사업자로서 차별화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1분기 스판덱스/PTMG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4%포인트 상승한 11%를 기록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 법인의 설비 효율화 작업을 통해 원가 경쟁력 높은 설비의 가동률을 높인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스판덱스 법인의 순이익률은 6.4%로 전분기 대비 무려 20%포인트나 상승하며 실적 개선의 선봉에 섰다. 향후 닝샤 지역의 5.4만 톤 규모 신규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 글로벌 수요 회복과 맞물려 이 같은 개선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년간 부진했던 나일론과 폴리에스터 사업도 전환점을 맞이했다. 효성티앤씨는 전방 수요 둔화와 중국 내 공급 과잉이라는 이중고를 겪으며 해당 부문에서 3년간 적자를 이어왔다. 그러나 국내 설비의 합리화 작업 이후 베트남 동나이 법인으로 생산을 이전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이 연구원은 “1분기 나일론/폴리에스터 사업의 영업이익은 -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0억원이 개선되며 회복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법인의 실적 개선도 뚜렷하다. 동나이 나일론 법인의 순이익률은 0.1%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이 연구원은 “생산 효율성 개선뿐 아니라 차별화된 제품군 확대와 베트남 법인의 가동률 상승이 이익 개선을 이끌고 있다”며 “연간 기준으로 465억원 증가한 23억원의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효성티앤씨는 글로벌 섬유소재 기업으로, 스판덱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섬유 제품을 제조·수출한다. 스판덱스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를 기록 중이며, 최근 베트남 등 해외 생산기지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효율적인 원가 구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섬유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 V차트 분석
- '25년 1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1분기 연환산 매출액 7조 8492억원, 영업이익은 2721억원을 기록했다. '23년 2분기 실적 저점 형성 이후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2. 재고자산: 1분기 말 재고자산은 7863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10%다. 재고자산은 매출의 10%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3. 차입금: 1분기 말 차입금은 2조 2255억원으로 자산의 39%를 차지한다.

4. PBR: 27일 종가 기준 PBR은 0.77배로 역대 PBR 밴드 하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효성티앤씨] 최신 분석 보고서
- [52주 최저가] 엔시트론 10.0%↓, 35개 종목 장...11/25
- [52주 최저가] 맥스트 15.5%↓, 27개 종목 장중...11/22
- “효성티앤씨, 실적 개선세 이어져…우려 과다”...08/23
- [1Q 리스트] ‘깜짝 실적’ 15선05/17
- [종목 리스트] 실적 시즌..관심 둘 곳은?...눈높...04/18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효성티앤씨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효성에서 섬유/무역 사업 부문 분할 |
---|---|
사업환경 | ▷ 섬유산업은 중간재를 생산/공급하는 산업으로 공급 안정성, 품질, 고객과의 관계가 중요함 ▷ 무역부문은 인도, 이란 등 신흥시장으로 상권 확대 중 |
경기변동 | ▷ 섬유부문은 시황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가 있으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 무역부문은 국제 금리 및 환율 변동에 매우 민감 ▷ 철광석, 니켈, 석탄, 원유 등 원자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섬유 74.20% 무역 등 58.88% 연결조정 -33.08% * 수치는 매출 비중 |
원재료 | ▷ PTMG, MDI, 카프로락탐, BDO |
실적변수 | ▷ 세계 각국간 교역 조건 완화시 무역 확대 |
리스크 |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09.98% - 유동비율 106.09% - 당좌비율 68.51% - 이자보상배율 22.88% - 금융비용부담률 0.36% - 자본유보율 5,673.05%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효성티앤씨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효성티앤씨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19,527 | 77,761 | 75,269 |
영업이익 | 774 | 2,707 | 2,134 |
영업이익률(%) | 4.0% | 3.5% | 2.8% |
순이익(지배지분) | 205 | 1,345 | 932 |
순이익률(%) | 1.1% | 1.7% | 1.2% |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