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목표가↑…원전·SMR 확대 수혜주”-KB

- +
[아이투자 조양희 연구원]KB증권은 18일 두산에너빌리티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4000원에서 7만5000원으로 70.5% 대폭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대형 원전시장 확대와 소형모듈원전(SMR) 시장 성장 기대감 등을 반영해 장기 실적 추정치를 조정했기 때문이다. 전 거래일 종가는 5만9400원이다.

이 증권사 정혜정 연구원은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형 원전 및 SMR 주기기 공급과 관련한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어 수혜가 예상된다”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부터 대형 원전 10기 신규 증설을 시작해 2050년까지 원전 규모를 4배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원전 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웨스팅하우스는 미국 내 신규 원전 수주를 준비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고 있어 수주잔고는 이미 확보한 14기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을 전망”이라며 “이는 웨스팅하우스에 원전 주기기를 공급하는 두산에너빌리티에게도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한국형 원전 또한 체코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이르면 내년부터 두산에너빌리티의 매출 발생이 예상되는 가운데, 11차 전기본에서 확정된 국내 원전 2기를 비롯해 폴란드 원전, 체코 테믈린 원전 등의 추가 수주도 아직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SMR 시장은 미국 정부의 인허가 기간 축소 정책이 반영되면서 속도가 붙을 것으로 봤다. 지난달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는 뉴스케일의 SMR 설계를 승인했다. 그는 “현재 뉴스케일은 루마니아에 2030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올해 중 추가 수주를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뉴스케일에 공급할 SMR 주기기 소재를 이미 제작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7000억원 투자를 통해 SMR 모듈 생산능력 증설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원전과 SMR 동시 수혜가 예상돼 중장기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자료>두산에너빌리티, KB증권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두산에너빌리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담수화·원자력 플랜트에 강점을 지닌 종합 중공업회사
사업환경 ▷ 고유가 기조에 따른 중동국가의 수입 증가로 담수화 플랜트 수요는 꾸준한 편
▷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화력, 가스 플랜트 발주 꾸준한 것으로 기대됨
▷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반대 여론이 확산되는 것은 리스크
경기변동 ▷ 국가의 중장기 전력수급 계획에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경기 변동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함.
▷ 국내 플랜트 업체들은 중동향 수출비중이 높아 유가에 큰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두산밥캣 56.42%
두산애너빌리티 48.73%
두산퓨얼셀 1.83%
기타 0.51%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발전(41%)
▷ 건설(10%)
▷ 두산인프라코어(34%)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국내 전력 공급량 부족시 발전소 건설 증가로 수혜
▷ 유가 상승시 중동 플랜트 발주 증가로 수혜
▷ 수출 비중 높안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34.24%
- 유동비율 102.23%
- 당좌비율 70.49%
- 이자보상배율 2.79%
- 금융비용부담률 2.24%
- 자본유보율 110.25%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두산에너빌리티의 정보는 2022년 10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두산에너빌리티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25.3 2024.12 2023.12
매출액 37,486 162,331 175,899
영업이익 1,425 10,176 14,673
영업이익률(%) 3.8% 6.3% 8.3%
순이익(지배지분) -689 1,114 556
순이익률(%) -1.8% 0.7% 0.3%

자료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주 재무제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