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에코프로비엠, 올해 외형성장 예상에 목표가↑”-유안타
[아이투자 조양희]유안타증권은 17일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올해 큰 폭의 외형 성장과 함께 미국 내 수주 계약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5만8000원에서 21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일 종가는 14만7500원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근 급등한 주가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에 대한 시장의 고민이 생겨나고 있다”면서 “에코프로비엠은 내년 시장가치(EV)/세전영업이익(EBITDA) 기준 15배 수준으로 지난해부터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33% 이상 고려 시 여전히 투자매력이 높다”고 판단했다.
올해 매출액은 8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58% 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0% 증가한 6113억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올해 큰 폭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며 “전동공구 부문 수요 부진 지속과 환율 및 평균판매가격(ASP)이 하락하겠지만 전기차(EV) 부문만으로도 58% 이상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10년 단위 양극재 공급 계약을 추진 중에 있으며, 3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안 이후 북미 투자 계획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내 수주 계약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으로 수주 계약 발표 시, 에코프로비엠의 추가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근 급등한 주가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에 대한 시장의 고민이 생겨나고 있다”면서 “에코프로비엠은 내년 시장가치(EV)/세전영업이익(EBITDA) 기준 15배 수준으로 지난해부터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33% 이상 고려 시 여전히 투자매력이 높다”고 판단했다.
올해 매출액은 8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58% 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0% 증가한 6113억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올해 큰 폭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며 “전동공구 부문 수요 부진 지속과 환율 및 평균판매가격(ASP)이 하락하겠지만 전기차(EV) 부문만으로도 58% 이상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10년 단위 양극재 공급 계약을 추진 중에 있으며, 3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안 이후 북미 투자 계획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내 수주 계약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으로 수주 계약 발표 시, 에코프로비엠의 추가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6,298 | 27,668 | 69,009 |
영업이익 | 23 | -341 | 1,560 |
영업이익률 | 0.4% | -1.2% | 2.3% |
순이익 | -140 | -965 | -87 |
순이익률 | -2.2% | -3.5% | -0.1%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세계 2위권의 2차전지소재 제조 및 판매 업체
경기변동
▷ 전동공구용 2차 전지: 건설 경기 변동 추이 따라가는 성향, 성수기 봄, 여름, 가을
▷ EV용 2차 전지: 각국의 지원 정책 및 규제에 따른 변동, 자동차 구매 패턴과 비슷
▷ 리튬 2차전지 산업자체 개별 수요보다 최종 적용분야 수요에 따라 결정
▷ EV용 2차 전지: 각국의 지원 정책 및 규제에 따른 변동, 자동차 구매 패턴과 비슷
▷ 리튬 2차전지 산업자체 개별 수요보다 최종 적용분야 수요에 따라 결정
주요제품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 등 100.00%
* 수치는 매출 비중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니켈, 코발트, 리튬 (약 60~70% 비중)
* 괄호 안은 2018년 3분기 기준
* 괄호 안은 2018년 3분기 기준
실적변수
▷ 전방산업 경기 불확실성
▷ 대체재 출연에 따른 위험 (수소연료전지의 단점 극복한 기술 개발 등)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익성 감소 위험
▷ 대체재 출연에 따른 위험 (수소연료전지의 단점 극복한 기술 개발 등)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익성 감소 위험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90.83%
- 유동비율 112.66%
- 당좌비율 56.32%
- 이자보상배율 14.48%
- 금융비용부담률 0.43%
- 자본유보율 4,554.93%
- 부채비율 190.83%
- 유동비율 112.66%
- 당좌비율 56.32%
- 이자보상배율 14.48%
- 금융비용부담률 0.43%
- 자본유보율 4,554.93%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