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쌍용차, 작년 연결 영업이익 -1119억..."손실 규모 큰 폭 개선"
[아이투자 이승호 기자]쌍용차는 지난해 연간 연결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1119억5002만원으로 전년 동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고 21일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601억3354만원으로 역시 적자를 지속했다
그러나 지난해 매출액은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42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9% 증가했다. .
회사측은 "내수와 수출 등 전반적인 판매 상승세와 함께 자구노력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 등으로 2021년 대비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난해 매출액은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42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9% 증가했다. .
회사측은 "내수와 수출 등 전반적인 판매 상승세와 함께 자구노력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 등으로 2021년 대비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판매는 뉴 렉스턴 스포츠&칸 등 제품개선모델은 물론 신차인 토레스 판매 상승세에 힘입어 2021년 1분기 이후 8분기(2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며 2021년 대비 34.9%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기업회생절차 종결과 함께 KG그룹의 가족사로 새롭게 출발하며 분기 최대 판매와 함께 2018년 4분기(1조527억원) 이후 16분기(4년)만에 분기 매출 1조원을 돌파하는 등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손익실적은 판매 상승세와 함께 재무 안정화를 바탕으로 한 원가구조 개선과 판매 관리비 최적화 및 수익성 중심의 상품 구성 등 내부 체질 개선을 통해 2021년 대비 그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연간 영업손실은 2021년 2613억원에서 1120억 원으로, 당기순손실은 2660억원에서 601억원으로 감소하며 기업회생절차 돌입하기 이전인 2018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회사측은 올해 역시 U100 등 신차와 상품성 개선 모델 출시는 물론, 토레스 글로벌 론칭 및 신흥시장 진출 확대 등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와 총력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재무구조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콘텐츠는 아이투자와 씽크풀이 공동개발한 로봇뉴스 알고리즘에 따라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9,166 | 39,051 | 37,364 |
영업이익 | 57 | 14 | 125 |
영업이익률 | 0.6% | 0.0% | 0.3% |
순이익 | 30 | 338 | 89 |
순이익률 | 0.3% | 0.9% | 0.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SUV를 주력으로 하는 완성차 업체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유가, 국민 소득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완성차 85.48%
기타부품 등 14.52%
* 수치는 매출 비중
기타부품 등 14.52%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차량 및 엔진부품: 현대위아, 대한칼소닉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94.1%)
▷ 철판, 도료, 기타 등: 포스코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5.9%)
(철판 가격 10년 1,054,830 → 11년 1,206,790 → 12년 1,181,143 → 13년 1,101,810 → 14년 1,055,324 → 15년 895,444원→16년 857,542원/톤)
▷ 철판, 도료, 기타 등: 포스코 등에서 매입 (매입 비중 5.9%)
(철판 가격 10년 1,054,830 → 11년 1,206,790 → 12년 1,181,143 → 13년 1,101,810 → 14년 1,055,324 → 15년 895,444원→16년 857,542원/톤)
실적변수
▷ 환율 상승시 수익성 개선
▷ 중대형 위주의 제품 포트폴리오 때문에 유가 상승시 경쟁력 저하 우려 있음
▷ 중대형 위주의 제품 포트폴리오 때문에 유가 상승시 경쟁력 저하 우려 있음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782.40%
- 유동비율 35.26%
- 당좌비율 23.98%
- 이자보상배율 -8.43%
- 금융비용부담률 0.51%
- 자본유보율 -144.89%
- 부채비율 -1,782.40%
- 유동비율 35.26%
- 당좌비율 23.98%
- 이자보상배율 -8.43%
- 금융비용부담률 0.51%
- 자본유보율 -144.89%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