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DB하이텍, 꾸준히 성장한 파운드리 기업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DB하이텍은 웨이퍼 수탁 생산과 판매를 담당하는 파운드리 회사다. 회사는 최근 아날로그&파워 공정에 대한 수요 증가로 국내 및 해외 전략고객에 대한 제품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 미디어텍, LX세미콘 등이다. 또, 매출에서 수출 비중이 83%를 차지한다.
DB하이텍은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84.6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1.3%에 해당하는 점수다.
밸류스코어 세부 항목 중에서는 △성장성 100점 △안전성 98점 △수익성 93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배당매력과 최근 분기 실적 점수는 낮았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실적을 꾸준히 증가하는 모양새다. 그리고 최근 그 성장세가 가파른 모습을 보인 점이 인상적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실적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45.8%, 36.9%를 기록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익률 상승에는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하락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분기 실적기준 매출원가율은 45%, 9.2%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 대비 재고자산은 계속 하락해 4.2%를 기록하고 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8.51%다. 이는 5년 평균 ROE 22.45%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 이 이익률은 높은 수준을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최근에는 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24일 시총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3배로, 5년 평균 1.84배 대비 낮다. PBR은 지난해 4분기 2.92배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을 보자.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가운데, 순이익률의 상승이 ROE 상승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작년 주당 배당금으로 1300원을 지급했다. 해당 기간 시가배당률은 3.5%를 기록했다. 이 주당 배당금은 재작년 350원에서 1300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0.3%, 324.4%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하락세를, 유동비율은 상승세를 보였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자가 발생하는 차입금은 꾸준히 감소했다. 이에 차입금 비중은 6%까지 낮아졌다. 참고로, 차입금 비중이 10% 미만일 경우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판단한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은 223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순이익 지수는 꾸준히 상승했으며, 최근 그 상승 폭이 커졌다. 반면, 주가는 작년 3월부터 하락하다 최근 박스권 모습을 보인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DB하이텍은 지난해 매출액 1조675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대비 38% 증가한 실적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7687억원, 563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2%, 순이익은 77%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 영업이익은 11.2% 증가했다. 그러나, 순이익은 38% 감소했다.
지난 15일 DB하이텍 리포트를 작성한 NH투자증권 도현우, 문소영 연구원은 올해 실적에 대해 "최근 2~3년간 8인치 파운드리 시장 호황은 구조적 성장보다는 레거시 노드의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에 기인한다"며, "수급 불균형이 해결되는 올해부터 DB하이텍의 장기 성장성에 대한 가시성이 낮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DB하이텍은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84.6점을 받았다. 이는 상위 1.3%에 해당하는 점수다.
밸류스코어 세부 항목 중에서는 △성장성 100점 △안전성 98점 △수익성 93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배당매력과 최근 분기 실적 점수는 낮았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실적을 꾸준히 증가하는 모양새다. 그리고 최근 그 성장세가 가파른 모습을 보인 점이 인상적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실적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45.8%, 36.9%를 기록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익률 상승에는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 하락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분기 실적기준 매출원가율은 45%, 9.2%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 대비 재고자산은 계속 하락해 4.2%를 기록하고 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8.51%다. 이는 5년 평균 ROE 22.45%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 이 이익률은 높은 수준을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최근에는 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24일 시총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3배로, 5년 평균 1.84배 대비 낮다. PBR은 지난해 4분기 2.92배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을 보자.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가운데, 순이익률의 상승이 ROE 상승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작년 주당 배당금으로 1300원을 지급했다. 해당 기간 시가배당률은 3.5%를 기록했다. 이 주당 배당금은 재작년 350원에서 1300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0.3%, 324.4%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하락세를, 유동비율은 상승세를 보였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이자가 발생하는 차입금은 꾸준히 감소했다. 이에 차입금 비중은 6%까지 낮아졌다. 참고로, 차입금 비중이 10% 미만일 경우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판단한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이자보상배율은 223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순이익 지수는 꾸준히 상승했으며, 최근 그 상승 폭이 커졌다. 반면, 주가는 작년 3월부터 하락하다 최근 박스권 모습을 보인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DB하이텍은 지난해 매출액 1조675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대비 38% 증가한 실적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7687억원, 563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2%, 순이익은 77%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 영업이익은 11.2% 증가했다. 그러나, 순이익은 38% 감소했다.
지난 15일 DB하이텍 리포트를 작성한 NH투자증권 도현우, 문소영 연구원은 올해 실적에 대해 "최근 2~3년간 8인치 파운드리 시장 호황은 구조적 성장보다는 레거시 노드의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에 기인한다"며, "수급 불균형이 해결되는 올해부터 DB하이텍의 장기 성장성에 대한 가시성이 낮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2,974 | 11,312 | 11,542 |
영업이익 | 525 | 1,908 | 2,654 |
영업이익률 | 17.7% | 16.9% | 23.0% |
순이익 | 461 | 2,295 | 2,641 |
순이익률 | 15.5% | 20.3% | 22.9%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국내 유일의 반도체 파운드리 전문업체
경기변동
▷ 반도체 경기에 민감
주요제품
반도체 97.37%
기타 2.63%
* 수치는 매출 비중
기타 2.63%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Wafer (57%, 15년 $40.7 → 16년 $42.27 → 17년 $44.55 → 18년1Q $50.62 → 18년2Q $50.83 → 18년3Q $51.37)
▷ Chemical (23%) : 슬러리 케미칼류
▷ Reticle (9%) : Photo Mask
▷ Gas (6%)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Chemical (23%) : 슬러리 케미칼류
▷ Reticle (9%) : Photo Mask
▷ Gas (6%)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반도체 생산업체들의 투자 확대시 수혜
▷ 연결대상 계열사(동부, 동부메탈, 동부엘이디)의 실적
▷ 연결대상 계열사(동부, 동부메탈, 동부엘이디)의 실적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35.37%
- 유동비율 274.14%
- 당좌비율 208.50%
- 이자보상배율 219.26%
- 금융비용부담률 0.21%
- 자본유보율 493.89%
- 부채비율 35.37%
- 유동비율 274.14%
- 당좌비율 208.50%
- 이자보상배율 219.26%
- 금융비용부담률 0.21%
- 자본유보율 493.89%
신규사업
▷ MEMS(가속도센서, 회전축센서), IGBT(자동차)등 신규 공정 개발
▷ 디스플레이 솔루션, 센서 솔루션, TTDI(Touch+LDI), OLED향 Driver IC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
▷ 디스플레이 솔루션, 센서 솔루션, TTDI(Touch+LDI), OLED향 Driver IC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