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코스맥스, 1분기 국내 성장에 목표가 상향”-키움
[아이투자 조양희]키움증권이 15일 코스맥스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1만원에서 11만1000원으로 올렸다.
그동안 큰 우려로 작용했던 미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 작업이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국내와 중국 사업부도 좋은 분위기를 이어갈 것이란 판단에서다.
코스맥스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033억원, 13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 늘어난 것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법인의 견조한 성장과 해외 법인의 부진이 상쇄됐다”면서 “미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 작업이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특히 제조자개발생산(ODM) 비중이 꾸준하게 늘면서 실적 가시성이 점차 확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보다 93% 줄어든 7억원에 그쳤는데, 외환 이익(28억원)과 별도 국내 법인의 이익 증가로 법인세(91억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코스맥스코리아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243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5% 증가한 130억원을 기록했다. 그는 “순수 국내와 비중국향 수주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단가인상 효과가 일부 반영되면서 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매출은 12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18% 줄었다. 그중 상해는 같은 기간 25% 감소한 915억원, 광저우는 27% 증가한 297억원을 거뒀다. 상해 법인은 지난 3월 이후 매출 회복세가 본격화된 가운데, 연초의 부진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고, 광저우 법인은 낮은 기저 덕분에 매출이 성장했다는 설명이다.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한 271억을 기록했다. 조 연구원은 “지난 1월 오하이오 공장 가동이 멈췄고, 기존 고객사들의 뉴저지 법인 이전 작업과 공장 인증이 4월에 마무리되면서 매출 공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92억원, 태국 매출은 같은 기간 82% 성장한 51억원을 거뒀다.
<자료>코스맥스, 키움증권
그동안 큰 우려로 작용했던 미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 작업이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국내와 중국 사업부도 좋은 분위기를 이어갈 것이란 판단에서다.
코스맥스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033억원, 13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 늘어난 것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법인의 견조한 성장과 해외 법인의 부진이 상쇄됐다”면서 “미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 작업이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특히 제조자개발생산(ODM) 비중이 꾸준하게 늘면서 실적 가시성이 점차 확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보다 93% 줄어든 7억원에 그쳤는데, 외환 이익(28억원)과 별도 국내 법인의 이익 증가로 법인세(91억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코스맥스코리아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243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5% 증가한 130억원을 기록했다. 그는 “순수 국내와 비중국향 수주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단가인상 효과가 일부 반영되면서 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매출은 12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18% 줄었다. 그중 상해는 같은 기간 25% 감소한 915억원, 광저우는 27% 증가한 297억원을 거뒀다. 상해 법인은 지난 3월 이후 매출 회복세가 본격화된 가운데, 연초의 부진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고, 광저우 법인은 낮은 기저 덕분에 매출이 성장했다는 설명이다.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한 271억을 기록했다. 조 연구원은 “지난 1월 오하이오 공장 가동이 멈췄고, 기존 고객사들의 뉴저지 법인 이전 작업과 공장 인증이 4월에 마무리되면서 매출 공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92억원, 태국 매출은 같은 기간 82% 성장한 51억원을 거뒀다.

<자료>코스맥스, 키움증권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5,886 | 21,661 | 17,775 |
영업이익 | 513 | 1,754 | 1,157 |
영업이익률 | 8.7% | 8.1% | 6.5% |
순이익 | 81 | 858 | 571 |
순이익률 | 1.4% | 4.0% | 3.2%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한국 화장품 ODM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기업 중의 하나로 화장품 ODM 전문 기업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둔감한 편
주요제품
화장품 100.00%
* 수치는 매출 비중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금설 (2.7%)
▷ NOVEC HFE 7100 (1%)
▷ TINOSORB S (1.4%)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NOVEC HFE 7100 (1%)
▷ TINOSORB S (1.4%)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자회사의 실적 개선(중국, 인도네시아, 미국 법인)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200.98%
- 유동비율 99.93%
- 당좌비율 64.66%
- 이자보상배율 3.35%
- 금융비용부담률 1.03%
- 자본유보율 9,684.59%
- 부채비율 200.98%
- 유동비율 99.93%
- 당좌비율 64.66%
- 이자보상배율 3.35%
- 금융비용부담률 1.03%
- 자본유보율 9,684.59%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