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KH바텍, 힌지 단가 상승에 목표가 올려”-이베스트
[아이투자 조양희]이베스트투자증권이 KH바텍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만2000원에서 2만6000원으로 18.2% 올렸다. 전 거래일 종가는 2만500원이다.
19일 김광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력 제품 힌지의 평균판매단가(ASP) 상승폭 확대 효과를 반영해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9% 상향했다”면서 목표주가 조정 이유를 밝혔다.
KH바텍의 2분기 매출액은 7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31.6% 늘어나며, 영업이익은 48억6000만원으로 같은 기간 29.9%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고객사가 신규 폴더블 제품용 힌지를 U타입에서 물방울 힌지로 업그레이드 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KH바텍의 공급 단가가 기존 대비 50% 이상 증가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그는 “출하량 역시 전작 대비 30% 수준 증가되며 판매가격(P)과 판매량(Q)의 상승으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할 것”이라며 “고객사의 신규 폴더블 제품이 조기 출시되며 KH바텍의 물방울 힌지 출하 시점은 지난해 대비 2주 가량 앞당겨진 6월 중순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신규 경쟁사 진입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금번 ASP 상승폭 확대와 경쟁사의 힌지 모듈 납품 이력 및 양산 규모를 고려할 때 핵심 공급자로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 매출액 지난해 보다 38.3% 증가한 503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8.7% 늘어난 516억원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봤다. 조립 모듈(힌지) 매출은 올해 374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72%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1분기 실적은 전방 스마트폰 시장 수요 부진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4% 줄어든 43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4.7% 감소한 12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626억원, 영업이익 39억원을 하회한 것이다.
19일 김광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력 제품 힌지의 평균판매단가(ASP) 상승폭 확대 효과를 반영해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9% 상향했다”면서 목표주가 조정 이유를 밝혔다.
KH바텍의 2분기 매출액은 7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31.6% 늘어나며, 영업이익은 48억6000만원으로 같은 기간 29.9%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고객사가 신규 폴더블 제품용 힌지를 U타입에서 물방울 힌지로 업그레이드 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KH바텍의 공급 단가가 기존 대비 50% 이상 증가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그는 “출하량 역시 전작 대비 30% 수준 증가되며 판매가격(P)과 판매량(Q)의 상승으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할 것”이라며 “고객사의 신규 폴더블 제품이 조기 출시되며 KH바텍의 물방울 힌지 출하 시점은 지난해 대비 2주 가량 앞당겨진 6월 중순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신규 경쟁사 진입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금번 ASP 상승폭 확대와 경쟁사의 힌지 모듈 납품 이력 및 양산 규모를 고려할 때 핵심 공급자로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 매출액 지난해 보다 38.3% 증가한 503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8.7% 늘어난 516억원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봤다. 조립 모듈(힌지) 매출은 올해 374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72%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1분기 실적은 전방 스마트폰 시장 수요 부진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4% 줄어든 43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4.7% 감소한 12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626억원, 영업이익 39억원을 하회한 것이다.

<저작권자 ©아이투자(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분석 보고서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 2025.3 | 2024.12 | 2023.12 |
---|---|---|---|
매출액 | 615 | 3,110 | 3,636 |
영업이익 | 37 | 219 | 336 |
영업이익률 | 6.0% | 7.0% | 9.2% |
순이익 | 52 | 213 | 309 |
순이익률 | 8.5% | 6.9% | 8.5% |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가전, 휴대폰, 노트북 등 휴대용IT기기 정밀 부품업체
경기변동
▷ 환율, 원자재 가격, 수출시장 환경 등 해외의 경기 변동에 민감
▷ 핸드폰,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전방산업의 실적에 크게 좌우됨
▷ IT분야의 최대성수기는 크리스마스, 연말이고 비수기는 1분기
▷ 핸드폰,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전방산업의 실적에 크게 좌우됨
▷ IT분야의 최대성수기는 크리스마스, 연말이고 비수기는 1분기
주요제품
알루미늄 51.88%
조립모듈 30.44%
FPCB 11.84%
기타IT제품,상품 5.84%
* 수치는 매출 비중
조립모듈 30.44%
FPCB 11.84%
기타IT제품,상품 5.84%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알루미늄 합금 (11년 $3.18 → 12년 $3.15 → 13년 $2.91 → 14년 $2.87→ 15년 $2.49 → 16년 $2.38 → 17년 2.51$/KG)
▷ 동 합금
▷ 마그네슘 합금
▷ 도료
▷ CCL (동박)
▷ 외주 가공비
* 괄호 안은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
▷ 동 합금
▷ 마그네슘 합금
▷ 도료
▷ CCL (동박)
▷ 외주 가공비
* 괄호 안은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
실적변수
▷ 삼성전자, 노키아, 화웨이, ZTE의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시 수혜
▷ 금속 내외장재 채택률 상승시 수혜
▷ 마그네슘, 동합금,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 하락시 수익성 개선
▷ 금속 내외장재 채택률 상승시 수혜
▷ 마그네슘, 동합금,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 하락시 수익성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61.11%
- 유동비율 191.14%
- 당좌비율 162.89%
- 이자보상배율 6.91%
- 금융비용부담률 1.08%
- 자본유보율 1,794.04%
- 부채비율 61.11%
- 유동비율 191.14%
- 당좌비율 162.89%
- 이자보상배율 6.91%
- 금융비용부담률 1.08%
- 자본유보율 1,794.04%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