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캡 뉴스

[스톡워치] 대한해운, 해상화물 운송 기업

06/21 15:20
[아이투자 김재호 연구원]대한해운은 철광석, 천연가스, 원유와 같은 원재료를 선박으로 운송하는 해상화물 운송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주요 거래처는 한국가스공사, POSCO 등이 있다.

1분기기준 영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벌크선 43%, LNG선 26%, 탱커선 9%, 무역업 7%, 광산업 4%, 건설업 2%, 기타 9%다.

대한해운의 매출액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이다. 2021년 2분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매출액은 최근 그 증가폭이 줄어들었다.

영업이익은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2개 분기 연속 감소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더 큰 폭으로 줄었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15.7%, 8.2%다. 영업이익률은 작년 1분기 18.5%를 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했다. 순이익률은 2021년 4분기 21.3%를 찍은 후 하락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2021년 1분기까지 하락했다가 최근 서서히 상승하는 모양새다. 판관비율은 반대로 2021년 1분기 6.9%를 고점으로 하락세를 보인 후 최근 반등했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9.5%, 4.8%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2%다. 이는 5년 평균 10.8%에 비해 낮다. ROE는 2022년 2분기 18.9%를 기록한 후 하락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20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43배로, 5년 평균 0.65배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PBR은 하락세를 이어오다 2022년 3분기 이후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상승 후 크게 하락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44.4%, 70.4%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대한해운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다소 아쉽다.

[그래프6]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대한해운의 차입금은 계속 증가했다. 다만, 차입금 비중은 하락 후 그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1분기기준 차입금 비중은 50.3%로 다소 높은 편이다.

[그래프7]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2.3배다. 이는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2배 수준이라는 뜻이다.

[그래프8]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대한해운의 주가는 올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습이다. 21일 기준 주가는 올해 최고 2530원, 최저 1851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지수는 2022년 2분기 최고점을 기록한 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9]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달 31일 한국투자증권 최고운 연구원은 대한해운에 대한 리포트를 발간했다. 최 연구원은 "2분기 벌크해운 운임은 경기부진 우려로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중국 철강 수요는 아직 회복세가 더딘 상황이며, 아르헨티나 가뭄 피해 등으로 곡물 물동량 역시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전반적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조정받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은 다시 커지는 모습이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올해 벌크해운 시황은 원래부터 상저하고를 예상해왔다"며, "2024년 선복량 증가율은 1%를 하회하며 추세적인 BDI 반등이 이어질 전망이다"고 예상했다. 또, "대한해운은 별도 기준 정기선 매출 비중이 90%를 넘고, 작년부터 신규 LNG운반선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스팟 벌크시황의 단기 부침을 극복하고 이익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점에서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한눈에 보는 실적 ( 단위: 억원 )

손익계산서 2025.3 2024.12 2023.12
매출액 3,305 17,472 13,974
영업이익 639 3,286 2,500
영업이익률 19.3% 18.8% 17.9%
순이익 674 1,621 683
순이익률 20.4% 9.3% 4.9%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연결,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벌크선 화물 운송을 주력으로 하는 해운사
경기변동
▷ 경기에 따른 실적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산업으로 선진국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해운업 80.11%
기타 10.31%
무역업 9.58%
* 수치는 매출 비중
원재료
▷ 연료유(F/O, D/O) : 현대오일뱅크, S-Oil에서 매입
실적변수
▷ 선진국 소비 회복으로 해상물동량 증가시 수혜
▷ 유가 하락시 매출원가 개선
리스크
재무건전성 ★★
- 부채비율 147.21%
- 유동비율 131.13%
- 당좌비율 84.17%
- 이자보상배율 5.31%
- 금융비용부담률 3.96%
- 자본유보율 565.62%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